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양양의 6·25 비화

제1차 기사문리 고산봉 전투

페이지 정보

조회 4,793회 작성일 2010-04-07 17:59

본문

 제1차 기사문리 고산봉 전투(주25)

1949년 초반의 무장충돌을 대표하는 것은 2월초 기사문리 포격사건이었는데, 이는 이후 1949년 38선 무장충돌의 기본뼈대를 형성했다.

한국측 사건 명은 강원도 양양군 기사문리 사건이며, 북한측 명명은 고산봉 사건이다. 흥미로운 것은 북한이 1949년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고산봉을 강조해왔으나, 한국에서 간행된 전쟁사에는 고산봉이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한국전쟁사1:해방관건군』은 기사문리․양양은 거론했지만 고산봉은 언급하지 않았다. 한국군 원로들의 증언과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의 각별한 교시와 지도를 받아 쓴 일본방위청의 군사가 사사키의『한국전비사』도 북한이 주장하는 고산봉이 존재하지 않는 산이라고 주장했다. 그렇지만 고산봉은 분명 존재하는산이다. 고산봉은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기사문리 샘골 뒷산 38선 이북 500m지점에 위치한 고지다.

『한국전쟁사1』과『한국전비사』가 전하는 기사문리 사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949년 2월 하순 38경비대 1개 중대 서림방면 침공. 1개 중대는 기사문리에서 천교리로 침공하자 제10연대(백남권 중령)가 격퇴. 10연대는 포병대장 노재현 대위로 하여금 105㎜ M3 곡사포 2문을 가지고 기사문의 적 해군파견대를 목표로 포격, 포경이 없어서 직접 조준 5발 발사해 건물 파괴. 105㎜포로서는 38이북에 대한 최초의 발사. 미군사고문단은 이를 중대시하여 직접 조사하고 육군본부 참모회의에 회부. 포병단장 장은산 중령 정당위를 주장.

그런데 한국측 전사류에는 2월 2~3일 발생한 사건을 2월 하순으로, 잔교리를 천교리로 잘못 표기하는 등 발생일, 지명 등에서 오류가 발견된다. 또 이 사건이 북한군의 침공에 대항해 105㎜곡사포로 38이북의 기사문리를 포격한 사건이라고 했지만, 이는 사실과 달랐다. 한편 8사단장이던 이형근은 기사문 지역에 인민군 유격대 훈련소가 있어서 1949년 2월 포병대장 노재현 대위가 연대장 백남권 중령의 명령으로 기사문을 포격했다고 썼다.

평양 주재 소련대사 슈티코프의 보고에 따르면 2월 3일 한국군경이 트럭 6대의 병력으로 38선 침입을 시도하다 격퇴된 후, 군경병력을 실은 한국해군함정이 38선 이북 15㎞지점(기사문리)까지 침범했다. 같은 날 한국해군함정이 38선 이북 15㎞의 해안을 포격했으며, 2월 4일 한국경찰은 다시 38선 이북 500m지점인 1985고지를 점령했다.

즉 남한은 1300명 이상의 병력, 그리고 105㎜포와 소해정 등을 동원해, 군경합동 및 육해군 협동작전을 구사했다. 한편 북한측 기록은 2월 2일부터 한국의 해안경비정이 38선 이북 양양군 손양면 수산리 해안에서 현북현 하광정리를 포격했고, 같은 날 한국경찰이 기사문리에 침입했으며, 2월 3일 강릉10연대와 강릉․주문진경찰 1300명이 고산봉을 점령한 것을 2월 4일 북한경비대가 격퇴했다고 주장했다. 북한의 한 선전매체는 2월 4일 제1차고산봉전투에서 내무성경비대 1개 소대가 한국군 3개 대대의 공격을 격퇴했다고 과장했다.

한국정부는 정부수립 후 해군이 처음으로 동원된 이 사건을 해군의 주문진 작전이라 부르며 함정 포사격으로 인하여 기사문 적 진지 일부 파괴, 인원 손상미상이라고 발표했다. 한편 주한미대사관의 정보보고는 2월 3일 해군의 기사문리 포격이 북한의 38선 이남 침공에 대한조치였다고 기록했다. 그런데 현대까지 한국측 전사가 주장하는 북한 38경비대 1개 중대의 침범여부는 기록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반면 슈티코프의 비밀보고에 따르면 북한경비대는 170명의 병력에 중․경기관총 각1정, 자동화기․소총20정의 무장을 갖춘 경량급에 불과했기 때문에 한국 군경을 격퇴하기 위해서는 인민군 보병대대를 투입해야 했다. 이 사건은 두 가지 방향으로 큰 여파를 미쳤는데, 먼저 주한미군사고문단은 한국군이 보유한 105㎜포경을 회수해 더 이상의 대북공격을 억제하려 했던 반면에, 소련측은 북한에 대해 방어용무기를 신속히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

(주25) 정병준,『한국전쟁 - 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 돌베게, 2006, 277-279쪽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