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문화25호

양양문화25호 목록
    진전사(삼층석탑,부도) 해설 이철수 양양문화의 이해 ● 주 제 : 진전사. 삼층석탑. 부도. ● 목 표 : 통일 신라시대의 선종의 전래와 석탑 양식과 부도 알기 ● 장 소 :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 100-5번지. ● 문화재 : 강원도 기념물 52호. 국보 …
    고인돌 해설 김재환 청동기시대 무덤형태 1. 인류의 등장과 선사시대의 시작 1) 인류의 등장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는 지금으로부터 약 35억 년 전 바다에 미생물이 나타났으며, 그 후 약 2억 9천만 년 전에 공룡이 지구에 나타났다. 그리고 약 400만 년 …
    향교 해설 김양식 가. 유학이 들어온 시기 1) 儒學은 삼국시대에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본다. 이 때 유학의 성격은 孔子의 효재충신(孝悌忠信)과 맹자의 五倫이 중 심이었다. 2) 284년 백제는 아직기(阿直岐)가 일본에 건너가 일본왕자의 사부 (師傅)가 되었…
    명주사 해설 이철수 명주사(明珠寺) ● 위 치 :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어성전리 만월산 ● 소 속 : 대한조계종 제 3교구 (본사 신흥사) ● 창건연대 : 고려 제 7대 목종 12년(1009년) ● 창 건 자 : 慧明(혜명)스님 大珠(대주)스님 ● 절 이 …
    하조대 해설 이기용 하조대의 유래 ● 양주지 전설편에 보면 이들(하륜과 조준)이 이곳 하조대와 인연을 맺게 된 것은 고려가 쇠퇴해져 나라 안이 어지러울 때 이 두 사람이 벼슬살이를 하고 있었으나 나라 안의 정세를 미루어 보아 고려왕조의 왕통이 지탱할 수 없…
    오색석사 해설 이규환 오색석사와 그 옛터 유 래 ■ 양양군 서면 오색리의 남설악 골짝에 경영되었던 사찰이다. 전하건대 신라 말 구산선문의 하나인 가지산파의 개산조사인 도 의국사(道義國師)가 창건한 사찰이라고 한다.(정영호 박사) ※ 大韓佛敎曹溪宗宗祖(한 종…
    3.1만세운동유적비 해설 김양식 3.1 운동사 가) 원인과 배경 일제의 폭압적인 식민지 지배에 대한 민족의 저항으로 일어난 운동이다. 일본은 조선을 강점한 뒤 군사력을 배경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의 각 분야에서 폭력적인 억압과 수 탈을 자행하는 무단통치(…
    선림원지 (禪林院趾) 해설 이철수 1. 양양의 불교 문화 한반도에 불교가 들어온 것은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년)이다. 백제는 침류왕 원년(384년)에 신라는 법 흥왕 15년(582년)에 이차돈의 순교한 후 공인되었음을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여 알 …
    양양현산문화제 해설 김재환 양양현산문화제 학습자료 Ⅰ 1. 유 래 고려 목종10년(1007년) 양주성을 축성 외적의 침입을 수호하는 기지로 삼고 성황사에서 매년 봄과 가을에 순국영령을 위로하고 국태민안과 풍년을 기원하는 성황제를 지냈다. 조선시대 선조 25년(…
    2013 문화학교 소개 2013년도 문화학교 수강생 수상 및 공연 내역
    겨울철 건강상식, 겨울철에 주의해야할 질환들 1. 심장마비와 뇌졸증 겨울철은 여름보다 심장마비가 50% 이상 많이 발생합니다. 심장은 추운 날씨에 몸의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혈관이 수축되고, 이 때문에 혈압이 높아지면서 발생하기 쉽습니다. 갑자기 수축된 혈관으로…
    [가족여행] 체 험 마 을 (1) 탁장사마을 양양군 현북면 어성전 2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마을은 주변경관이 산성(山城)을 이룬 듯한 분지형으로 기름진 전 답(田畓) 수 십 만평이 마을입구에 있으며 오대산, 응복산으로 흘러내리는 여러 대소 계곡물이 합수되어 평탄한 …
    체마대 (遞馬臺) 상운관의 동쪽으로 내려다보면 왼편으로 바다가 임하고 오른편으로 연포를 낀 백사창송 넓 은 곳에 중앙으로 큰 길이 통하고 있는 곳이 체마대이다. 이 대는 조선조 상운역시대에 우 마가 교체하던 곳이다. 물론 그 시대에 찰방이 주차(駐箚) 하고 수의사도(…
    질래꾼 써래매기 설악을 배경으로 험준한 계곡이 중첩된 지세로 분지 형태의 산간 마을인 양양 복골마을은 촌락의 형태를 이루면서부터 산간 전통 농경 민속문화가 형 성발달한 마을이다. 옛날부터 유동가구나 주민이동이 거의 없는 마을로 외지 문화의 유입이 없으므로 마을 고유…
    금석문(金石文)은 금속이나 돌로 만든 각종 유물에 있는 명문(銘文)을 일컫는 것으로 재료와 내 용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재료에 따라 금석문은 금문(金文)과 석문(石文)으로 나누어진다. 금문 은 금속제의 용기·악기·무기·화폐·인장(印章)·경감(鏡鑑)·조상(造像)·범종…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