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3.1만세 운동사

(2) 독립유공자 공훈록

페이지 정보

조회 1,366회 작성일 2019-10-29 16:17

본문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6504

성명 고대선 한자 高大先

이명 高大善

성별 남

생년월일 (1896)

사망년월일 1919-04-09

본적 강원도 양양 縣北 漁城田
주소 江原 襄陽 縣北 漁城田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 격 애국장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양양군 내에서 가장 많은 사상자를 낸 현북면(縣北面)의 독립만세운동에 참석했던 그는 어성전리(漁城田里)출신이었다. 1919년 4월 9일 현북면민들은 독자적으로 만세운동을 벌였는데,본래의 계획은 박원병(朴元秉)이 독립선언서를 많이 제작하기로 하고 마을마다 태극기를 만들어 양양 장날인4월9일 양양읍에 가서 만세운동을 일으킬계획이었다. 그러나 박원병이 가지고 있던 독립선언서가 일제 관헌에게 발각되어 읍으로 가는 것이 저지됨에 따라 관할 주재소를 습격하기로 변경하였다.그는 하광정리(下光丁里) 면사무소 주변 광장에 모인1천여 명의 군중과 함께 소리 높여 독립만세를 부르고 기사문리(其士門里)에 있는 경찰주재소로 향하였다.주재소에서는 미리 정보를 입수하여 전날 지원부대가 도착해 있었고 일제군경은 주재소 옆 개울 언덕에서 군중을 향하여 총을 겨누고 엎드려 있었다. 1천여군중은 주재소로 향하면서 독립만세를 일제히 불렀고 일제군경이 마구 쏘아댄 총탄에 맞아 그를 비롯한 전원거(全元擧)·임병익(林秉翼)·홍필삼(洪必三)등9명이 현장에서 순국하였다.이날의 운동을'기사문 운동'이라 부른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第2卷626面
鄕土誌(襄陽文化院,1976) 105面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1591 포상정보
성명 권광식 한자 權廣植

이명 없음

성별 남

본적 강원도 양양 縣北 明池326
주소 江原 襄陽 縣北 明池32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그는1919년 양양군 현북면 명지리(縣北面明池里)에서 구장으로 있었다. 현북면의 독립만세운동을 추진하는데 가장 큰 힘을 발휘했던 각 마을의 구장 김익렬(金益烈)·김우근(金禹)·김진혁根( 振赫)등金과 같이 이해4월9일의 시위를 위하여 준비해 왔다. 그는 기독교인과 유학자 그리고 각 마을의 구장이 삼위일체가 되어 전개한 대규모의 독립만세운동에 태극기 제작을 맡아서 면민에게 배부하고, 1,000여 명을 집결시켜 태극기를 흔들면서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운동을 전개하다가 일경에 피체되었다. 1920년 3월 8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8월형을 언도받아1년여의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身分帳指紋照會回報書
鄕土誌(襄陽郡敎育廳) 74·75·76面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第2卷624面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第14輯983面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7671

성명 권병연 한자 權炳淵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82-07-30

사망년월일 1919-04-04

본적 충 청남도 서산 大山大竹
주소 江原 襄陽 襄陽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1
훈 격 애국장



공훈록


충남 서산(瑞山)사람이다.1919년4월4일 강원도 양양(襄陽)장터에서3‧1독립만세시위가 일어나자 다수의 군중과 함께 시위에 참가한 그는 경찰서를 엄습하고 구속자 석방을 요구하다가 일경의 총탄에 맞아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86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2권616면
3‧1운동의사추모비(1963. 3. 1 건립)
양양향토사 104∼107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956410

성명 김경화 한자 金敬和

생년월일 1901-07-18

사망년월일 미상

본적 강원도 양양 강현 광석 83
주소 서울 배화여자학교 기숙사



포상정보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년도 2018
훈 격 대통령표창



공훈록


경성배화여학교 (경영배화여학교)는 1898년 미국 남감리교 여선교사 조세핀 켐벨이 설립한 근대 대표적인 민족여성의 산실로, 1906년 양양현산학교를 설립한 남궁 억 선생이 8년 동안 교사로 재직하면서 민족의식과 독립사상을 고취시키고 교가를 작사하였다. 배화여학교가 3.1운동 당시 활약이 컸던 것도 이런 영향 때문이었고, 양양과 인연이 있는 사립기독교학교이다.
당시 배화여학교 고등과에 재학한 김경화는 이수희와 주도적으로 기숙사 여학생들과 함께 1920년 3월 1일 ‘3.1독립만세운동 1주년기념식’을 가진 뒤 학교 교정과 기숙사 뒤편 언덕에 올라가 조선독립만세를 함께 외치며 독립 의지를 천명하여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이때 종로경찰서에 체포되어,김경화는 이수희와 함께 징역1년에 집행유행예 3년, 나머지 22명은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2018년8월15일제73주년광목절을 기해,제2의 유관순이라 불리는 김경화(金敬和)는 98년만에 동료학생 박양순(朴良順),성혜자(成惠子),소은명(邵恩明),안옥자(安玉子),안희경(安喜敬)과 공적과 옥고가 확인된6명이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30297

성명 김계호 한자 金啓鎬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902-07-13

사망년월일 1948-09-26

본적 강원도 양양 靑谷411
주소 江原 襄陽 襄陽 靑谷411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6
훈 격 대통령표창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1919년 4월 4일 양양읍 장날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교회 청년이었던 김계호는 김재귀·김주호(金周鎬)등을 동지로 포섭하여 만세운동을 벌이기로 하였다.
이들은 양양군 임천리(林泉里)를 거점으로 삼고,4월4일 양양읍 장날을 기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일으킬 것을 계획하였다.
김계호는4월3일 김필선·김재귀 등과 함께 양양면사무소에서 등사판을 이용하여 백지 200매에 '대한독립만세 양양군(大韓獨立萬歲襄陽郡)'이란 글씨와 태극모양을 인쇄하고, 성남동 뒤에 있는 상여 보관처에 숨어 옥양목으로 태극기를 만드는 등 거사준비를 차질없이 진행시켜 나갔다.
그런데 만세운동 계획을 사전에 탐지한 일경에 의해 제작된 태극기가 압수되고 말았다.
이때 김계호 등 일부 인사들은 일제의 포위망을 벗어나 만세시위의 준비를 예정대로 강행하였다. 거마리(車馬里) 김종태(金鍾台)의 집으로 본거지를 옮긴 이들은 다음 날의 거사를 위해 태극기를 밤새도록 준비하였고,마침내 거사 당일까지 필요한 준비를 차질없이 마칠 수 있었다.
거사당일인4월4일오전 11시경, 양양읍 장터에는 4,000여 명의 군중이 모여들었고, 김계호는 군중에게 태극기를 나눠주는 한편 독립만세를 선창하면서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그는 만세시위의 현장에서 일경에 피체되어 5월 31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으로 징역 8월을받고옥고를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6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每日申報(1919. 5. 3)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5輯974·975面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2卷612·613面

判決文(1919. 5. 31. 京城覆審法院)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第14輯976面

江原道抗日獨立運動史(光復會江原道支局) 第1卷308·309面
判決文(1919. 7. 3. 高等法院)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4735
성명 김두영 한자 金斗榮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99-12-23

사망년월일 1978-06-28

본적 강원도 양양 降峴 沕淄
주소 江原 襄陽 降峴 沕淄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강원 양양(襄陽)사람이다.
1919년 4월 5일 양양군(襄陽郡)강현면(降峴面)물유리(沕溜里)등과 함께 강현면(降峴面)·도천면(道川面)사람들과 합동 만세시위를 계획하고 인근 주민을 규합하여4월 5일 물유리(沕溜里)장날에 모인 다수 군중과 함께 강현면·도천면 일대를 돌며 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피체되었다.
1919년5월3일함흥지방법원에서 강릉지청에서 징역10월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6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2권617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14권977면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국사편찬위원회) 4권 421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35985
성명 김명기 한자 金明基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99-10-07

사망년월일 1976-03-08

본적 강원도 양양 襄陽 車馬
주소 江原 襄陽 襄陽 車馬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2006
훈 격 대통령표창



공훈록


강원도 양양군(襄陽郡)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양양에서는 4월8일 양양읍내의 장날에 독립만세시위를 벌이기로 계획하였다. 김명기는 이에 동참하여 4월3일 양양읍내와 서면(西面) 등지에 거사계획을 알리고 참여를 독려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었다. 1919년 10월 8일 원산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4월을 받고 원산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고 1920년 2월 8일 출옥하였다.
1925년 1월 11일 양양에서 결성된 양양신청년동맹(襄陽新靑年同盟)에 참여하여 경리부를 책임지는 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다.또1927년10월신간회 양양지회를 조직하기 위한 준비회(準備會)의 재정부 준비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6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時代日報(1925. 1. 22)
독립운동사(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제2권 611면
中外日報(1927. 11. 7)
身分帳指紋源紙(警察廳)
대한민국 인명부(내외홍보사, 1949) 25면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제5집974~975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5946
성명 김사만 한자 金思晩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91-05-28

사망년월일 1945-02-16

본적 강원도 양양 降峴 釘岩117
주소 江原 襄陽 降峴 釘岩117



포상정보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년도 1990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1919년5월5일 양양군 강현면(降峴面)에서 만세시위를 하다 일경에 피체되어 태180도를 맞았으며, 1926년 4월 김병환(金炳煥) 동지등과 함께 신간회 양양지회(新幹會襄陽支會)를 조직하여 공제부장(共濟部長)으로 활동하였고 1931년 3월 농민조합 간부들과 설악산(雪嶽山)계곡에서 전단을 만들어 700여 동지를 규합 궐기하려다 비밀이 누설되므로써 피체되어 1931년 9월 출옥하였다고 한다.
그는 1932년 5월 26일 양양청년동맹회관(襄陽靑年同盟會 )에서 농민조합을 결성하고 순회교육을 통해 사회주의 사상을 고취시켰다는 혐의로 일경에 피체되었다.

1934년6월22일함흥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2년형에 집행유예 5년을 언도받았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東亞日報(1932. 6. 7, 6. 8, 6. 9, 12. 10, 1934. 6. 23)
日帝侵略下韓國36年史(國史編纂委員會) 第10卷182·183·567面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953691

성명 김석빈 한자 金錫斌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83-02-22

사망년월일 미상

본적 강원도 양양 양양 성내 16
주소 강원 양양 양양 성내 16



포상정보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년도 2013
훈 격 대통령표창



공훈록


1919년9월강원도강릉군(江陵郡)에서 조선의 독립을 위해 모두 거의(擧義)해야 한다는 격문을 붙이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1919년9월21일경밤 격문이라 제목하고, 상부에 구한국대극장(舊韓國大極章)을 그리고, 그 하부에 연달아 의병이 일어나도록 모두가 일제히 나아가야 한다는 취지를 기재한 격고문을, 큰길 옆에 있어서 대중이 쉽게 볼 수 있는 곳인 강릉군 강릉면(江陵面)대정정(大正町)의 이계춘(李桂春)의 집 명패에 붙여 일반 민중을 고취하였다.동년10월16일경 밤 경고문이라 제목하고 상부에 구한국대극장을 그리고, 그 하부에 일본인이 횡폭하므로 조선인이 일제히 일어서 의군(義軍)으로 나아가 조선의 국권을 회복하고 왕실을 봉대(奉戴)해야 된다는 취지를 기재한 격고문을, 큰길 옆에 있어서 대중들이 쉽게 볼 수 있는 곳인 동군 동면 본정(本町) 이종근(李從根)의 집 명패에 붙였다.동년 동월21일경 밤 상부에 구한국대극장을 그리고, 하부에 조선독립만세창의인 원민회 또는 발기인회라 기재한 문서를, 큰길 옆에 있어서 대중들이 쉽게 볼 수 있는 곳인 동군 동면면사무소 게시판 등에 붙쳤다 체포되었다.
1919년12월27일구류되어 1920년 2월 20일 경성복심법원(京城覆審法院)에서 소위 1919년 제령(制令) 제7호(政治에 관한 犯罪處罰의 件)위반으로 징역 10월을 받고 옥고를 치르다가 1920년 7월 21일 서대문형무소(西大門刑務所)에서 출옥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3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刑事控訴事件簿
判決文(京城覆審法院:1920. 2. 20)
身分帳指紋原紙(警察廳)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815

성명 김연수 한자 金延洙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94-06-24

사망년월일 1928-10-24

본적 강원도 양양
주소 미상



포상정보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년도 1990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강원 양양(襄陽)사람이다. 그는1919년10월에 이근옥(李根玉)의 권유에 의해 대한독립애국단(大韓獨立愛國團) 양양군단(襄陽郡團)에 가입·활동했다. 1919년 5월 서울에서 신현구(申鉉九) 등이 주도·결성한 대한독립애국단은 임시정부 지원단체로서 본부를 서울에 두고 강원도·충청도·전라도 등지에 도단(道團)을 설치하고,다시 그 아래 군단(郡團)을 두었는데 양양군단은 강원도단 속칭 철원애국단(鐵原愛國團)의 산하조직이었다. 동단의 활동은 임시정
부의 선전활동과 재정자금의 조달,그리고 국내 조직망을 통한 임시정부 연통부(聯通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동년10월 하순에 그는 이근옥(李根玉)·이석규(李錫圭)·문명섭(文明燮)등과 함께 상해(上海)로 넘어가 임시정부에 직접 참여·활동할 목적으로 서울에 올라왔다. 이때 이들은 서울의 대한독립애국단 본부를 경유하여 상해로 갈 계획이었으나 당시 신현구(申鉉九)등 본부 단원이 일제의 탄압을 피해 다니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연락이 두절됨으로써 고향으로 내려왔다.이후 그는 양양을 중심으로 활동을 전개하던 중1920년 1월에 동단의 강원도단 조직이 발각됨으로써 일경에 피체되어1년여 동안 고초를 치르고1920년 12월 23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났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판결문(1920. 12. 23 경성지방법원)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166면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15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9권991·1004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8344
성명 김영학 한자 金永鶴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77-02-10

사망년월일 (1932-12)

본적 강원도 양양 성내 15
주소 서백리아해삼위신한촌암모롯가야17



포상정보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년도 1990
훈 격 애국장



공훈록


그는 3‧1독립운동 당시 양양(襄陽)의 기독교회 목사로서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으며, 동년 10월초 일찍부터 친분을 가져왔던 대한독립애국단(大韓獨立愛國團)의 조종대(趙鍾大)로부터 동단의 설립취지를 듣고 이에 찬동하여 그 지부(支部)로서 양양군단(襄陽郡團)을 결성하고 군단장(郡團長)으로 활약했다.1919년 5월 서울에서 신현구(申鉉九)등이 주도·결성한 대한독립애국단은 본부를 서울에 두고 강원도·충청도·전라도 등지에 지단(支團)을 설치했는데, 양양군단은 이러한 강원도단(江原道團)의 산하조직이었다.동단에서는 주로 임시정부의 선전 및 재정자금의 모집,그리고 국내의 조직망을 통해 임시정부 연통부(聯通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던 임시정부 지원단체였다.양양군단 결성 직후 그는 김형석(金亨錫)을 비롯해 이근옥(李根玉)·이석규(李錫圭)·김연수(金延洙) 등을 동단에 가입케 하며 조직확대에 힘을 쏟았다. 그런데 1920년 1월 강원도단의 조직이 발각됨으로써 그는 일경에 피체되어 동년 12월 23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1년6월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출옥후 그는 국외로 나아가 독립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심하고, 1922년 9월에 노령(露領) 해삼위(海蔘威) 방면의 선교사로 자원
하였다.그리하여 노령 지역에서 선교사업 및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가1929년 소련 공산당에 피체되어 10년의 중노동형을 언도받고 시베리아에 복역 중 1933년 옥중에서 별세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판결문(1920. 12. 23 경성지방법원)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제1권 분책118면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166면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15면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4권457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9권991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30848
성명 김우근 한자 金禹根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66-11-23

사망년월일 미상

본적 강원도 양양 縣北 中光丁
주소 江原 襄陽 縣北 中光丁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2006
훈 격 대통령표창



공훈록


1919년4월초 강원도 양양군(襄陽郡) 현북면(顯北面)에 거주하는 김재한(金在漢)은 전국 각지에서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된 것에 영향을 받아, 1919년 4월 9일 양양군 현북면 면사무소에서 독립만세운동을 벌이기로 계획하였다. 이 계획을 들은 김우근은 거사 당일 현북면 사무소 앞에 집합하여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전개하였다.

시위 후 체포된 김우근은 1919년 11월 12일 함흥지방법원에서 소위 소요 및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 벌금 30원을 받았고, 1920년 3월 8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요 및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미결구류 180일 통산)을 받았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6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제2권 624면
判決文(京城地方法院:1919. 11. 12)
判決文(京城覆審法院:1920. 3. 8)
매일신보(1919. 2. 4)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1374
성명 김재한 한자 金在漢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99-02-19

사망년월일 1967-05-15

본적 강원도 양양 현북 도리
주소 강원 홍천 내면 창촌 1278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1919년3월1일, 오세옥(吳世玉) 등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일으킬 것을 결의하고, 4월 4일부터 7일까지 양양읍과 현북면(縣北面)을 중심으로 독립만세운동을 일으켰다.이틀후인4월9일 독립만세운동을 벌이면서 기사문(其士門)경찰주재소를 습격하던 중, 일본 헌병에 검거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2권624면
신분장지문조회회보서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국사편찬위원회) 4권 622·623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5978
성명 김종성 한자 金鍾聲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73-12-13

사망년월일 1950-07-08

본적 강원도 양양 縣北大峙194
주소 江原襄陽縣北大峙194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그는 1919년 양양군 현북면 대치리(縣北面大峙里)에 살고 있었으며 중학교 교장(中學校校長)으로 근무하면서 구장(區長)도 겸임하고 있었다.
이곳 현북면의 독립만세운동은 독자적으로 기독교인과 유학자 그리고 각 마을의 구장이 삼위일체가 되어 전개되었다. 그리고 만세운동을 추진하는데 가장 큰 힘을 발휘한 각 마을의구장은 그를 비롯하여 권광식(權廣植)·김창환(金昌煥)등이었다.
드디어 1919년 4월 9일 거사일에 현북사무소 앞에서 김춘열(金春烈)·문석종(文錫鍾)·김창환·권광식 등과 함께 주동이 되어 1,000여 명의 군중과 더불어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자 일경이 일제히 발포하여 사망자9명과 부상자20여 명이 발생하는 격렬한 시위운 동 중에 일경에 피체 되었다.
그리하여 이해 11월 12일 함흥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소요죄 등으로 징역 6월에 벌금 30원형을 언도받고 공소를 제기하였으나 1920년 3월 8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기각, 1년여의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判決文(1920. 3. 8 京城覆審法院)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第2卷623∼626面
每日申報(1919. 12. 4)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성명 김종태 한자 金鍾台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98-03-18

사망년월일 1981-06-24

본적 강원도 양양 襄陽車馬里335번지
주소 江原襄陽襄陽車馬里335번지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2019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1919년 4월 4일 강원도 양양군 양양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깃발을 흔들며 독립만세를 부르다 체포되어 징역1년을 받는 등 독립에 기여함.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9년을 국민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4077
성명 김종택 한자 金鍾澤

이명 金鍾鐸

성별 남

생년월일 1875-09-25

사망년월일 1941-07-30

본적 강원도 양양 巽陽上旺道
주소 江原襄陽巽陽上旺道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 격 애족장



공훈록


1919년4월손양면(巽陽面) 상왕도리(上旺道里)의 이장으로 있으면서, 인근의 주리(舟里) 이장 최한두(崔漢斗),우암리 이장 김진열(金振烈)과 함께 동리주민 약20여명을 인솔하여2개의 태극기를 앞세우고 양양읍으로 향하여 입구인 남대천 다릿가에 이르렀다. 이때 일본 경찰에게 저지당하자,그곳에서 독립만세를 외치었다.다시 연창리(連昌里)에 도천면민(道川面民)이 모여 있다는 소식을 듣고 같이 합세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다가 체포되어, 그해 5월 31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1년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2권620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5권976·977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14권976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5289
성명 김종현 한자 金鍾賢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910-02-08

사망년월일 1995-09-11

본적 강원도 양양 降峴釘岩111
주소 江原襄陽降峴釘岩111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1919년 4월 4일 강원도 양양에서 독립만세 시위운동이 일어나자 이 대열에 참가하고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다가 일경에 피체되었으나 나이 어린 학생(당시10세)임을 감안하여 석방되었다고 한다. 1932년 6월 4일 양양농민조합(襄陽農民組合)을 결성하고 교양부(敎養部)를 담당하여 군대(郡內)14개 지부를 순회하면서 야학을 통해 농촌계몽운동을 하다가 일경에 피체되었다.
1934년6월22일함흥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2년형에 집행유예 5년을 언도받았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東亞日報(1932. 6. 7, 12, 10, 1934. 6. 23)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31099
성명 김진선 한자 金振璿

이명 金振璇,金振璇

성별 남

생년월일 1885-02-27

사망년월일 1948-01-25

본적 강원도 양양 降峴砧橋20
주소 江原襄陽降峴砧橋20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6
훈 격 건국포장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1919년 4월 5일,6일 양일동안 강현면(降峴面)회룡리(回龍里)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이곳의 독립만세운동은 4월 5일 강현면과 도천면(道川面)합동으로 전개되었다.강현면은 물치장터에서 도천면은 경찰주재소가 있는 대포리에서 운동을 펴기로 하였던 것이다. 이들 면의 책임자는 각각 장세환(張世煥)과 김영경(金英經)이었다.이들은 각 마을 마다 책임자를 두어 각기 태극기를 만들도록 하였다.특히 강현면은 넓고 담당지역 분할이 철저하였다.이 지역은 물치리·침교리·적은리·주청리 등으로 분할되었는데,김진선은 강현면의 침교리지역을 담당하였다.
4월 5일 10시경, 물치장터로 모인 강현면민들은 시장 쌀가게 앞에서 독립선언식을 가졌다.
그리고 옥양목으로 만든 큰 태극기를 앞세우고, 1,000여 명의 군중은 손에손에 작은 태극기를 들고 장터에 모여 독립선언식을 거행한 것이다.
이들은 독립선언식을 끝마치고 대포리 주재소로 행진하여 도천면민과 합세하였다. 이들은 주재소로 몰려가 그 주변에서 만세를 부르며 시위를 계속할 때,주재소 수석 석전희삼랑(石田喜三郞)이 군중에게 허리를 굽혀 빌었다.그러자 군중들은 4월 6일 양양읍에서 독립만세운동을 계속 펼치기로 하고 해산하였다.
4월 6일 1,200∼1,300명 정도가 되는 군중이 다시 모여 만세시위를 펼치기 위해 양양읍내로 향했다.그런데 연창(連昌)에 다다랐을 때, 뜻하지 않게 일본 군대와 맞서게 되었다.

그러나 군중은 제지하는 군대를 밀고 읍내로 들어가 경찰서로 몰려갔다.때마침 손양면(巽陽面)의 시위군중300여 명이 합세하여 그 기세는 더욱 등등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경찰서장이 저자세로 나오자,결국 시위군중들은 만세만 부르고 해산하였다.
후에 일경(日警)은 시위 가담자들을 철저하게 조사하여 검거하기 시작하였다. 이때 그도 피체되어 1919년 4월 24일 함흥지방법원 강릉지청에서 소위 보안법으로 징역 10월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6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第2卷616∼620面
身分帳指紋原紙(警察廳)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第14輯977面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31104
성명 김진열 한자 金振烈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82-11-06

사망년월일 1956-06-27

본적 강원도 양양 牛岩145
주소 江原襄陽巽陽牛岩145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5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그는1919년4월6일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巽陽面)에서 최한두(崔漢斗)등과 군중을 이끌며 만세시위행진을 전개하였다.
양양의 3‧1운동은 규모나 내용에서 강원도에서 가장 치열한 것이었다. 4천여 명이 모인 가운데 치러진4월4일 양양 장터에서의 만세시위를 시작으로 하여 양양의3‧1운동은 군내 각처로 뻗어 나갔다.
김진열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최한두·김종탁(金鍾鐸)등 마을 구장과 함께 만세시위를 계획하여4월6일에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이들은3백여 명이 넘는 군중을 모아서 양양읍으로 향하였다.
도중에 이들은 일경의 제지를 받았으나 물리치고 행진을 계속하였다. 행렬의 선두에는 큰 태극기와 함께'대한독립지기(大韓獨立之旗)'라고 쓴 깃발을 세웠으며, 농악대가 그 뒤를 따랐다.
이들은 남대천 앞에서 일경의 제지를 받았으나, 독립만세를 고창하다가 인근의 도천면과 강현면민들과 힘을 합하여 읍내로 진입하여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그는 이 일로 일경에 피체되어 1919년 4월 21일 함흥지방법원 강릉지청에서 징역 1년 6월을 받아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제2권620면
매일신보(1919. 5. 3)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제14집 976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3501
성명 김창렬 한자 金昌烈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85-05-03

사망년월일 1944-12-06

본적 강원도 홍천 新場垈3
주소 江原襄陽降峴中福217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 격 애족장



공훈록


1919년 4월 5일 양양군 강현면 물치 장날을 이용하여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에 구장(區長)으로서 중복리(中福里)동민을 이끌고 약1천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경찰주재소와 면사무소 앞에서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고 거리를 누비며 시위 활동하다가 일경에게 체포되어 일경에게체포되어 이해4월23일 강릉지청에서 실형을 받아 옥고를 치렀으며, 그후에도 일제치하에서 혹독한 소작료 등 착취를 반대하기 위하여 1927년 12월경 조직된 양양농민조합에 가입하여, 농민들의 대변기관으로 또는 농촌계몽 등에 활동하다가1932년 10월 일경에게 발각되어 조합원130여명과함께검거되기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신분장지문조회회보서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2권617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14권977면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10권636~637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9041
성명 김창환 한자 金昌煥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84-03-26

사망년월일 1968-03-15

본적 강원도 양양 巽陽揷存159
주소 江原襄陽縣化末谷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1919년 4월 9일 당시 양양군 현북면(縣北面) 말곡리(末谷里) 구장으로, 마을 사람들을 선도하여 기사문리(其士門里)에 있는 주재소를 향해 시위행진하다가 속칭「만세고개」에서 황선주(黃璇柱)·권광식(權廣植)·김종성(金鍾聲)등 여러 동지들과 함께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며 1,000여 명의 군중과 시위 중 피체되었다.
그 해 11월 12일 함흥지방법원에서 소위 소요 및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8월에 벌금 30원(圓)을 받고 공소하여, 1920년 3월 8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원판결이 취소되고 징역 8월형이 확정되어1년여의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3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판결문(1920. 3. 8 경성복심법원)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제14집 983면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제2권623∼626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7534
성명 김철기 한자 金哲起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83-11-24

사망년월일 1946-02-18

본적 강원도 양양 降峴沙橋47
주소 江原襄陽降峴沙橋47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3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1919년 4월 초에 양양군 양양읍 강현면(降峴面)에서 장세환(張世煥)을 주축으로 물치(沕淄)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벌이기로 계획하고 태극기를 만드는 등 준비를 갖추었다.
4월 5일 장터에 모인 다수의 군중을 규합, 이들과 함께 시위행진을 벌여 대포리 주재소를 습격하는 등 활동하였으며 이튿날 다시 양양읍에서 천2∼3백 명의 시위군중과 시위를 전개 하다가 이를 탄압하는 일경에 피체되었다.
그리하여 그 해4월21일 함흥지방법원 강릉지청에서 징역1년6월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3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향토지(양양문화원, 1976) 104·105·107면
양주지(양양군, 1990. 11. 30) 105·112·113·909면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제2권617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제14집 977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6514
성명 김필선 한자 金弼善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903-05-23

사망년월일 1945-06-20

본적 강원도 양양 襄陽南門45
주소 江原襄陽襄陽南門45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2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그는 1919년 3월 말경에 개성(開城) 호수돈여학교(好壽敦女學校) 학생 조화벽(趙和璧)으로부터 독립선언서를 전달받고 동료인 김재구(金在龜)·김규용(金圭容)·김계호(金啓鎬)·김주호(金周鎬)·김봉운(등金과鳳運) 등과 함께 양양 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벌이기로 계획하였다. 1919년 4월 4일 양양 장날에 면사무소에 있는 등사기를 이용하여 복사한 독립선언서와 태극기, 그리고 '대한독립'이라고 쓴 큰 기를 만들어 군중에게 배부하고 다섯 갈래의 길을 따라 읍내 서면, 손양면(巽陽面) 등에서 4,000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일시에 장터로 진입하여 태극기를 휘날리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행진을 전개하다 일경에 피체되었다.
같은 해4월18일 함흥지방법원 강릉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유죄판결을 받고 공소하여 5월 31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원판결이 취소되고 징역 1년 6월형을 받아 다시 상고하였으나 7월3일 고등법원에서 기각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2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판결문(1919. 5. 31 경성복심법원)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제2권612∼615면
판결문(1919. 7. 3고등법원)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집 974·975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31244
성명 김학구 한자 金鶴九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미상

사망년월일 1919-04-04

본적 강원도 양양 隆峴砧橋
주소 江原襄陽隆峴砧橋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5
훈 격 애국장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그는 1919년 4월 4일 강원도 양양군 읍내 만세시위에 참가하였다.
양양의 3‧1운동은 규모나 내용에서 강원도에서 가장 치열한 것이었다. 4천여 명이 모인 가운데 치러진4월4일 양양 장터에서의 만세시위를 시작으로 하여 양양의3‧1운동은 군내 각처로 뻗어 나갔다.
양양 읍내의 만세운동에는 인근의 서면과 손양면에서 농민들이 참가하여 계획적으로 운동을 전개하였다.이 때 김학구는 서면 상평리(上坪里)에 거주하면서 서면의 주민들과 함께 읍내 시위에 참가한 것이었다.서면 상평리는 양양읍에서15리 떨어진 서면의 면소재지였다.
서면의 주민들은4월3일 태극기를 제작한 뒤 의병출신의 박춘실(朴春實)의 지도 아래 거사 당일인 4월4일에 읍내로 진군하였다.
그리하여 읍내에서 합류한 각 면의 시위대는 태극기를 앞세우고 군청과 경찰서 앞에서 독립만세를 고창하였고, 군수와 경찰서장을 위협하던 시위대 중 한 명이 일경의 칼에 의해 쓰러지자 무력시위로 돌변하였다.그리고 저녁부터는 일경이 무차별 총격을 가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위대의 선두에 서서 만세시위를 전개하던 김학구는 일경의 총탄을 맞고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613∼616·621·622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1408
성명 김형석 한자 金亨錫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미상

사망년월일 미상

본적 강원도 양양
주소 미상



포상정보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년도 1990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강원 양양(襄陽)사람이다.
그는 1919년 10월 초 김영학(金永鶴)으로부터 대한독립애국단(大韓獨立愛國團)의 취지와 목적을 듣고 동단의 지부인 양양군단(襄陽郡團)에 가입했다.
1919년 5월 서울에서 신현구(申鉉九)등이 조직·결성한 대한독립애국단은 본부를 서울에 두고 강원도·충청도·전라도 등지에 도단(道團)을 설치한 임시정부 지원단체로서,양양군단은 강원도단의 산하 조직이었다.
대한독립애국단의 주된 활동은 임시정부의 선전 및 재정자금의 조달, 그리고 국내의 조직망을 통한 임시정부 연통부(聯通府)와 같은 역할의 수행이었다.
양양군단에 가입후 그는 동연 10월 14일 이근옥(李根玉)을 동단에 가입케 했고 또 이석규(李錫圭)·김연수(金延洙)·문명섭(文明燮) 등을 이근옥과 함께 포섭하는 등 조직확대에 힘을 쏟았다.
그런데 1920년 1월 강원도단의 조직이 발각됨으로써 그는 일경에 피체되어 1920년 12월 23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6월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판결문(1920. 12. 23 경성지방법원)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166면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15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9권991·993·996·1001∼1004·1007·1016·1028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5553
성명 김환기 한자 金桓起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88-03-02

사망년월일 1950-06-25

본적 강원도 양양 降峴沙橋75
주소 江原襄陽降峴積銀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2
훈 격 건국포장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1919년 4월 5일 양양군 강현면(降峴面)에서 동지들과 함께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계획, 양양군 적은리(積銀里)를 책임맡아 태극기를 제작하고 주민들을 규합하는 등 준비를 갖추어 4월5일과 6일의 양일간에 걸쳐 도천면(道川面) 주민들과 합세하여 1,000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강현면 물치(沕淄)장터에서 독립만세를 외치면서 시위를 벌이다가 일경에 피체되었다.
같은 해4월21일 함흥지방법원 강릉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0월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2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3‧1운동의 약사(양양군, 간행년도미상) 1·5면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제2권617면
매일신보(1919. 5. 3)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국사편찬위원회) 제4권 421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8768
성명 노병례 한자 盧炳禮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903-03-18

사망년월일 1994-11-05

본적 강원도 양양 西面龍川206
주소 江原襄陽南門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2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강원 양양(襄陽)사람이다.
그는 3‧1독립운동 당시 양양 지역 만세시위의 본산인 임천리에서 이교학(李敎學)·이교성(李敎聲)·조화벽(趙和璧) 등과 더불어 만세시위를 꾀하고 동년 4월 4일 양양 독립만세시위에 가담하여 시위군중의 선두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하였다. 이어 4월 6일과 9일에도 시위에 참가하여 피검되었으나 학생임을 감안,석방되었다.
1925년9월에는 함북(咸北) 무산(茂山)에서 상해임시정부(臨時政府) 특파원 박유덕(朴有德)과 회합, 국외망명을 기도하다가 피검되어 양양경찰서로 송치되었으나 석방되었다.
그러나 그후 박유덕이 국내에 잠입하여 활동한 것에 연루·피체되어16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1931년에는 양양농민조합(襄陽農民組合)을 결성하여 소작쟁의 및 농촌계몽에 힘쓰다가 조합원 130여명과 함께 피체되어 1934년 6월 22일 함흥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3년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함흥형무소 가출옥보고서
동아일보(1933. 2. 10)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2권612·614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41044
성명 노상열 한자 盧尙烈

이명 盧明俊·盧一石·盧尙烈·申白淳

성별 남

생년월일 1897-08-23

사망년월일 사망

본적 강원도 양양 縣北 上光丁
주소 京城 苑 104



포상정보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년도 2010
훈 격 애족장


공훈록


노상렬은 강원 양양 출신으로 1921년 6월 전후 중국 길림성 훈춘(琿瑃)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으며, 1923년 모스크바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을 졸업하고 1925년 12월 귀국하여 조선공산당에 입당했다.
1926년 1월 고려공산청년회(高麗共産靑年會)에 가입한 후 3월 조선일보 광주지국 기자를 지내면서 고려공산청년회 전남 도(道)집행위원으로 당원 모집 및 조직 결성 등의 활동을 하였다. 6월 일본 경찰에 수배되어 가택수색을 당했으나 피신했다. 8월 고려공청 중앙총국과 고려공산청년동맹(서울파)중앙위원회 합동위원회에 참석했다.같은 달 통칭'고려공청'중앙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27년3월경체포되어1928년2월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2년6월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思想月報(朝鮮總督府檢事局: 1931. 7) 제1권 제4호 163면
判決文(京城地方法院: 1928. 2. 13)
1923年4月에南烏琿春地方의槪況(陸軍省受領密受第234號: 1923. 5. 10) 朝鮮軍參謀部發朝特報에 관한 綴(1)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강만길, 성대경, 1996) 164면
不逞鮮人名簿送付의件(機密公信第36號: 1921. 7. 13)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部-在滿洲의 部(28)
身分帳指紋原紙(警察廳)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1850
성명 문명섭 한자 文命燮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미상

사망년월일 미상

본적 강원도 양양
주소



포상정보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년도 1990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그는 1919년 10월 중순 이근옥(李根玉)의 권유에 의해 대한독립애국단(大韓獨立愛國團) 양양군단(襄陽郡團)에 가입했다.
1919년 5월 서울에서 신현구(申鉉九)등이 주도·결성한 대한독립애국단은 본부를 서울에 두고 강원도·충청도·전라도 등지에 도단(道團)을 설치한 임시정부 지원단체로서,양양군단은 강원도단의 하부조직이었다.
이러한 대한독립애국단의 주된 활동은 임시정부의 선전 및 재정자금의 조달, 그리고 국내의 조직망을 통한 임시정부 연통부(聯通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였다.
동년10월 하순에 그는 이근옥(李根玉)·이석규(李錫圭)·김연수(金延洙)등과 함께 상해(上海)임시정부에 직접 참여하기로 결심하고 서울에 올라왔으나, 당시 서울의 본부와 연결이 되지 못하여 귀향하였다.
그런데 1920년 1월 강원도단의 조직이 발각됨으로써 그는 일경에 피체되어 고초를 겪다가 1920년 12월 23일 경성지방법원에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났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166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9권990∼1030면
한국독립사(김승학)하권139면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성명 문종석 한자 文鍾錫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96-08-02

사망년월일

본적 강원도 양양 현북면 말곡리 590
주소 江原襄陽懸北面말곡리 590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2019
훈 격 대통령표창


공훈록


1919년 4월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사무소 앞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태극기를 흔들며 만세를 부르다 체포되어 징역6월을 받는 등 독립에 기여함.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9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每日新報(1919.5.3.)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제14집)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31514
성명 박규병 한자 朴奎秉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89-01-05

사망년월일 미상

본적 강원도 양양 현북 원일전
주소 강원 양양 현북 원일전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2017
훈 격 애족장



공훈록


1919년 4월 6일과 7일에 江原道襄陽郡에서 太極旗를 제작하여 백여 명의 군중을 이끌고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여 시위행진하며 독립만세를 외치고 조선독립선언서 소지 혐의로 구속된 實弟의 석방을 요구하는 등 활동하다 체포되어 懲役1년2월을 받음.



참고문헌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5562
성명 박봉래 한자 朴鳳來

이명 朴麟出성별 남

생년월일 1894-11-01

사망년월일 1980-10-17

본적 강원도 양양 降峴回龍
주소 江原襄陽降峴回龍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8
훈 격 애족장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1919년 4월 5일, 6일 양일동안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降峴面)·도천면(道川面)이 합동으로 전개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강현면과 도천면의 만세운동은 김영경(金英經)·장세환(張世煥)등에 의해 추진되었다. 그들은 4월5일양면이합동으로 만세시위를 전개하기로 하고, 각리에 책임자를 두고 그들로 하여금 태극기를 제작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거사 준비를 진행시켰다.
박봉래는 그가 구장으로 있던 강현면 회룡리(回龍里)지역을 맡았으며,마을 주민들을 찾아가 거사계획을 알리는 한편,몇몇 마을 주민들을 모아 놓고 태극기를 제작하였다.
거사 당일인 4월 5일 10시 경, 강현면민은 물치 장터로 모였고, 도천면민은 경찰주재소가 있는 대포리로 모여들었다.
4월 5일 10시경, 강현면 군중 500여 명은 물치장터에 모여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독립선언서 낭독이 끝나자, 시위군중들은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박봉래의 주도로 도천면으로 행진하여 갔다.
오후가 되자, 강현면·도천면 군중 천여 명은 합세하여 독립만세를 고창한 후, 대포리주재소로 몰려가 일경의 사죄를 받아내는 등 시위운동을 전개하였다.
4월 6일 양면의 시위군중 1,200∼1,300명은 다시 모여 독립만세를 고창하고 태극기를 흔들며 양양읍내로 행진하였다.그런데 연창(連昌)에 다다랐을 때, 뜻하지 않게 일본 군대와 맞서게 되었다. 그러나 시위군중은 저지하는 군대를 뚫고 읍내로 들어가 경찰서로 몰려갔다. 그런데 이번에도 경찰서장이 저자세로 나오자,결국 시위군중들은 독립만세만 부르고 해산하였다.
후에 일경은 시위 가담자들을 철저하게 조사하여 검거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이 일로 피체되어, 1919년4월23일함흥지방법원 강릉지청에서 소위 보안법으로 징역 1년 4월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8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身分帳指紋原紙(警察廳)
襄州誌(襄州誌編纂委員會, 1990) 105·110·113面
鄕土誌(襄陽文化院, 1976) 104·105面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第2卷617面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第14輯977面
每日申報(1919. 5. 3)


---------------------------------------------------------


유공자정보


관리번호 5337
성명 양익환 한자 梁益煥

이명 없음 성별 남

생년월일 1897-07-06

사망년월일 1968-08-30

본적 강원도 양양 降峴長山238
주소 江原襄陽降峴長山238



포상정보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2
훈 격 대통령표창


공훈록


강원도 양양(襄陽)사람이다.
1919년 4월 5일 양양군 강현면(降峴面)에서 장세환(張世煥)등과 함께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벌이기로 계획,태극기와 독립선언문을 만들어 인근 주민들에게 배포하고 장산리(長山里)를 책임맡아 다수의 시위군중을 규합한 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