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상세 소개
책의 구성은 창립배경을 명시한 회첩서문과 세부 운영기준인 立令, 회원 座目으로 되어 있고, 끝부분에는 후대에 작성된 跋文이 있다.
서문에 중국 양양의 기구회를 본떠 본 기구회를 창립하였다는 설립 취지를 밝히고 있고, 영조 37년(1761)에 창립하였다는 ‘辛巳年’ 刊記가 있어 제작 년대가 확실한 것으로 보여진다.
겉지와 속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속지는 동일 지질 16장과 창립이후 현재까지 회원을 추록하고자 추가한 2가지의 속지로 구분되어있어 총 3가지 지질로 구성되어있다.
좌목을 작성한 필체로 보아 창립회원은 20명으로 추정된다. 별록 2책, 기구계 수입ㆍ지출부 각 1책, 기구계 좌목 1책이 함께 있다.
기구회첩은 1761년 중국 양양의 기구회를 본떠 창립한 양양군 유지들의 친목모임인 기구회의 회첩으로 동명이지(同名異地)의 문화를 비교해볼 수 있고, 현재까지도 기구회의 명맥이 이어져 오고 있어 지역의 미풍양속 등 향토문화의 계승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 출처 : 글·사진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서문에 중국 양양의 기구회를 본떠 본 기구회를 창립하였다는 설립 취지를 밝히고 있고, 영조 37년(1761)에 창립하였다는 ‘辛巳年’ 刊記가 있어 제작 년대가 확실한 것으로 보여진다.
겉지와 속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속지는 동일 지질 16장과 창립이후 현재까지 회원을 추록하고자 추가한 2가지의 속지로 구분되어있어 총 3가지 지질로 구성되어있다.
좌목을 작성한 필체로 보아 창립회원은 20명으로 추정된다. 별록 2책, 기구계 수입ㆍ지출부 각 1책, 기구계 좌목 1책이 함께 있다.
기구회첩은 1761년 중국 양양의 기구회를 본떠 창립한 양양군 유지들의 친목모임인 기구회의 회첩으로 동명이지(同名異地)의 문화를 비교해볼 수 있고, 현재까지도 기구회의 명맥이 이어져 오고 있어 지역의 미풍양속 등 향토문화의 계승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 출처 : 글·사진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 PREVIOUS양양서림사지삼층석탑
- NEXT양양 휴휴암 소장 개간비밀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