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역사문화
  • 지명유래
  •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지명유래

    양양의 마을 지명유래를 소개합니다.

    [ 양양군 ] 양양군 지명유래

    페이지 정보

    본문

    양양(襄陽)의 명칭(名稱)


    양양의 지명 유래를 사기(史記)를 통해 살펴보면 고조선 때인 기원전 127년에 성읍국가형태 때는 예국(濊國)의 땅이었고, 기원전 128년 한무제(漢武帝) 원삭(元朔) 원년은 창해군(滄海郡)에 속했었다.

    또한 한무제(漢武帝) 원봉(元封) 2년에 임둔군은 낙랑군(樂浪郡)에 편입되었는데 낙랑군은 영동7현(嶺東七縣)에 동부도위(東部都尉)를 설치했다. 한사군(漢四郡)때 임둔군(臨屯郡)은 낙랑군 탄열현(樂浪郡呑列縣)에 속했다고『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와『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에 전하고 있다.

    고구려 때에는 익현현(翼峴縣) 또는 이문현(伊文縣)이었는데, 통일신라시대에는 익령현(翼嶺縣)으로 고쳐 부르다가, 고려에 들어와서도 그대로 익령현(翼嶺縣)이라 하였다. 현종(顯宗) 9년(1018년)에 현령(縣令)을 설치하고 동산현(洞山縣)이 본 현에 소속되었다.

    고종 8년(1221년) 거란(契丹)의 침략군을 잘 방어하였으므로 양주(襄州)라하고 방어사(防禦使)를 파견하였으나, 1253년에 낮추어 현령으로 되었다가 1257년에는 몽고 침략군에 항복했다는 이유로 덕녕(德寧)으로 강등(降等) 감무(監務)를 파견하였다.

    『고려사』기록을 보면 원종(元宗) 원년(元年)(1260년)에 다시 승격하여 양주(襄州)로 하고 지양주사(知襄州事)를 두고 일명 양산(襄山)이라고도 하였으며 일찍이 동해신묘가 있어 국토수호와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는 중사(中祀)의 제의를 베풀었다고 한다.

    『태조실록』에는 조선에 들어와서도 고려의 제도를 그대로 따라 양주(襄州)로 하였다. 또한 조선을 건국한 태조[李成桂]는 강원도 양양부(襄陽府)에 관음굴이 있다고 하여 양양이라 불렀다.

    또한 태조 6년(1397년)에는 임금의 외친향(外親鄕)이라 하여 양주부(襄州府)로 승격시키고 태종 13년(1413년)에 양주도호부(襄州都護府)로 이름을 고쳤다가 태종 16년(1416년) 경기도 양주(楊州)와 강원도 양주(襄州)의 부름의 소리가 비슷하다고 양양부(襄陽府)로 고쳐 지금까지 양양(襄陽)이라 부른다.


    ※ 양양군은 지리적 특성상 마을마다 역사적 의미를 간직한 골, 모퉁이가 많으며 각기 이름이 있다. 그 수는 무려 400이 넘는다. 이에 대한 기록은 1995년 양양문화원 발행 ‘襄陽의 땅이름’에 수록되어 있다.


     

    양양군 연혁


    양양군은 우리나라 중동부 해안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선사시대 유물·유적이 손양면 도화리(20만 년 전의 전 구석기시대에 속하는 ‘아슐리앙’계통의 유물을 1984년도 발굴)와 오산리(BC 6000년 전 신석기시대 유적지)를 중심으로 군 전역에서 고루 발굴되어 인간의 오랜 거주였음을 알 수 있다. 초기철기시대부터 원삼국시대에 이르러 함경도 해안지대와 경북 동해안의 일부지역과 함께 동예(東濊)에 속해 있었다.


    삼국시대는 고구려 하슬라주(何瑟羅州)의 영역으로 익현현(翼峴縣) 또는 이문현(伊文縣)이라 불리었다. 통일신라 경덕왕 16년(757년)에 지금의 양양은 익령현(翼嶺縣)으로 편제되었으나 독립된 현(縣)이 아니라, 개칭되면서 수성군(守城郡)의 영현이었다. 설악산(雪嶽山)에 산신단(山神壇)을 설치하고 소사(小祀)의 예(禮)로 치제하였다.


    고려현종 9년(1018년)에는 5도(道)와 양계[北界·東界]제 실시에 따라 익령현은 동계의 행정구역 가운데 준(準)남도지역에 속했다. 같은 해에 명주(溟州)의 동산현(洞山縣)이 익령현의 속현이 되었다. 고려고종 8년(1221년)에 거란병을 잘 방어하여 양주방어사(襄州防禦使)로 승격되었다. 고종 41년(1254년)현으로 강등되고 고종 44년(1257년) 몽골과의 전쟁에 폐하여 읍호를 격하 덕녕(德寧)이라 하고 감무(監務)를 두었다. 3년 후인 원종(元宗) 원년(1260년)에 지양주사(知襄州事)로 승격되었고, 별호는 양산(襄山)이다. 이때 이미 양주에는 東海神廟가 있어 고려에서 중사(中祀)의 예(禮)로 치제하였다.


    조선태조 6년(1397년)에 태조 이성계의 외향(外鄕)이라 하여 양주부(襄州府)로 승격되었다가 태종 13년(1413년) 군현제(郡縣制)개편 때 양주도호부(襄州都護府)로 바뀌었다. 태종 16년(1416년) 양양도호부(襄陽都護府)로 개칭(改稱)되면서 오늘날까지 양양(襄陽)이라는 명칭이 이어지고 있다. 한 때 강원도의 도호(道號)가 원양도[(原襄道)1666년∼1675년] 강양도[(江襄道)1683년∼1688년]로 두 차례나 양양지명의 ‘양(襄)’자가 부여되었으며, 고종 32년(1895년)에 강원도 양양군으로 개칭되었다.


    ◆ 삼국시대

    313. 고구려 하슬라주(何瑟羅州)의 익현현(翼峴縣) 또는 이문현(伊文縣)이라 칭함.

    757. 통일신라 경덕왕 16년 익령현(翼嶺縣)으로 개칭 수성군(守城郡) 속현이 됨.       

     

    ◆ 고려시대

    995.  성종14년 10도제(道制)로 되면서 익령현으로 삭방도(朔方道)에 속함.

    1018. 현종9년 명주(溟州)의 속현인 동산현이 익령현(翼嶺縣)의 속현이 됨.

    1221. 고종8년 거란병을 잘 방어하여 양주방어사(襄州防禦事)로 승격 됨.

    1254. 고종41년 몽골에 패하여 양주현으로 강등 됨.

    1257. 고종44년 몽골에 패하여 읍호를 격하 덕령(德寧)으로 하고 감무(監務)를 둠.

    1260. 원종1년 지양주사(知襄主事)로 승격(昇格)하고 별호(別號)는 양산(襄山)이다.

     

    ◆ 조선시대

    1397. 태조6년 양주부(襄州府)로 승격

    1413. 태종13년 양주도호부(襄州都護府)로 개칭

    1416. 태종16년 양양도호부(襄陽都護府)로 개명

    1618. 광해군10년9월 도호부에서 현으로 강호(降號)됨.

    1623. 인조1년3월 현을 도호부로 환원됨.

    1688. 숙종14년11월 도호부에서 현으로 강호(降號)됨.

    1696. 숙종22년12월 현에서 도호부로 환원 됨.

    1783. 정조7년2월 도호부에서 현으로 강호 됨.

    1790. 정조14년1월 양양도호부로 환원됨.

    1895. 고종32년 강원도 양양군으로 개칭함.

     

    ◆ 일제강점기

    1914. 부내면·부남면·위산면을 합쳐서 양양면으로, 동면·남면을 손양면으로, 강선면·사현면을 강현면으로, 도문면·소천면을 도천면으로 서면, 현북면, 현남면은 그대로 두어 7개면이 됨.

    1919. 간성군의 토성면·죽왕면이 양양군에 편입 됨.

    1937. 소천면을 속초면으로 고침.

    1942. 속초면을 속초읍으로 승격.

     

    ◆ 대한민국

    1945. 국토가 38˚선을 경계로 분단되자 현남면과 현북면·서면의 남쪽마을 일부는 강릉군에 편입, 현북면·서면의 잔류마을과 속초읍·토성면·죽왕면·강현면·양양면·손양면은 북한에 속하였음.

    1951. 7월4일 군정(軍政)을 실시하였음.

    1953. 8월27일 휴전 협정이 조인된 이후 수복 됨.

    1954. 11월17일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따라 현남면은 명주군에 편입되고, 현북면과 서면 일부가 다시 본군에 회복되어 1읍 7면으로 됨.

    1963. 1월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속초읍이 시(市)로 승격 분리되고 죽왕면·토성면이 고성군에 편입, 명주군 현남면이 본군에 환원 6개 읍·면이 됨.

    1973. 7월1일 서면 명개리는 홍천군 내면에, 손양면 상왕도리 일부는 양양읍 편입   

    1979. 5월1일 양양면이 읍으로 승격 됨.

    1983. 2월15일 강현면 상복리 일부가 속초시에 편입.

    1989. 1월1일 손양면 가평리 송현리 일부가 양양읍 송암리에 편입.

    1992. 11월23일 양양읍 구교1리와 구교2리로, 강현면 전진1리와 주청리로 분할.  

    1996. 1월9일 서면 장승2리에 장승3리가 편입 됨.

    1997. 12월15일 현남면 신진리 신설로 1읍 5면 125리가 됨.

    1999. 1월9일 신진리가 인구1리와 두창시변리에 편입되어 1읍 5면 124리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