현산문화24호

현산문화24호 목록
    운영자  2013-04-04  2503 
    운영자  2013-04-04  2665 
    운영자  2013-04-04  2457 
    희망찬 계사년 새해가 밝았습니다.새해를 맞이하여 군민 여러분과 문화가족 여러분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충만하기를 기원하면서 지난해에 보살펴주신 은혜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작년 임진년은 그 어느 해보다 국내외적으로 다사다난했던 역사적인 한해였 습니다.특히 2012년 …
    운영자  2013-04-04  2528 
    존경하는 내·외 군민여러분!신년 타종과 함께 2013년 계사년(癸巳年) 새아침이 밝았습니다.먼저 여러분 모두 소원성취하시고, 각 가정마다 만복(萬福)과 행운이 함께 하시길 기원드립니다. 에이브라함 링컨은“미래가 좋은 것은 그것이 하루하 루씩 다가오기 때문이다”라고 하였…
    운영자  2013-04-04  2643 
    전악(典樂)허억봉과 漢詩이야기양양문화원장 양동창양양의 관노 허억봉은 조선 중기 장악원 전악이 된 천재 음악인이다.8대조는 세종대왕 때 우의정과 좌의정을 지낸 문경공 허조(許稠)로서 단종 복위와 관련되어 아들 허후 는 수양대군의 권력찬탈에 반대하다 교형을 당하였고 허후의…
    운영자  2013-04-04  3126 
    <제27회 향토문화 공모전 대상 국무총리상 수상 논문>동해신묘의 역사적 고찰과 이해<양양문화원 부설 향토사연구소>Ⅰ. 연구의 목적고래(古來)로부터 나약한 인간들은 신(神)이 우주 만물을 만들었고, 이러한 만물에는…
    운영자  2013-04-04  3594 
    <제22회 강원도 향토문화연구발표회 대상 수상>조선시대 양양부(襄陽府) 소동라령(所冬羅嶺)의 고찰(考察)발표자 : 양양문화원 향토사연구소연구원 이기용Ⅰ. 문제의 제기소동라령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세종실록지리지』양양도호부편에“要害, 自本府西去…
    운영자  2013-04-04  3856 
    문화학교 교실별 수료자 교 실 명 강 사 수 료 자 합 계 8 명 102명 한시교실 이종우 김경일외 12명 서예교실(한문) 함여호 손인환외 17명 서예교실(한글) 김광희 심용구외 15명 한국화교실 정영택 박희숙외 9명 …
    운영자  2013-03-27  2568 
    강 좌 명 수상 & 공연내역 한글서예 ● 님의침묵 서예대전- 입 선 : 김영순- 특 선 : 박경숙, 이희숙, 이용우, 노복현(초대작가 자격 획득)- 우수상 : 심용구- 초대작가전 출품 : 장우인 ● 강원서예대전- 입 선 : 이희숙, 이용우, 김영복- 특 …
    운영자  2013-03-27  2856 
    몸에 좋은 음식 궁합 콩&미역콩에는 사모닌이 함유되어 항암효과가 있으나 많이 섭취하게 될 경우 체내에 있는 요오드를 몸밖으로 배출해 버리게 된답니다.이런때에 요오드가 많이 함유된 미역 또는 다시마를 먹어주어 요오드의 균형을 맞추는것이 좋습니다.요오드…
    운영자  2013-03-27  3192 
    갈천솔밭가족캠핑장 갈천 솔밭 가족캠핑장에서는 솔숲으로 이뤄진 3만9600㎡의 캠핑장 어디든 텐트를 치면 그곳이 사이트가 된다. 일정 간격을 두고 번호표가 붙어있지만 크게 구애받을 필요는 없다. 도심을 벗어나 찾아든 자연 속에서 내 땅, 네 땅 따지며 야박하게 굴 필요…
    운영자  2013-03-27  3480 
    Ⅰ. 발굴 재현양양군 남단부에 위치한 현남면 입암리를 중심으로 화상천이 흐르고 화상천을 발상지로 한 유역에는 들판이 펼쳐져 상하 좌우로 예부터 예닐곱 촌락이 형성되어 오늘날에 이르렀다.수동골은 서로 인접하여 마을이 형성된 관계로 예부터 늘 왕래하며 농경과 관혼…
    운영자  2013-03-27  3424 
    양양 입암농요(2012년 무형문화재 신청) Ⅰ. 작품해설1. 논 삶는 성군소리소로 쟁기를 끌며 사용하는 성군의 모를 심을 수 있도록 보구레(논을가는 쟁기)로 소를 몰며 논을 갈고 써레로 논의 흙을 고르며 삶는 과정에 부르는 농요다.소를 몰려 논을 갈거나 흙을 고르며 …
    운영자  2013-03-25  2985 
    특별기고 - 양양 상복골농요 (2012년 무형문화재 신청) Ⅰ. 작품해설1.‘ 상복골 농요’는 소하천 주변의 좁은 들이나 골짜기의 다락논에서 주로 불려지던 산간지방의 농요로서 가락은 정적이며 사설은 지역의 명소나 명물들을 등장시킨 통속적이고 해학적이며 권논을 중심으…
    운영자  2013-03-25  3044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