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정대

 3) 태평루(太平樓)

페이지 정보

조회 5,768회 작성일 2014-06-11 13:46

본문

▪ 소재지 : 양양군 양양읍 군행리 16

019.jpg

 

▪ 연 혁 : 조선전기 대표적인 지리지인 新增東國輿地 勝覽과輿地圖書에태평루의 규모는 16칸이며 객관 남 쪽에 있다고 하였다.고려 때 이곡(李穀) 시문의 주(註)에 는 양양의 태평루 창건연대(創建年代)를 고려 예종 [(睿宗 6년辛卯(1111년)~睿宗15年庚子(1120년)] 연간(年間)으로 보고 있다. 창건이후 건물의 관리실태를 보면 고려시대는 2회에 걸쳐 중수하였는데 충숙왕2년(1315년)과충정왕 2 년(1350년)이다. 조선시대로 넘어오면서 세종 21년(1430 년)송목(松毣)이,중종32年(1537년)에 윤사임(尹思任)과 정광정(鄭光廷)이,효종9년(1658년)에부사이연(李演)이 입주(立柱)하고한진(韓鎭)이상량(上樑)하는 등 2년여에 걸쳐 공사를 하였는데 영조 36년(1760년)에 부사 이헌경 (李獻慶)이 완전한 중건을 보았다고 기록되어 있다.장엄하고 화려한 그 모습은 국내에선 굴지의 건물이었다고 한다. 정조 22년 춘절에 부사 유헌주(柳憲周)가 또 중수하 여 누간 내외에 태평루란 대액현판이 게시되었는데 내부 것은 우암 송시열(尤庵宋時烈), 외부 것은 안평대군(安平 大君)의 글씨라 하나 일제강점기인1921년12월에 소실(燒 失)되고 지금은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시문

------------------------------------------------------------------------------------------------------------------------------------------

『白軒先生集』卷之十一 백헌선생집 권지십일〔백헌 이경석(白軒李景奭) 1595∼1671〕

 

襄陽太平樓酒席(양양태평루주석)偶成長律(우성장률)
此日誰知到此邦(차일수지도차방)/이날 이 나라에 이른 것을 누가 알리오
使君爲政夜眠狵(사군위정야면방)/부사는 정사를 보느라 밤잠을 설치누나..
高堂有賦名傳玉(고당유부명전옥)/고당에는 옥같은 유명한 인사의 글은
耆舊何人姓是龐(기구하인성시방)/큰성씨의어른은 어느 분의 것인가.
片石莓苔空寂寂(편석매태공적적)/이끼긴 뜰 돌 안은 고요하고 쓸쓸한데
大堤歌舞自雙雙(대제가무자쌍쌍)/멋대로 쌍쌍이 제방위선 춤과 노래로다.
衰翁却似山翁醉(쇠옹각사산옹취)/쇠한 늙은이는 간 것 같은데 부사는 취하여
傾盡金罍月滿窻(경진금뢰월만창)/금잔 술다비웠는데 창에달빛만가득하네.

------------------------------------------------------------------------------------------------------------------------------------------

 

 

------------------------------------------------------------------------------------------------------------------------------------------

『襄州邑誌』太平樓成毁年月 (양주읍지 태평루성훼 년 월)

 

○正統四年己未七月日襄陽都護府使奉列大夫兼勸農兵馬團 練使宋毣…成造(정통사년기미칠월일양양도호부사봉렬대부 겸권농병마단련사송목…성조)/세종21년(1439년)기미7 월에 양양도호부사 봉열대부겸권농병마단련사 송목에 의 하여 조성되었다.

○嘉靖十六年丁酉三月日府使通訓大夫尹思任破屋地正後因 而見遞(가정십육년정유삼월일부사통훈대부윤사임파옥지정 후인이견체) /중종 32년(1537년)정유3월에부사 통훈대 부 윤사임이 허물어진 태평루 터를 바로 정지하고서 전근 하였다.

○新府使通訓大夫江陵鎭管兵馬同僉節制使鄭光廷四月十八 日到任七月十一日立柱(신부사통훈대부강릉진관병마동첨절 제사정광정사월십팔일도임칠월십일일입주) / 새로운 부사 통훈대부 강릉진관병마동첨절제사 정광정이4월18일 부 임하여7월11일에 기둥을 세웠다.

○順治十五年戊戌六月府使通訓大夫李演到任後見其頹圮十 一月破屋十二月立柱而移任安東(순치십오년무술육월부사통 훈대부이연도임후견기퇴비십일월파옥십이월입주이이임안 동) / 효종 9년(1658년)무술6월에 부사 통훈대부 이연이 도임하여 무너진 태평루를 보고 11월에 허물고서 12월에 기둥을 세우고 안동으로 전근하였다.

○府使韓縝越明年己亥正月到任二月始役三月十七日上樑(부 사한진월명년기해정월도임이월시역삼월십칠일상량) / 부 사 한진이 이듬해1659년기해1월에도임하여 2월에공사 를 시작하여3월17일 상량을 하였다.

○乾隆二十五年庚辰府使李獻慶二月十九日淸明破屋三月二 十五日上樑(건융이십오년경진부사이헌경이월십구일청명파 옥삼월이십오일상량) /영조 36년 (1760년) 경진에 부사 이헌경(李獻慶)에 의하여 2월 19일 청명 날에 낡은 태평루 를 허물고 3월25일 상량을 하였다.

------------------------------------------------------------------------------------------------------------------------------------------

 

 

------------------------------------------------------------------------------------------------------------------------------------------

정추〔(鄭樞) 1333~1382〕의 시


襄州客館樓命之曰消暑(양주객관루명지왈소서)/양주객관루라 명명하니 더위가 살아지다.
消暑樓成延祐前(소서루성연우전)/더위를 식히는 누각은 연우년(延祐年)전에 완성됐고,
命名人到甲辰年(명명인도갑진년)/누 이름 지은 사람은 갑진년(1364년)에왔노라.
排簷老樹孤輪月(배첨노수고륜월)/처마에 벌려선 늙은 나무엔 외로운 달이 걸렸고,
傍岸垂楊半縷煙(방안수양반루연)/언덕을 이웃한 수양버들 반쯤 연기에 늘어졌네.
柱笏高吟迎爽氣(주홀고음영상기)/홀로 고이고 높게 읊조려 서늘한기운을 맞이하고,
擧觴白眼望靑天(거상백안망청천)/술잔을 들고 흰 눈자위로 푸른 하늘을 바라본다.
朱絃不用纖纖弄(주현부용섬섬롱)/거문고 줄을 섬섬옥수로 칠 것 없고,
過雨林間咽澗泉(과우임간열간천)/비온뒤숲속의 시냇물 소리가목메인듯들려온다.

 

※ 이 시의 내용을 보면 고려 숙종 원년(1314년) 이전에 양양 태평루가 세워졌고, 고려 공민왕 13년(1364년)에 이 시를 지었음을 알 수 있다.

------------------------------------------------------------------------------------------------------------------------------------------

 

 

------------------------------------------------------------------------------------------------------------------------------------------
次襄州樓上韻(차양주루상운)


海岸山從朴赫前(해안산종박혁전)/신라 이전에 산이 뻗어 내려온 바닷가
幾看興廢迄今年(기간흥폐흘금년)/금년까지 몇 번이나 성과 쇠를 보았나.
秋涵一野亞紅稻(추함일야아홍도)/가을빛이 온 들에 젖어 익은 벼 수북하고
日照五峯生紫煙(일조오봉생자연)/해가 오봉산에 비쳐서 붉은 연기 오른다.
德女故居莎覆砌(덕녀고거사복체)/보살님의 옛 집터엔 잔디가 섬돌을 덮었고
曉公遺迹樹連天(효공유적수련천)/원효의 남긴 자리에는 숲이 하늘에 연했다.
登樓擬結相思夢(등루의결상사몽)/누에 올라 상사 꿈을 맺고자 한다면
夢裏還應酌泠泉(몽리환응작령천)/꿈속에서도 응당 냉천을 잔질하리라.


觀音菩薩。代作女刈稻。圓曉和尙。因取飮泠泉。與之戲謔。蓋此地故事。朴赫。新羅始祖也。五峯。洛山也。
(관음보살。대작녀예도。원효화상。인취음령천。여지희학。개차지고사。박혁。신라시조야。오봉。낙산야)

------------------------------------------------------------------------------------------------------------------------------------------

 

 

------------------------------------------------------------------------------------------------------------------------------------------
次襄州樓上韻(차양주루상운)


自愧風流不及前(자괴풍류불급전)/전만 못한 풍류에 부끄러움 느끼며
題詩聊記甲辰年(제시료기갑진년)/갑오년에 시를 지어 기억해 두리라.
倚山樓觀壺中地(의산루관호중지) /산에 의지한 누관은 병 속의 세상이요,
傍水閭閻畫裏煙(방수려염화리연) /물을 이웃한 여염은 그림 속 연기로다.
未分掣鯨恬碧海(미분체경념벽해)/고래가 설치지 않아 바다는 고요하고
無心駕鶴上靑天(무심가학상청천)/무심히 학을 타고 청천에 올라갔구나.
永郞湖畔携佳客(영랑호반휴가객)/영랑호반에 반가운 손님 이끌고
大道吾將學谷泉(대도오장학곡천)/나는 장차 谷泉의 대의를 배우리.

------------------------------------------------------------------------------------------------------------------------------------------

 

 

------------------------------------------------------------------------------------------------------------------------------------------

안축〔(安軸) 1282~1348〕의 시


官途信步不圖前(관도신보부도전)/벼슬길에 오른 걸음 앞서 가기를 꾀하지 않고,
來往斯樓已二年(내왕사루이이년)/이 누에 내왕한 지도 벌써 두 해다.
覆檻竹叢分爽氣(복함죽총분상기)/헌함 덮은 대나무 숲은 서늘한 기운 나눠 오고,
廕門榕樹撼蒼煙(음문용수감창연)/문을 가리운 용(榕)나무는 푸른 연기에 흔들리네.
廢觀民業憂吾國(폐관민업우오국)/백성의 생업을 관찰하여 우리나라를 근심하고,
虛負君恩愧彼天(허부군은괴피천)/임금의 은혜를 저버리니 저 하늘이 부끄럽다.
計拙未能興利路(계졸미능흥리로)/꾀가 졸렬하여 능히 이익을 일으키지 못하니,
若爲溪壑湧金泉(약위계학용금천)/어떻게 하면 시내 구렁에 금샘이 솟아나게 할까.


※ 이 시에 용(榕)나무가 등장하는 바 열대식물로서“벵골 보리수”라고 하는데 당시에 용나무가 양양에 서식하였다는 것이 신기하다 평한다.

------------------------------------------------------------------------------------------------------------------------------------------

 

 

------------------------------------------------------------------------------------------------------------------------------------------
▪ 조준〔(趙浚) 1346~1405〕의 시


古都經營自國前(고도경영자국전)/옛 고을이 경영된 것은 나라 있기 전이어서,
太平風月半千年(태평풍월반천년)/태평한 바람과 달 반천 년이었다.
鳥還官樹三竿日(조환관수삼간일)/새는 나무에 해 그림자 세 발 남은때에돌아오고,
人語漁村一縷煙(인어어촌일루연)/사람은 어촌에 낀 한 줄기 연기 속에서 말한다.
江漢奔流傷世道(강한분류상세도)/강한(江漢)이달려흐르니 세상일이 마음 아프고,
山河壯續誓皇天(산하장속서황천)/산하에 장한 공적은 하늘에 맹서한다.
邇來讀賻民憔悴(이래독부민초췌)/근래의 가혹한 부세에 백성이 고달파하니,
欲倒東溟作布泉(욕도동명작포천)/동해의 물 기울여 재물을 만들고 싶다.

------------------------------------------------------------------------------------------------------------------------------------------

 

 

------------------------------------------------------------------------------------------------------------------------------------------

▪ 이곡〔(李穀) 1298~1351〕의 시


次襄州樓上詩韻〔(차양주누상시운)양주누대 위의 시에 차운하다〕
李君起廢事超前(이군기폐사초전)/이군(李君)이 폐함을 일으킨 것은 전에 없던 일,
敗瓦書存天慶年(패와서존천경년)/부서진 기와에 천경년(天慶年)이 적혀 있다.
棟宇已同全盛日(동우이동전성일)/동우(棟宇)는 벌써 전성할 때와 같고,
閭閻還有太平煙(여염환유태평연)/민가에는 다시 태평한 연월(煙月)이 있다.
滿簷秋風山圍坐(만첨추풍산위좌)/처마에 가득한 가을 기운은 산이 좌석을 둘렀고,
隔岸濤聲浪接天(격안도성낭접천)/언덕을 격한 물결 소리는 파도가 하늘에 닿은 듯하네.
寄語新除賢太守(기어신제현태수)/새로 온 어진 태수에게 말하노니,
隱之何害酌貪泉(은지하해작탐천)/은지(隱之)야,탐천(貪泉)을마신들 무엇이 해로우리.

 

註:客舍。故州守李君林宗重搆者也。天慶年事。具於李君之記。今聞崔副令宰出守是州。故幷著之。


(주 : 객사。고주수이군림종중구자야。천경년사。구어리군지기。금문최부령재출수시주。고병저지。) / 이 객사는 고 주수 이군 임종(李君林宗)이 중건한 것이다.천경(天慶)의 연호에 관한 일은 이군의 기문(記文)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지금 듣건대 부령(副令) 최재(崔宰)가 이 고을의 수령으로 나간다고 하기에,아울러 시에 드러냈다.〕


※이 시문과 주석을 살펴보면 양양의 태평루는 천경년대[(天慶年代)1111년~1120년]에 이미 세워졌음을 알 수 있고,양주수 이임종(襄州守李林宗)이 중건(重建)한 것이다,하였으니 이임종(李林宗)은 삼척 사람으로 1315년경 지양주사(知襄州事)였다.

 

同遊柳少卿以馬病落後。到襄留待不至。用樓上詩韻趣之(동유류소경이마병락후.도양류대부지.용루상시운취지) / 동행 했던유소경(柳少卿)이마병(馬病)으로뒤에 처졌는데,양양(襄陽)에 도착해서 머무르며기다려도 오지 않기에 누대 위의 시를 차운해서빨리 오라고 재촉하였다.


老我才疎偶在前(로아재소우재전)/늙은 나는 재주는 없어도 뜻밖에 앞에 있고
先生氣銳更芳年(선생기예갱방년)/날랜 기백 꽃다운 나이인 선생은 뒤에 있네
國恩未報深如海(국은미보심여해)/바다처럼 깊은 국은은 아직 못 갚았어도
世味先知淡似煙(세미선지담사연)/연무처럼 묽은 세상맛은 진작에 알았다오
夢裏寒松叢石路(몽리한송총석로)/꿈속에 보던 한송정과 총석정의 길이요
詩中細雨菊花天(시중세우국화천)/시 속에 나오는 가랑비와 국화의 경치였네
幾廻遇勝苦相待(기회우승고상대)/몇 번이나 승경 만나 애타게 기다렸던가
明日分程向酒泉(명일분정향주천)/내일은 서로 헤어져서 주천으로 가야겠네

------------------------------------------------------------------------------------------------------------------------------------------

 

 

------------------------------------------------------------------------------------------------------------------------------------------

▪ 김예몽〔(金禮蒙) 1406∼1469〕의시


澄淸敢望范公前(징청감망범공전)/조촐함이야 감히 범공(范公)앞에 바랄 건가,
游賞猶能及壯年(유상유능급장년)/유람함도 젊은 때라야 가능하리라.
影逐峴山官道月(영축현산관도월)/그림자는 현산관도(峴山官道)에 달을 따르고,
夢尋華岳御爐煙(몽심화악어로연)/꿈에는 화악어로(華岳御爐)의 연기를 찾는다.
恩澤欲報嗟無地(은택욕보차무지)/은택이 깊어보답 하고파도 갚을 땅 없음이 슬프고,
任重難堪愧有天(임중난감괴유천)/책임이 중하니 감당하기 어려워 하늘에 부끄럽다.
佳境逢來饒逸興(가경봉래요일흥)/좋은 지경에 와서 흥취가 넘쳐나니,
興狂還似飮狂泉(흥광환사음광천)/미친 흥취가 광천(狂泉)물을 마신 듯하다.

------------------------------------------------------------------------------------------------------------------------------------------

 

 

------------------------------------------------------------------------------------------------------------------------------------------
▪ 강희맹〔(姜希孟)1424~1483〕의 시


次襄陽壁上韻(차양양벽상운)
昨日初辭玉輦前(작일초사옥련전)/어제 임금님 앞을 하직하고
風光正値艶陽年(풍광정치염양년)/늦은 봄의 풍광을 맞았구려.
梨花院落家家雨(리화원락가가우)/배꽃은 집집마다 비에 젖어 떨어졌고
楊柳池塘處處煙(양류지당처처연)/연못가 곳곳의 버들은 연기에 쌓였네.
大野東頭看海日(대야동두간해일) /큰 들녘 동쪽 끝에 바다 해를 보고,
長林一面見江天(장림일면견강천) /긴 숲 한쪽 면에 강 하늘이 보인다.
行程却抱文園渴(행정각포문원갈)/노정에 물러나 문원의 조갈증이 느껴져
立馬頻尋石底泉(립마빈심석저천)/말을 세우고 자주 돌 밑의 샘물 마시네.

------------------------------------------------------------------------------------------------------------------------------------------

 

 

------------------------------------------------------------------------------------------------------------------------------------------

『東文選』第十六卷·『霽亭集』一卷 동문선 제십육권·제정집 일권〔이달충(李達衷) 1309~1385〕

 

次襄州官舍詩韻(차 양주관사 시운)
此樓風景僅瞻前(차루풍경근첨전)/이 다락의 풍경을 겨우 앞으로만 보았더니
來往登臨又一年(내왕등림우일년)/왔다갔다 올라온 지 또 1년이 되었네
簾額冷霑銀漢露(염액랭점은한로)/발에 싸늘히 은하의 이슬 젖어오고
琴心暖起玉田煙(금심난기옥전연)/거문고 곡조엔 따스한 옥전 연기 일어나네
淸閑可喜壺中日(청한가희호중일)/몸이 청한하니 병 속의 세월이 즐겁고
阨塞還嫌瓮裏天(액새환혐옹리천)/땅이 옹색하니 독 안의 하늘이 딱 하구나
欲和諸公氷雪句(욕화제공빙설구)/얼음ㆍ눈 같은 맑고 서늘한 시를 화답하려니
羞將短綆汲深泉(수장단경급심천)/두레박 짧은 줄로 어이 깊은 샘물 길으리

------------------------------------------------------------------------------------------------------------------------------------------

 

 

------------------------------------------------------------------------------------------------------------------------------------------

『谿谷先生集』계곡선생집〔계곡 장유(谿谷張維) 1587~1647〕

 

登太平樓二首(등태평누 이수)
不緣賓館有高樓(부연빈관유고누)/관소(館所)에 만약 높은 누대 없었더라면
那得神仙爲少留(나득신선위소류)/어떻게 신선을 잡아 둘 수 있었으랴
興入蕭晨延客望(흥입소신연객망)/길손의 발길 이끄는 소슬한 가을 정자
詩傳絶唱使人愁(시전절창사인수)/절창의 시 읊으시어 괜히 수심 안겨주네
山光晚向闌干滿(산광만향란간만)/난간에 가득한 저녁나절 산 빛이요
霞色晴侵睥睨浮(하색청침비예부)/성가퀴에 감도는 맑게 갠 날 노을이라
節序殊方驚御裌(절서수방경어겹)/어느새 겹옷 생각나는 이역(異域)의 절기
秋風應復到皇州(추풍응복도황주)/가을의 이 바람 황성(皇城)에도 불어 가리
客裡偏驚報素秋(객리편경보소추)/고국 떠나 객지에서 홀연히 맞은 가을
江山滿目獨登樓(강산만목독등누)/강산이 눈에 가득 홀로 누대에 올랐어라
元龍本自饒豪氣(원룡본자요호기)/원룡처럼 호기 철철 흘러넘치고
太史由來喜壯遊(태사유내희장유)/태사처럼 먼 유람 즐기시는 분
地隔中原空有夢(지격중원공유몽)/꿈속에만 어른거릴 멀고 먼 중원
天回北極逈添愁(천회배극형첨수)/북신(北辰)회귀하시면 시름만 더해 지리
耽看落景憑闌遍(탐간낙경빙란편)/아까운 오늘 저녁 햇빛 서성이는 난간마루
遠壑蒼茫暝色幽(원학창망명색유)/먼 골짜기 창망하게 어둠의 그림자 내려앉네

------------------------------------------------------------------------------------------------------------------------------------------

 

 

------------------------------------------------------------------------------------------------------------------------------------------

『淸陰集』청음집〔청음 김상헌(淸陰金尙憲)16세기 말~17세기 초〕


權雲卿(권운경)이 襄陽(양양)에 부임하는 것을 전송하다5수. (이름은 권진(權縉)이다)
洛山名刹創前朝(낙산명찰창전조)/이름난 절 낙산사가 지어진 건 고려 때로
形勝岧嶤特地高(형승초요특지고)/형승 보면 가팔라서 특별하게 드높다네
聞說五更看日出(문설오경간일출)/말 듣기로 오경에는 일출 볼 수 있다 하니
白雲壇上俯紅濤(백운단상부홍도)/백운단의 단상에서 붉은 물결 굽어보소
仙區終歲絶喧煩(선구종세절훤번)/신선의 땅 한 해 내내 시끄러운 일 없는데
納灝孤亭六月寒(납호고정륙월한)/외로이 선 납호정은 유월에도 추우리라
氷簟睡醒烏几靜(빙점수성오궤정)/찬 자리서 졸다 깨자 오궤안은 고요한데
海風吹落竹皮冠(해풍취락죽피관)/바닷바람 불어와서 죽피관을 떨구리라
習家池館久生塵(습가지관구생진)/습가지의 누관에는 먼지 오래 쌓였는데
峴首殘碑閱幾春(현수잔비열기춘)/현수산의 깨진 빗돌 몇몇 봄을 지내었나
江漢風流秪虛事(강한풍류지허사)/강한의 풍류 놀이 모두 헛일 되었으니
鹿門須覓姓龐人(녹문수멱성방인)/녹문에서 모름지기 방씨나 찾아보소
時羞簇案進官廚(시수족안진관주)/철에 따라 나는 진미 고을에다 올리나니
巨口赬魴八帶魚(거구정방팔대어)/입 큰 농어 꼬리 붉은 방어 팔대어도 있네
佳節壽筵何處好(가절수연하처호)/좋은 시절 수연 열기 어느 곳이 젤 좋은가
大堤花柳引潘輿(대제화류인반여)/긴 제방의 꽃과 버들 반여 끌고 가보시게
童丱相隨各髩蒼(동관상수각髩창)/어린 시절 노닐 적엔 모두 머리 검었는데
轉頭時序幾炎凉(전두시서기염량)/순식간에 흐른 세월 몇몇 해가 지나갔나
年來萬事休心久(년래만사휴심구)/근년 들어 만사 모두 맘 식은 지 오래건만
只有離情老更傷(지유리정로경상)/이별 정만 남아 있어 늙어서도 맘 상하네

------------------------------------------------------------------------------------------------------------------------------------------

 

 

------------------------------------------------------------------------------------------------------------------------------------------

『澤堂先生集』택당선생집〔택당 이식(澤堂李植) 1586~1647〕

 

憶舊遊寄襄陽崔上舍基鐵基銆兄弟.甲戌[(억구유기양양최상사기철기백형제.갑술)/옛날노닐던추억을 떠올리며 양양의 최 상사 기철ㆍ기백 형제에게 부치다. 갑술년]
宵筵欲闌使君醉(소연욕란사군취)/밤 연회 끝날 무렵 곤드레만드레 취한 원님
太平樓上晨曦赤(태평루상신희적)/태평루 위의 아침 해 붉기도 하였는데
鳴沙芳草大堤路(명사방초대제노)/울리는 모래 꽃다운 풀 대제의 길 걷노라니
宿酲偏惱西歸客(숙정편뇌서귀객)/서울 가는 나그네 숙취(宿醉)에 머리가 지끈지끈
睡睫朦朧喉吻乾(수첩몽롱후문건)/눈은 졸려 거슴츠레 입은 말라 바짝바짝
塵肺欲吸東溟窄(진폐욕흡동명착)/갈증을 풀려 하니 동해의 물도 적겠더라
隆中材俊早知名(융중재준조지명)/일찍 이름 알려진 융중의 우리 재사(才士)
博陵伯仲眞連璧(박능백중진련벽)/그야말로 쌍벽(雙璧)인 박릉의 백중께서
斗酒雙魚候道左(두주쌍어후도좌)/술과 안주 마련하고 길가에 배웅 나왔나니
道左松陰垂百尺(도좌송음수백척)/길가엔 백 척이나 드리운 솔 그늘
忻然下馬坐馬韉(흔연하마좌마천)/흔연히 말을 내려 언치 위에 걸터앉아
滿酌流霞催大白(만작류하최대백)/유하의 술 큰 잔 가득 벌컥벌컥 마셨어라
是時融景正姸華(시시융경정연화)/얼마나 화려 하였던가 무르익은 풍광(風光)들
湖光海色遙相射(호광해색요상사)/바다와 호수의 빛 멀리서 서로 반사하고
棠洲處處錦染紅(당주처처금염홍)/해당화 섬 곳곳마다 붉은 비단결
柳岸依依絲軃碧(류안의의사타벽)/버들 언덕 흐늘흐늘 푸른 실오라기
祥雲繚繞阿明祠(상운료요아명사)/아명의 사당 휘감은 상서로운 구름이요
彩蜃倏閃龍王宅(채신숙섬룡왕댁)/용궁 위에 명멸하는 채색 신기루(蜃氣樓)였어라
不用金鞍換翠娥(부용금안환취아)/황금 안장으로 취아와 바꿀 게 뭐 있으며
不用銅鞮攔綺陌(부용동제란기맥)/길 막으며 백동제(白銅鞮)부르게할게뭐 있으리
一觴一談意頗麤(일상일담의파추)/술잔 나누는 담소속에의기(意氣)도자못호방해져
俯仰乾坤三太息(부앙건곤삼태식)/하늘 보고 땅을 보며 장탄식(長歎息)을 하였어라
似逢安期啖火棗(사봉안기담화조)/안기를 만나서 화조를 맛보는 듯
疑從橘叟斟靈液(의종귤수짐령액)/귤수를 따라서 영액을 마시는 듯
蓬壺指點虛無裏(봉호지점허무리)/바다에 떠 있는 삼신산(三神山)에서
習習神飈生兩腋(습습신표생량액)/불어오는 바람결 겨드랑이에 선들선들
東遊此歡最風流(동유차환최풍류)/이 환락(歡樂)동쪽 유람 최고의 풍류였나니
夢想至今如宿昔(몽상지금여숙석)/지금도 마치 어제처럼 꿈속에서 헤매노라
蘭臺朱墨鬢成雪(난대주묵빈성설)/난대의 주묵필(朱墨筆)로 눈 내린 듯 흰 머리칼
一醉也遭臺官嘖(일취야조대관책)/한 번 취해 볼라치면 대관의 꾸지람 받기 일쑤
安能鬱鬱老蝸殼(안능울울노와각)/어떡하면 숨막히는 이 좁은 방을 벗어나서
布襪粽鞋將遠適(포말종혜장원적)/버선발로 짚신 신고 멀리 유람 떠나
期君共話三山事(기군공화삼산사)/그대들과 선경(仙境)의 일 함께 얘기하며
更向靑門撫金狄(경향청문무금적)/다시 한 번 청문의 금적을 만져 볼 고

------------------------------------------------------------------------------------------------------------------------------------------

 

 

------------------------------------------------------------------------------------------------------------------------------------------

『鳴巖集』명암집〔명암 이해조(鳴巖李海朝) 1660~1711〕

 

太平樓卽客舍門樓極宏敞太守每張樂於此云(태평루 즉객사 문루극굉창 태수매장락어차운) / 태평루는 곧객사다.문루는 매우 넓고 시원했다.태수는 늘 이곳에서 풍류를 베풀었다.

第17詠太平歌管(제17영 태평가관)(피리 불던 태평루)
飛欄倚雪嶽(비란의설악)/설악산을 등에 진 높디높은 누각에선
仙樂喧紫府(선락훤자부)/명관의 아름다운 풍악이 그치지 않네.
漢波咽不流(한파열불류)/남대천 물결은 잔잔히 흐르고
巫雲行復住(무운행복주)/무산엔 구름이 오가며 흐르네.
海天散餘響(해천산여향)/바다와 하늘에는 여운이 울려 퍼지고
魚龍紛起舞(어룡분기무)/어룡도 분잡하게 일어나 춤을 추누나.
不用舊銅踶(불용구동제)/오래된 동제는 쓰지 않고서
新偷月宮譜(신투월궁보)/월궁의 악보를 새로 탐내네.

------------------------------------------------------------------------------------------------------------------------------------------

 

 

------------------------------------------------------------------------------------------------------------------------------------------

『三淵集』 삼연집〔삼연 김창흡(三淵金昌翕) 1653~1722〕

 

太平歌管(태평가관)
淸軒捨孤琴(청헌사고금)/ 청헌에서 거문고 소리 그치자
庭納兩部鼓(정납량부고)/ 뜰에서 양부의 북소리 울리네.
思廣百里聽(사광백리청)/ 널리 백리에서도 들릴 것이고
震蕩及水府(진탕급수부)/ 용궁까지 흔들려 울릴 것이다.
樓高八風會(루고팔풍회)/ 높은 누각에서 팔풍회를 열으니
天闊羣僊舞(천활군선무)/ 하늘 넓어 신선들이 춤추는구나.
鯨波助轟閙(경파조굉료)/큰파도에 맞춰서 시끄럽게 울리고
海月亦呑吐(해월역탄토)/ 뜨는 달을 바다는 삼켰다 뱉는구나.

------------------------------------------------------------------------------------------------------------------------------------------

 

 

------------------------------------------------------------------------------------------------------------------------------------------

『八穀先生集』卷之一 팔곡선생집 권지일〔팔곡 구사맹(八穀具思孟) 1531~1604〕

 

次襄陽太平樓韻(차양양태평루운)
勝地誰爲主(승지수위주)/지세 훌륭한 양양의 주인은 누구인가
華筵本無期(화연본무기)/성대한 자리는 본래 기한이 없다.
吳娃呈妙舞(오왜정묘무)/오희와 같은 교묘한 춤을 추니
郢曲度新詞(영곡도신사)/새로운 유행가를 한곡 부르네.
醒酒風仍快(성주풍잉쾌)/바람 불어 술이 깨니 이어 즐거워져
催詩雨亦奇(최시우역기)/시를 재촉하니 비 내려 기이도 하다.
孤城將暝色(고성장명색)/외로이 있는 성안은 어둠이 깔리려나
喬木政參差(교목정참치)/나라와 같이하는 정사 고르지 않구나.

------------------------------------------------------------------------------------------------------------------------------------------

 

 

------------------------------------------------------------------------------------------------------------------------------------------
『玄谷集』현곡집〔현곡 조위한(玄谷趙緯韓) 1558~1649〕


危樓奕敞半天央(위루혁창반천앙)/중천 가운데에 아름답게 드러난 높은 다락에
落日登臨客恨長(낙일등림객한장)/저녁 무렵에 올라보니 나그네의 한도 길구나.
大塊勞生元草草(대괴로생원초초)/이 땅에서 괴로운 인생은 원래 바쁜 모양
虛名傳世更茫茫(허명전세경망망)/헛된 명예 대대로 전함은 거듭 아득하리다.
東溟若變爲春酒(동명약변위춘주)/동해물은 봄에 담근 술로 변한 것 같고
北斗還將作羽觴(북두환장작우상)/북두칠성은 돌아서 술잔 되려는 것인가.
浩浩放歌歌激烈(호호방가가격렬)/호호탕탕 노래하니 노랫소리 격렬하고
回看塵土一悲傷(회간진토일비상)/돌아보니 흙먼지에 슬픈 마음 아프구나..

------------------------------------------------------------------------------------------------------------------------------------------

 

 

------------------------------------------------------------------------------------------------------------------------------------------

『白軒先生集』卷之十二詩 백헌선생집 권지십이시〔백헌 이경석(白軒李景奭) 1595∼1671〕

 

太平樓以下襄陽十景爲李太守作(태평루 이하양양십경위리태수작) / 이하는양양10경〔태평루·낙산사·남대천·설악산·천후산·동해사·신흥사·동산·현산·대제(太平樓·洛山寺·南大川·雪嶽山·天吼山·東海祠·神興寺·洞山·峴山·大堤)〕을1658년 이연(李演)부사를 위해 지었다.


淸夜曾開宴(청야증개연)/맑은 밤에 일찍이 연회를 개최하니
朱欄拂綺羅(주란불기라)/단청한 난간에 화려한 옷자락 나부끼네.
太平眞有象(태평진유상)/태평성세의 참모습이 여기에 있으니
看取擁笙歌(간취옹생가)/생황소리 노랫소리 취함을 느끼노라.

참고로 양양 10경 시문을 소개한다.


洛山寺(낙산사)
宿霧山山暗(숙무산산암)/ 짙은 안개가 산마다 자욱하고
人寰處處眠(인환처처면)/ 곳곳 마을마다 잠들어 있는데
殘宵海底日(잔소해저일)/ 미명에바다밑서꿈틀대던해님이
已掛寺樓前(이괘사루전)/ 어느새빈일루앞에높이걸렸구나.


南大川(남대천)
流自銀河注(유자은하주)/ 은하수 물길처럼 절로 흘러서
波連碧海深(파련벽해심)/ 동해바다 깊숙이 파도에 연하고
朝宗不暫息(조종불잠식)/ 잠시도쉬지않고바다에흘러들어
正似戀君心(정사련군심)/ 순순히연모하는님의마음같구나.


雪岳山(설악산)
迥立含雲氣(형립함운기)/ 운기를 머금고 높이 솟아
層巓逼紫霄(층전핍자소)/ 첩첩 산이 하늘에 겹치고
應知太始雪(응지태시설)/ 태초부터 알고 있었던 눈
六月不曾消(륙월불증소)/ 유월이 되어도 녹지 낳네.


天吼山(천후산)
空穴雷聲吼(공혈뢰성후)/ 하늘의구멍에서우렛소리불어대니
高標日馭回(고표일어회)/ 고상한풍치에해를몰고도는도다.
炎天佛骨冷(염천불골랭)/ 여름날 부처님도 춥다하는데
風自廣寒來(풍자광한래)/ 달의 궁전에서 바람 불어오네.


東海祠(동해사)
肅肅靈壇靜(숙숙령단정)/ 엄숙하고 정결한 영단
蒼蒼松桂長(창창송계장)/ 오래도록 새파란 솔밭
千年香火地(천년향화지)/ 천년이어 향불 피는 여기
天闊海茫茫(천활해망망)/ 열린 하늘 바다 끝없어라.


神興寺(신흥사)
山深多爽氣(산심다상기)/ 상쾌한 기분이 넘치는 깊은 산
骨冷不成眠(골랭불성면)/ 뼈가 시려 잠도 이를 수 없는데
半夜風泉響(반야풍천향)/ 한밤에 바람소리 샘물소리 일어
今猶在耳邊(금유재이변)/ 오히려 언제나 귓가를 울리누나.


洞山(동산)
沙路緣滄海(사로연창해)/ 푸른 바닷가에 인연한 모랫길
瑤岑鎖碧霞(요잠쇄벽하)/ 푸른 노을에 잠긴 아름다운 봉
追思欹枕夜(추사의침야)/ 아옛날에묵던밤이그리워지고
一夢到仙家(일몽도선가)/ 한낱 신선이 사는 집에이른 꿈.

 

峴山(현산)
我學山翁醉(아학산옹취)/ 부사의 취한 꼴을 내가 따르니
兒童笑似泥(아동소사니)/아이들은 내 꼴보고 웃어댄다.
風流今尙在(풍류금상재)/ 풍류는 오히려 이제부턴데
爭唱白銅鞮(쟁창백동제)/ 백동제 다투어 노래하누나.

 

大堤(대제)
江水拍山去(강수박산거)/ 강물은 소리 내며 산을 떠나니
處處芳草多(처처방초다)/ 곳곳에 방초는 많고도 많구나.
明月照官路(명월조관로)/ 밝은 달은 밤마다 관아 길을 비추는데
女郞連袂歌(여랑연몌가)/여아남아손에손잡고 노래부르네.

------------------------------------------------------------------------------------------------------------------------------------------

 

 

------------------------------------------------------------------------------------------------------------------------------------------

『希菴先生集』卷之一 희암선생집 권지일〔희암 채팽윤(希菴蔡彭胤) 1669∼1731〕

 

太平樓次登樓賦(태평루차등루부)
瀕浡溟而東徂兮(빈발명이동조혜)。提漢符而分憂(제한부이분우)。駕尻輪而上下兮(가고륜이상하혜)。求古人以作仇(구고인이작구)。州城廻而面陽兮(주성회이면양혜)。挾萬里之滄洲(협만리지창주)。遡峴首之登眺兮(소현수지등조혜)。追習池之風流(추습지지풍류)。雲霞連延(운하련연)。玄圃丹丘(현포단구)。竹環巖臼(죽환암구)。龍耕沙疇(용경사주)。斯衆眞之所來往兮(사중진지소래왕혜)。飊馭忽以不留(표어홀이불류)。賓樓峩而特起兮(빈루아이특기혜)。緬成毁之古今(면성훼지고금)。顧賢達之湮滅兮(고현달지인멸혜)。絫余欷之曷任(유여희지갈임)。臨風雨而上征兮(임풍우이상정혜)。壯表裏之帶襟(장표리지대금)。雪山立於天半兮(설산입어천반혜)。分五㙜之北岑(분오대지북잠)。漢水縈以南經兮(한수영이남경혜)。負鹿門之幽深(부록문지유심)。東端豁而海色兮(동단활이해색혜)。

 

思褰裳其難禁(사건상기난금)。奏鼓角之隆隆兮(주고각지륭륭혜)。轟地中之雷音(굉지중지뢰음)。招安詳而遙集兮(초안상이요집혜)。鸞鳳翔而交吟(난봉상이교음)。當朱炎之歊赩兮(당주염지효혁혜)。畏景鑠於庭心(외경삭어정심)。扳欞檻而屛箑兮(반령함이병삽혜)。神飄飄其何極(신표표기하극)。唉暮齡之棲棲兮(애모령지서서혜)。撫盛年之陳力(무성년지진력)。羌內省而忸怩兮(강내성이뉴니혜)。余不免乎謀食(여불면호모식)。

 

憫誅求之苛慘兮(민주구지가참혜)。搜租賦之藏匿(수조부지장닉)。冀裨補於塵露兮(기비보어진로혜)。詎幾微於辭色(거기미어사색)。置蓬萊於脚下兮(치봉래어각하혜)。疑兩腋之揷翼(의량액지삽익)。超氛濁以自䟽兮(초분탁이자소혜)。笑扶搖之中息(소부요지중식)。惟中夜之屢興兮(유중야지루흥혜)。念先朝而潛惻(염선조이잠측)。望梧野而抆血兮(망오야이문혈혜)。託蕪詞而訴臆(탁무사이소억)。情絪縕而徙倚兮(정인온이사의혜)。不知日車之側(불지일차지측)。

------------------------------------------------------------------------------------------------------------------------------------------

 

 

------------------------------------------------------------------------------------------------------------------------------------------
『鳴巖集』卷之四 명암집 권지사 〔명암 이해조(鳴巖李海朝) 1660~1711〕

 

雨後。同李子實景華登太平樓(우후。동리자실 경화 등태평루)。/비온 뒤 임천리에 사는 子實李景華(자실 이경화)와 함께 태평루에 올라


隨車雨過遍芳芬(수차우과편방분)/비온 뒤에 수레를 타고 꽃향기 맡으며
樓上春容醉十分(루상춘용취십분)/태평루에 올라 봄 경치에 십분 취했네.
楊柳綠添江水色(양류록첨강수색)/남대천 물은 수양버들의 초록빛을 더하고
梨花紛似雪山雲(리화분사설산운)/설악산의 구름 배꽃같이 어지러이 날리네.
溟鵬掀倒詩翁筆(명붕흔도시옹필)/붕새가 치솟았다 내리는 듯 시인의 붓놀림에
沙鳥飛依舞妓裙(사조비의무기군)/춤추는 기녀 치맛자락은 물새가 나는 듯하네.
佳興此間誰解得(가흥차간수해득)/이 순간의 취흥을 누가 알아차릴까
鹿門棲隱有龐君(록문서은유방군)/녹문에서 자적하는 자실군이 있구려.
註子實居鹿門(주 자실거록문)/ 자실은 임천에 산다

------------------------------------------------------------------------------------------------------------------------------------------

 

 

------------------------------------------------------------------------------------------------------------------------------------------

『壺谷集』卷之七 호곡집 권지칠〔호곡 남용익(壺谷南龍翼) 1628~1692〕

 

襄陽太平樓(양양태평루)。醉贈主守崔成伯商翼(취증주수최성백상익)。/ 양양 태평루에 취하여 최상익 부사에게 바치다
襄陽歌舞白銅鞮(양양가무백동제)/양양가 백동제를 부르며 춤을 추니
自古風流說大堤(자고풍류설대제)/풍류는 자고로 넓은 제방 길이로다.
最是太平樓上興(최시태평루상흥)/이 태평루에 오르니 흥이 최상인데
依依落日峴山西(의의락일현산서)/현산 서쪽으로 지는 해가 그립구나.

------------------------------------------------------------------------------------------------------------------------------------------

 

 

------------------------------------------------------------------------------------------------------------------------------------------

『白軒先生集』卷之十五 백헌선생집 권지십오〔백헌 이경석(白軒李景奭) 1595~1671〕

 

太平樓重修上梁文(태평루중수상량문)
蓋聞三千弱水(개문삼천약수)。渺金闕於夢中(묘금궐어몽중)。九萬層霄(구만층소)。迷玉京於雲裏(미옥경어운리)。固知眞人官府(고지진인관부)。空傳上界之名(공전상계지명)。特地亭臺(특지정대)。便擅中州之勝(편천중주지승)。矧乎東方山水(신호동방산수)。妙境錯於三神(묘경착어삼신)。北極星辰(북극성진)。飛觀翔於千仞(비관상어천인)。所以名區物色(소이명구물색)。隨燕賀而逾新(수연하이유신)。太守風流(태수풍류)。飾翬飛而仍舊(식휘비이잉구)。惟此襄陽之爲府也(유차양양지위부야)。關東都護(관동도호)。嶺左要衝(영좌요충)。

 

天低雪岳(천저설악)。瑞霧繞於岡巒(서무요어강만)。地接滄溟(지접창명)。香火崇於壇壝(향화숭어단유)。川流屈曲(천류굴곡)。根碧玉於五臺(근벽옥어오대)。島勢縈回(도세영회)。環綠筠於四面(환록균어사면)。蓋乾坤淸淑之氣(개건곤청숙지기)。此焉扶輿(차언부여)。而冠蓋往來之賓(이관개왕래지빈)。于以結轍(우이결철)。非無客館之爰處(비무객관지원처)。別有仙樓之可登(별유선루지가등)。實顯敞而寡仇(실현창이과구)。占幽深而特起(점유심이특기)。旁臨睥睨(방림비예)。髣髴閬苑之城(방불랑원지성)。近壓村閭(근압촌려)。依俙武陵之境(의희무릉지경)。鷄鳴犬吠(계명견폐)。疑舐鼎而昇天(의지정이승천)。

 

鵲噪烏飛(작조오비)。訝成橋而渡漢(아성교이도한)。覩太平之揭額(도태평지게액)。先一笑而開顏(선일소이개안)。宗英留大字於金題(종영류대자어금제)。詞客寄名章於粉壁(사객기명장어분벽)。靑山映戶(청산영호)。如聞謝眺之吟(여문사조지음)。白石鋪階(백석포계)。未遇初平之叱(미우초평지질)。光通洛寺(광통낙사)。賓彩旭於殘宵(빈채욱어잔소)。氣挹溟州(기읍명주)。納霱雲於晴晝(납휼운어청주)。祝融讓序(축융양서)。庚熱屛而秋催(경열병이추최)。顓頊斂威(전욱렴위)。暘谷噓而春早(양곡허이춘조)。觴斟霞醞(상짐하온)。珍羞璨鮫室之珠(진수찬교실지주)。樂奏雲璈(악주운오)。艶質耀蟾宮之玉(염질요섬궁지옥)。

 

長空飛步(장공비보)。呂道士之三過(려도사지삼과)。暇日銷憂(가일소우)。王仲宣之四望(왕중선지사망)。顧年歲之已久(고년세지이구)。斯棟宇之漸頹(사동우지점퇴)。非爲燕休之私(비위연휴지사)。終成鳩僝之志(종성구잔지지)。松楹柏板(송영백판)。越璿壑而非遙(월선학이비요)。桂梲杏梁(계탈행량)。浮急湍而伊邇(부급단이이이)。卜日居月諸於農隙(복일거월제어농극)。課雪斧電刅於公餘(과설부전刅어공여)。罔使專美於前(망사전미어전)。無令廢觀於後(무령폐관어후)。魚龍踊躍(어룡용약)。增喜氣於陽侯(증희기어양후)。鸞鳳翺翔(난봉고상)。動歡容於富媼(동환용어부온)。豈徒士女之咸聳(기도사녀지함용)。抑亦飛走之胥欣(억역비주지서흔)。

 

雖興廢摠關於天時(수흥폐총관어천시)。卽修繕惟賴於地主(즉수선유뢰어지주)。前府伯李侯名(전부백리후명)。星山人也(성산인야)。蜚英亨軌(비영형궤)。夙高騁於雲衢(숙고빙어운구)。屈迹專城(굴적전성)。仍薄遊於霧術(잉박유어무술)。黃堂坐嘯(황당좌소)。伴一鶴而共來(반일학이공래)。白屋興謠(백옥흥요)。恐雙鳧之遄去(공쌍부지천거)。政報最於三異(정보최어삼이)。惠稱均於一同(혜칭균어일동)。未見都料之訖功(미견도료지흘공)。已聞山公之啓事(이문산공지계사)。璽書增秩(새서증질)。遽換紱於繁雄(거환불어번웅)。闔境驚心(합경경심)。競攀轅而遮擁(경반원이차옹)。耳提面命(이제면명)。

 

事未了於苟完(사미료어구완)。足往心留(족왕심류)。行有違於初計(행유위어초계)。煙霞帶怊悵之色(연하대초창지색)。鷗鳥含別離之情(구조함별리지정)。舊令尹必告其所爲(구령윤필고기소위)。新使君烏可以不勉(신사군오가이불면)。今府伯韓侯名縝(금부백한후명진)。西平人也(서평인야)。荊州願識(형주원식)。聲籍甚於諸公(성적심어제공)。竹使遙馳(죽사요치)。憂忽分於百里(우홀분어백리)。暫輟臺閣之戴豸(잠철대각지대치)。聊乘郡齊之畫熊(요승군제지화웅)。適値身近於六鼇(적치신근어륙오)。何難手修乎五鳳(하난수수호오봉)。下車屬耳(하차속이)。便銳意於輪焉奐焉(편예의어륜언환언)。如雨沛然(여우패연)。遂推恩於遠者近者(수추은어원자근자)。令無煩而皆悅(영무번이개열)。工不勸而自趨(공불권이자추)。今者人謂斯何(금자인위사하)。

 

古來物若有使(고래물약유사)。迥臨飛鳥(형림비조)。見突兀於眼前(견돌올어안전)。允協交龜(윤협교구)。想經營於心上(상경영어심상)。何須峴首(하수현수)。空勞片石之傳(공로편석지전)。且向遨頭(차향오두)。試聽萬人之頌(시청만인지송)。滄洲翠水(창주취수)。將舍此而焉求(장사차이언구)。玄圃丹丘(현포단구)。尙登玆而可覽(상등자이가람)。誰知捐月俸之助(수지연월봉지조)。得致不日成之休(득치불일성지휴)。淸風共明月長閑(청풍공명월장한)。碧海與靑天俱闊(벽해여청천구활)。顧名思義(고명사의)。

 

良士永保無荒(양사영보무황)。爲政以仁(위정이인)。賢者方能同樂(현자방능동악)。垂示來許(수시래허)。庶幾勖哉(서기욱재)。景奭曩獲浮遊(경석낭획부유)。曾經信宿(증경신숙)。殘星長笛(잔성장적)。倚趙嘏之高樓(의조하지고루)。斗酒百篇(두주백편)。慙李白之秀句(참리백지수구)。

 

白頭授簡(백두수간)。敢追司馬大夫(감추사마대부)。靑眼披緘(청안피함)。其奈雕蟲小技(기내조충소기)。蒼苔窮巷(창태궁항)。倦此日之揮毫(권차일지휘호)。朱栱浮雲(주공부운)。憶當時之繞筆(억당시지요필)。重修滕閣記(중수등각기)。何望於昌黎(하망어창려)。左拍洪崖夢(좌박홍애몽)。長尋於蓬島(장심어봉도)。遙贊虹飛之擧(요찬홍비지거)。用添雀躍之歡(용첨작약지환)。


拋梁東(포량동)。
五夜昏眠八表同(오야혼면팔표동)。
桑旭已從滄海出(상욱이종창해출)。
枕邊先報碧窓紅(침변선보벽창홍)。


拋梁西(포량서)。
楊柳陰陰擁大堤(양류음음옹대제)。
舞罷羽衣尋去路(무파우의심거로)。
瞑煙收盡彩霞迷(명연수진채하미)。


拋梁南(포량남)。
玉洞祥雲雜翠嵐(옥동상운잡취람)。
衮衮長川流入海(곤곤장천류입해)。
碧峯渾向水中涵(벽봉혼향수중함)。


拋梁北(포량북)。
長望紫宸雲五色(장망자신운오색)。
夜夜窓間宿斗牛(야야창간숙두우)。
朱簾不受三更黑(주렴불수삼경흑)。


拋梁上(포량상)。
一倚闌干收萬象(일의란간수만상)。
琪樹瓊林帶雪香(기수경림대설향)。
四時供得仙人賞(사시공득선인상)。


拋梁下(포량하)。
不用鸞驂兼鶴駕(불용란참겸학가)。
俯瞰晴川素練橫(부감청천소련횡)。
分明一派銀河瀉(분명일파은하사)。


伏願上梁之後(복원상량지후)。湖山無恙(호산무양)。民物益蕃(민물익번)。豈惟燕歌趙舞之是崇(기유연가조무지시숭)。繼有召父杜母之來涖(계유소부두모지래리)。氛消祲廓(분소침곽)。樂萬里之農桑(악만리지농상)。海晏河淸(해안하청)。閑一區之煙火(한일구지연화)。戶絃家誦(호현가송)。文敎洽於武城(문교흡어무성)。野抃塗吟(야변도음)。麥岐連於花縣(맥기련어화현)。神扶數百尋之爽塏(신부수백심지상개)。世享億萬年之治平(세향억만년지치평)。

------------------------------------------------------------------------------------------------------------------------------------------

 

 

 

해설

이경석(李景奭)이 상량문(上樑文)에칭송(稱頌)하기를“삼천리 약수(弱手)에 대해 들었다.꿈속에 아득히 멀리〔杳,渺〕금궐(金闕)은 구만 겹의 층층 구름 사이에 있고희미한 구름 속에 옥경(玉京)이 있어 진실로 진인관부(眞人官府)임을 알았다.공연히 상계(上界)에 이름이 전해지는데,특히 지상에 정(亭)이나 대(臺)에 있어 그렇다.

 

중국의 빼어난 승경(勝景)에 있어서도 그러니 하물며 우리 동방 산수 묘경(妙境)은삼신(三神)에둘 수 있으니 더욱 그렇다.북극성신(北極星辰)에 비관(飛觀)은 천길 높이에 빙빙 돌고 있으니, 이름난 곳에 더욱 돋보이는 볼거리〔物色〕가 된다. 누각이 완성되어 축하객〔燕賀〕을 따라새롭게 단장한 이곳에 들르니,태수(太守)는풍류가 있으며 관청은 화려하다.

 

이로부터 오래도록 이곳 양양의 관청이 될 것이다. 관동도호(關東都護)대관령 좌측의 요충지로 하늘은 설악산에걸려있으며 상서로운 안개가 산등성이를 감싸고 있다. 육지는 푸른 바다와 인접해 있고 향불〔香火제사〕이 제단에 높이 피어오른다.시냇물은 굽이굽이 오대산에서 흘러오고, 섬들이 휘감고 있으며 사면에 푸른 대나무가 빙 둘러자라있다.아마도하늘과 땅의 청숙(淸淑)한기운이이곳을 감싸 지키고 있는 듯하다.

 

수레를 타고 내왕하는 손님들은 이곳에 수레를 묶으니객관(客館)으로 이보다 편안한 곳이 없는 것은 아니나,이곳엔 별도로 선루(仙樓)가 있어 오를 만한데,실로 사방이훤하게 보여 더할 나위 없이 좋다〔文選王粲登樓賦覽斯于之所處兮實顯敞而寡仇〕조용하면서도 고요한 곳에 위치해있고두드러지게 솟아 있어 난간에 임해 바라보면 낭원(閬苑:신선이 산다는 곳)성(城)과아주 흡사하다. 가까이마을이 내려다보이는데 무릉(武陵)지경과 아주 닮았다.

 

닭은 울고개는짖다가 솥에약을핥아먹고하늘에올랐고 〔舐鼎〕까치는 울고까마귀는 날아 잠시 후 다리를 만들어 주니 은하수를 건넜다. 태평루에 걸린 편액을 보면먼저 한번 웃고 얼굴이 풀어지는데,금제(金題)에 동족(同族)이 큰 글자를 남겼기 때문이다.시인묵객(詩人墨客)은회칠한 분벽(粉壁)에 이름난 문장을 남기었다.‘청산영호(靑山暎戶:푸른 산 빛은 집에 비춘다)’라는시구(詩句)는사조(謝眺)시를 듣는 듯하고,‘백석포계(白石鋪階:흰 돌은계단에 펼쳐졌다)’라는 시구는 초평(草平)의 비평을 받지못했다.

 

빛은 낙산사로 통하고 밤이 끝나갈 무렵 옅은 채색 기운〔미명이 싹트는 기운〕은 누각을 감싼다.기운은 명주(溟州)를떠앉고,상서로운 구름〔霱雲〕은 갠 오후에 밀려든다. 여름〔祝融:여름을 맡은 신〕이 찾아오니 삼복 더위〔庚熱〕심하고,가을 촉박하더니 전욱(顓頊:가을을 맡은신)이위세를거두어들인다.양곡(暘谷:해가 뜨는 곳)이 숨을 쉬니 봄이 일찍 시작되어 노을을 담아낸다.교실(鮫室:인어의 거실)에 구슬이 찬란하게 빛을 발하니 즐거이 운오(雲璈:징과 같은 타악기의 하나)를 연주하고,섬궁〔蟾宮,月宮〕에 옥이 요염하게 빛을 내니 창공에 날리 듯 퍼진다.여도사(呂道士)는 세 번이나 지나치며〔三過〕한가한날에 시름을 날렸으며, 왕중선(王仲宣)은 사망산(四望山)에서 오랜 세월 지났음을 돌아보았다. 이에 누각은 점차퇴락 하였다. 이에 한가하게 휴식하려는 사사로움에서 시작한것이 아니라, 끝내 누각을 짓겠다는 의지에서 이루고자 하였다. 소나무 기둥에 잣나무 판자는 깊은 골짜기에 흩어져오를 수 없게 되었고, 계수나무 서까래와 은행나무 들보는 급 물살에 떠내려 간지 오래 되었다. 농사철 틈틈이시간을 내고 공무 여가에 나무를 고르고 자르도록 하였다.

 

앞에서 오로지 아름다운 명예를 누리려 함이 없고, 뒤에서 관아의 업무를 폐함이 없도록 하였다.어룡(魚龍)이뛰어올라 양후(陽侯)에 기쁜 기색을 더하게 하고,난세와봉황이 높이 날아 부온(富媼)에게 얼굴에 웃음을 주었으니어찌 단지 사녀(士女)만이 함께 높이 생각하겠는가? 도리어 날짐승 들짐승 모두 기뻐하였다.

 

이 누각 흥폐가 모두 하늘이 주는 때[天時]에 관계되기에,즉시수선(修繕)하고땅 신에게 머리를 조아린다.전부백(前府伯)이후(李侯)는 이름이 인이고 성산(星山)사람이다. 명실상부〔蜚英〕하게 이름을 드날리고 모범을 보여조정〔雲衢〕에 일찍이 높이부름을 입었으나, 몸을 낮추고 오로지 한 고을에 전력하여 무술〔(霧術):작은 고을의거리〕에서 자유롭게 노닐었다.

 

황당(黃堂,官衙)에 앉아 휘파람불려한마리학을짝하여 함께 왔으며,백옥(白屋)에서도 흥겨이 노래 부르며 오리들이 빨리 내달리는 것을 열려하였다. 고을에 행한 덕정(德政)은 삼이(三異)에서도 최고이며,은혜를 배풀어 고을사람 모두에게 고르게 하였다.도료장,공장(都料匠, 工匠)에게 공을 빌리지 않았어도 산공에게 천거〔山公啓事〕를받았다 이미 들었다.새서(璽書)가점차많아져 드디어 많은 뛰어난인재 중에 발탁되어 궁궐로 나아가게 되었다.

 

이곳〔襄陽〕사람들 화들짝 놀라 떠나가는 수레를 다투어 붙잡고 막아서서 붙잡는다. 하나하나 친절하게 가르쳤으나〔耳提面命〕일 완전히 못 마치고 발길은 떠나가나마음은 남으니처음 계획대로 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연하(煙霞)에마음 아프고 슬픈 기색이 어리고,갈매기에 이별에 정 머금는다.옛 영윤(令尹) 반드시 그 하고자 했던바를 알리니,새사군(使君) 어찌 힘써 행 하지아니 하겠는가?지금부백(府伯)한후(韓侯)는이름이진(縝)이고서평(西平)사람이다. 사람 모두가 그를 만나기를 원할 만큼〔願識韓荊州〕명성이 여러 사람들 사이에 자자하였다.

 

죽사(竹使:지금의 군수)가 먼 곳에서 이르니 근심이 백리에 문득 분산되었다. 잠시 대각〔臺閣: 대궐〕임무에서 벗어나 고을을 다스리게 되었다.때마침 몸은 육오(六鼇)를 가까이 하였으니 어찌 오봉(五鳳)을 손으로 이끌기어렵겠는가? 수레에서 내려 백성에 귀 기울여 문득 누각짓는 일〔輪奐〕에 온 힘을 기울였다. 마치 뭉게 구름이일고 비가 쏟아져 내리 듯 은혜가 먼 곳에까지 미치고 가까이 있는 사람들은 괴로움 없이 모두 기뻐하게 되었다.공장(工匠)은 오라고 하지 않아도 스스로들 모여들었으니지금 사람들은 이 어찌 된 일이냐고 말하지만, 예로부터물건이란 부리기에 달린 것이다.

 

멀리 새들이 날아와 눈앞에 뚜렷하게 보이고 진실로 거북이번갈아 도우니마음에경영을 색각하였다. 어찌 현산〔峴首〕에 부질없이 편석(片石)만을 전하려 수고한 것이겠는가? 또한 오두(遨頭)하여 만인의 칭송을 듣고자 함이겠는가? 창주(滄州)에취수(翠水)를이곳말고 어디에서 찾을 것이며,현포(玄圃)에 단구(丹丘)를 이곳에 오르면 볼수 있다. 누구인들 월급을 덜어 보탰음을 알겠는가? 완공날자가 되지도 않아 누각이 이루어지는 아름다움을 빚어냈다.맑은 바람과 밝은 달이 오래도록 한가롭고,푸른 바다와 파란 하늘이 모두 눈앞에 거침없이 펼쳐진다. 명예를돌아보고 의로움을 생각하니좋은 선비는 영원히 보전되어사라지지 않으며, 인으로 정사를 펼치니 현자가 사방에서함께즐거워한다.

 

좋은 본보기를 보였으니 어찌 돕지 않으리요! 경석(景奭:필자 본인)이 지난번 떠돌아다닐 때 일찍이 이곳에서묵었으니 새벽 별에 길게 피리를 불며 조하(趙嘏)처럼 높은 누각에 기대며, 말술을 마시며 백 편의 시를 지었지만이백(李白)의 빼어난 시구에 부끄러웠다.하얗게 센머리로글을 써보지만 사마대부〔사마상여〕를 어찌 따라갈수있을까! 청안(靑眼)으로글을 읽어보나 그것은 이내 조충(雕蟲)의 작은 기예일 뿐이다.창태(蒼苔) 낀 궁항(窮巷)에서오늘 붓을 놀리는 일도 게으르다. 붉은 기둥 구름에 떠있고 당시에 글을 추억한다.중수등각기(重修滕閣記) 어찌한유에게 바라겠는가? 좌측으로 홍애(洪崖:전설상의 신선이름)를 치며 꿈에 오래도록 봉도(蓬島)를 찾는다. 무지개높이 떠서 기리고 참새 뛰어 날며 기쁨을 보탠다.

 

동쪽에 대들보를 올린다.이영차 어여차,오야(五夜)에혼면(昏眠)하여땅 끝이 암흑이나,부상에 해가 이미 창해에 떠오르니,잠자리 푸른 창가에 붉은 빛이 먼저 든다.서쪽에 대들보를 올린다.이영차 어여차,버드나무 그늘큰 둑을 뒤덮어도춤끝내고 우의(羽衣)입고 갈 길을 찾으니,자욱하던 안개 거치고 붉은 놀이 아름답다.

 

남쪽에 대들보를 올린다.이영차 어여차,옥동(玉洞)에상서로운 구름 푸른 이내에 뒤섞이며, 끝도 없이 흐르는시내는 바다로 흘러드니, 푸른 봉우리 모두가 물 속에 잠긴다.

 

북쪽에 대들보를 올린다.이영차 어여차,오래도록 대궐을 바라보니 구름이 오색이라, 밤마다 견우성과 북두성이창에 머무르니,붉은 주렴 삼경에도 검은 빛이 아니구나,

 

위쪽에 대들보를 올린다.이영차 어여차,한결같이 난간에기대니 삼라만상 다 모인다.옥 같은 숲과나무설향(雪香)마저 머금으니,사계절 신선과 함께 감상할만하다.

 

아래에 대들보를 올린다.이영차 어여차.난참〔(鸞驂)신선들의 수레〕과 학가〔(鶴駕)신선들이 타는 가마〕없이,맑은 개울 굽이굽이 돌아드는 모습 굽어보니,분명히은하수를 쏟아낸 것이리라.

 

상량한 뒤에는 호수와 산에 아무 일 없으며,민물(民物)을 더욱 번창하기를 엎드려 바라니,오직 연가(燕歌)와 조무(趙舞)가이곳에서 숭앙되며,계속해서 소부와 두모〔召父杜母〕가와서 울고 갈 것이다. 음산한 기운은 사라지고신령함이 넓게 퍼지어 만리의 백성들이 즐거워 할 것이다.바다는 편안하고 물은 맑아 고을의 밥 짓는 연기만이 한가로우며, 집집마다 악기를 타며 노래하여 글을가르침이무성(武城)에넘쳐나리라.들과 길에서 땅을 두드리며 풍년노래하니 보리줄기가 화현(花縣)에 이어지리라. 신(神)은수백에〔(塽塏: 앞이 탁트인 땅)〕을 찾게 도와주며,세상은 억만년의 태평성대를 누리리라”하였다.

------------------------------------------------------------------------------------------------------------------------------------------

 

 

------------------------------------------------------------------------------------------------------------------------------------------

『艮翁先生文集』卷之十 간옹선생문집 권지십〔간옹 이헌경(艮翁李獻慶) 1719∼1791〕

 

襄陽太平樓重修上樑文(양양태평루중수상량문)
述夫銀臺金闕(술부은대금궐)。引仙侶於丹岑(인선려어단잠)。玉宇瓊樓(옥우경루)。敞淸都於碧落(창청도어벽락)。嫦娥繡幕(항아수막)。宵開紅桂之宮(소개홍계지궁)。王母綺窓(왕모기창)。曉啓白瑤之殿(효계백요지전)。何莫非詞家稱述(하막비사가칭술)。爭誇瓌壯之觀(쟁과괴장지관)。稗史鋪張(패사포장)。盛說淸虗之跡(성설청허지적)。然而仙凡敻隔(연이선범형격)。永悵望於千年(영창망어천년)。神聖都迷(신성도미)。竟然疑於六合(경연의어륙합)。羅遠之橋誰躡(나원지교수섭)。穆王之駕莫憑(목왕지가막빙)。有無難眞(유무난진)。

 

是非終古(시비종고)。曷若名區勝界(갈약명구승계)。擅湖海之風流(천호해지풍류)。快閣飛樓(쾌각비루)。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