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정대

 7) 관란정(觀瀾亭)

페이지 정보

조회 3,468회 작성일 2014-06-10 16:11

본문

▶ 소재지 : 현남면 시변리 46-1

010.jpg

 

▶ 연 혁:『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동산현 동쪽2리 에있다.『輿地圖書』에부남쪽50리 동산현 동쪽에있었 으나 지금은 없어졌다. 『襄陽郡의歷史와文化遺産』에는 부(府)남쪽50여 리 동산(洞山)고현(古縣)의 동쪽 죽도(竹 島)의 서북 해변에 있다.그 정(亭)에 시판(詩板)이 많았으 나 현재는 폐지되었고 기지(基址)는 철도 정차장으로 닦여 져 있다.

 

▶ 시문

------------------------------------------------------------------------------------------------------------------------------------------

▪ 이곡〔(李穀) 1298~1351〕의 시


懶踵金鋪畫戟門(나종금포화극문) / 금포화극(金鋪畫戟)문을 밟기에는 게으르고
閑尋翠竹白沙村(한심취죽백사촌) / 한가롭게 푸른 대 흰모래의 마을을 찾네.
東溟浪靜天逾碧(동명랑정천유벽) / 동해에 물결 자서 하늘이 더욱 푸르고,
西塞山高日易昏(서새산고일이혼) / 서새(西塞)에 산이 높아서 날이 빨리 어둡는다.
偶作勝遊殊可喜(우작승유수가희) / 우연히 좋은 유람을 하면 매우 기쁘니,
欲談時事却成呑(욕담시사각성탄) / 시사(時事)를 말하려다가 도로 삼켜버린다.
古來觀海難爲水(고래관해난위수) / 옛부터 바다를 보면 물 얘기하기 어려운데,
井底何人妄自尊(정저하인망자존) / 우물 밑 어느 사람이 망령되게 스스로 높은 체하나.
亭外峰巒擁縣門(정외봉만옹현문) / 정자 너머 산봉우리는 현의 문을 옹위했고,
檻前洲渚抱漁村(함전주저포어촌) / 헌함 앞 물가와 모래톱은 어촌을 감쌌다.
碧波可染衰髯白(벽파가염쇠염백) / 푸른 물결은 흰 수염이라도 물들일 만하고,
淸景能醫病眼昏(청경능의병안혼) / 맑은 풍경은 병든 눈을 능히 낫게 하네.
三島茫茫天共遠(삼도망망천공원) / 세 섬이 망망한데 하늘이 함께 멀고,
百川浩浩海幷呑(백천호호해병탄) / 백 냇물이 호탕하나 바다가 아울러 삼킨다.
若爲對此忘機坐(약위대차망기좌) / 어떻게 하면 이것을 대해, 세상일 잊고
不校人間有達尊(부교인간유달존) / 인간에 달존(達尊)있음을 계교하지 않을까.

------------------------------------------------------------------------------------------------------------------------------------------

 

 

------------------------------------------------------------------------------------------------------------------------------------------
▪ 안축〔(安軸) 1536~1593〕의 시


民間百物入侯門(민간백물입후문) / 인간사이의 온갖 물건이 공후(公侯)의집에들어와도,
山水千年屬一村(산수천년속일촌) / 산과 물은 천년토록 한 마을에 속했다.
別島隔雲橫縹緲(별도격운횡표묘) / 외딴 섬은 구름을 격해 어렴풋이 비쳤고,
片帆和月落黃昏(편범화월락황혼) / 조각 돛은 달빛과 합쳐 황혼에 진다.
鴻飛冥路弋何慕(홍비명로익하모) / 기러기 아득하게 나는데 주살[弋]은무엇을 바라며,
鯨吸蒼波舟可呑(경흡창파주가탄) / 고래는 푸른 물결을 빨아들이니 배도 삼킬 듯하다.
雨過新亭推未去(우과신정추미거) / 비가 새 정자에 그쳐 수레 밀어도 가지 못하니,
吏人迎拜是陽尊(이인영배시양존) / 아전이 절해 맞이하는 것 거짓 존대함일세.

------------------------------------------------------------------------------------------------------------------------------------------

 

 

------------------------------------------------------------------------------------------------------------------------------------------
▪ 강회백〔(姜淮伯) 1357~1402〕의 시


亭前茅屋掩柴門(정전모옥엄시문) / 정자 앞 모옥에 가시문을 닫았는데,
樹樹梅花雪裏村(수수매화설리촌) / 나무마다 매화 피니 눈 속의 마을 같다.
四面蒼松煙暗淡(사면창송연암담) / 사면의 푸른 뜰엔 연기가 어둡고,
數聲柔櫓月黃昏(수성유노월황혼) / 두어 가락 노 젓는 소리에 달이 어스름하다.
湖光鏡淨元無累(호광경정원무누) / 호수 빛은 거울처럼 원래 더러움 없고,
海浪雲奔却欲呑(해랑운분각욕탄) / 바다물결 구름까지 날리어 도리어 삼킬 듯하다.
唯有靑山瞻突兀(유유청산첨돌올) / 오직 청산이 우뚝하게 보이며,
古今蒼翠獨能尊(고금창취독능존) / 예나 이제나 푸르게 홀로 높다.

------------------------------------------------------------------------------------------------------------------------------------------

 

 

------------------------------------------------------------------------------------------------------------------------------------------
▪ 이륙〔(李陸) 1438~1498〕의 시


鳴沙十里故朱門(명사십리고주문) / 명사십리에 주문(朱門)을 열었는데,
柳暗花明自一村(유암화명자일촌) / 버들 그늘지고 꽃이 밝아 한 마을이 되었다.
月上東溟波浩浩(월상동명파호호) / 달이 동해에 돋으니 물결 망망하고,
風吹西塞雨昏昏(풍취서새우혼혼) / 바람이 서새(西塞)에 부니 비가 침침하다.
蓬瀛未必三千隔(봉영미필삼천격) / 봉래ㆍ영주[蓬瀛]는반드시3천리나격하지 않았고,
雲夢猶能八九呑(운몽유능팔구탄) / 운몽(雲夢)을 오히려8,9개나 삼킬 듯하다.
回首一邊何處是(회수일변하처시) / 머리를 돌리니 장안(長安)이 어디 멘고.
只應端拱儼居尊(지응단공엄거존) / 응당 단정하게 팔짱끼고, 엄연히 높은 자리에 계시리.

------------------------------------------------------------------------------------------------------------------------------------------

 

 

------------------------------------------------------------------------------------------------------------------------------------------

『稼亭集』가정집〔가정 이곡(稼亭李穀) 1298~1351〕

 

동유기(東遊記)
지정(至正)9년 기축년(1349,충정왕1년) 가을에 장차 금강산(金剛山)을 유람하려고14일에 송도(松都)를출발하였다. 8일에영랑호(永郞湖)에 배를 띄웠다. 해가 저물어 근원을 다 가보지 못하고 낙산사(洛山寺)에 이르러 백의대사(白衣大士)를 뵈었다. 사람들이 말하기를, “관음보살이머무르는 곳이다.” 하는데,산 아래에 구멍이있으니,그것이관음보살이 들어가는 곳이라 한다.늦게 양주(襄州)에 이르러 잤다.다음날 중구일(重九日)에 또 비가 와서 국화 술을 누각 위에서 마셨다. 10일에 동산현(洞山縣)에서 잤는데,관란정(觀瀾亭)이 있었다. 11일에 연곡현(連谷縣)에서잤다.

------------------------------------------------------------------------------------------------------------------------------------------

 

 

------------------------------------------------------------------------------------------------------------------------------------------
▪ 洞山驛(동산역),觀瀾亭(관란정)의 시에 차운하다


亭外峯巒擁縣門(정외봉만옹현문) / 정자 밖 산봉우리는 현문을 에워싸고
檻前洲渚抱漁村(함전주저포어촌) / 난간 앞 모래펄은 어촌을 품에 안고
碧波可染衰髥白(벽파가염쇠염백) / 푸른 물결은 쇠해서 흰 수염을 물들일 듯
淸景能醫病眼昏(청경능의병안혼) / 맑은 풍경은 병들어 흐린 눈을 낫게 할 듯
三島茫茫天共遠(삼도망망천공원) / 망망해라 삼신산은 하늘과 함께 아득하고
百川浩浩海幷呑(백천호호해병탄) / 호호해라 백천은 바다가 모조리 삼키누나
若爲對此忘機坐(약위대차망기좌) / 어떡하면 이를 마주해 기심(機心)잊고 앉아서
不校人間有達尊(부교인간유달존) / 인간 세상의 달존 따위 따지지 않고 살아 볼꼬
懶踵金鋪畫戟門(나종금포화극문) / 금포 화극의 문 찾는 일은 게으름을 피우더니
閑尋翠竹白沙村(한심취죽백사촌) / 푸른 대 흰 모래 있는 마을 한가로이 찾아왔소
東溟浪靜天逾碧(동명랑정천유벽) / 동쪽 바다 물결이 자니 하늘이 더욱 푸르르고
西塞山高日易昏(서새산고일역혼) / 서쪽 요새 산이 높으니 날이 쉽게 어두워지네
偶作勝遊殊可喜(우작승유수가희) / 우연히 가진 멋진 유람 참으로 기쁘다마다
欲談時事却成呑(욕담시사각성탄) / 세상일 말하려다가도 번번이 삼켜 버린다오
古來觀海難爲水(고래관해난위수) / 고래로 바다를 본이에겐 물 되기 어려운데
井底何人妄自尊(정저하인망자존) / 우물 밑에서 그 누가 함부로 잘난 체 하는고

------------------------------------------------------------------------------------------------------------------------------------------

 

 

------------------------------------------------------------------------------------------------------------------------------------------

『明齋遺稿』명재유고〔명재 윤증(明齋尹拯) 1629~1714〕

 

죽도(竹島)의 돌구유를 읊다
觀瀾亭下喚輕舠(관란정하환경도) / 관란정 아래서 가벼운 배를 불러 타고
蒼竹島前看小槽(창죽도전간소조) / 창죽도 앞에 와서 작은 구유 보았네
天恐一元磨易盡(천공일원마역진) / 세상 쉽게 끝날까 하늘이 걱정하여
故將圓石放洪濤(고장원석방홍도) / 일부러 둥근 돌을 파도 속에 버렸는가

------------------------------------------------------------------------------------------------------------------------------------------

 

 

------------------------------------------------------------------------------------------------------------------------------------------

『石洲集』석주집〔석주 권필(石洲權韠) 1569∼1612〕

 

관란정(觀瀾亭)에서 조이숙(趙怡叔)희일(希逸)의시에차운하여 유 첨지(柳僉知)춘발(春發)을위해제(題)하다
踏石穿林一徑遙(답석천림일경요) / 돌을 밟고 숲을 뚫고 한 가닥 길 먼데
忽看危構勢矜驕(홀간위구세긍교) / 으스대는 듯이 높은 누각이 홀연 보여라
烟中樹色分回渚(연중수색분회저) / 안개 속나무 빛이 굽이도는 물가 나누고
雨外帆風逐暮潮(우외범풍축모조) / 빗줄기 너머 돛단배는 저녁 조수를 좇누나
二月鸎花渾滿地(이월앵화혼만지) / 이월이라 꾀꼬리 꽃이 온통 땅에 가득하고
千峯蒼翠欲摩霄(천봉창취욕마소) / 천봉에 푸르른 빛은 하늘에 닿으려 하도다
主人飽受淸閑福(주인포수청한복) / 주인은 청한한 복을 실컷 받고 있나니
長把琴尊了夜朝(장파금존료야조) / 늘 거문고와 술병 가지고 밤낮을 보내누나

------------------------------------------------------------------------------------------------------------------------------------------

 

 

------------------------------------------------------------------------------------------------------------------------------------------

『謹齋先生集』卷之一詩 關東瓦注   근재선생집 권지일시 관동와주

 

次洞山縣觀瀾亭詩韻(차동산현관란정시운)
民間百物入侯門(민간백물입후문) / 민간의 온갖 물건 관문에 들어와
山水千年屬一村(산수천년속일촌) / 산수는 천년 이 마을에 속하였네.
別島隔雲橫縹緲(별도격운횡표묘) / 별난 섬 구름에 막혀 아득히 비꼈고
片帆和月落黃昏(편범화월락황혼) / 황혼 지고 돛단배가 달빛에 어울린다.
鴻飛冥路弋何慕(홍비명로익하모) / 주살같이 기러기는 밤길을 날아가고
鯨吸滄波舟可呑(경흡창파주가탄) / 배를 삼킬 듯 고래는 창파를 마시네.
雨過新亭推未去(우과신정추미거) / 비 그친 산뜻한 정자 그대로 머무르니
吏人迎拜是陽尊(이인영배시양존) / 관리는 절하고 맞으며 존경하는체하네.

------------------------------------------------------------------------------------------------------------------------------------------

 

 

------------------------------------------------------------------------------------------------------------------------------------------

『八谷先生集』卷之一  팔곡선생집 권지일〔팔곡 구사맹(八谷具思孟) 1531∼1604〕

 

觀瀾亭(관란정)。次李堣韻(차리우운)。渟在洞山縣前(정재동산현전)
坐看漁店水侵門(좌간어점수침문) / 앉아보니 어물가게의 문으로 물이 들어오고
沙岸依然作小材(사안의연작소재) / 모래 언덕에 의연하게 작은 마을이 이뤄졌네.
瘦竹裛殘秋露淨(수죽읍잔추로정) / 파리한 대의 향기에 가을 이슬 깨끗하고
寒梅點破暝煙昏(한매점파명연혼) / 어두워지는 저녁연기에 찬 매화 떨어지네.
鷗迎藜杖來常押(구영려장래상압) / 지팡이 집고 버티고 서서 갈매기 바라보고
鼇畏虹竿去不呑(오외홍간거불탄) / 홍간낚시 두려워 자라는 물지 않고 가누나.
此地倘容成小築(차지당용성소축) / 이 땅에 혹시나 자그마한 성을 쌓고
一生那羡廟廊尊(일생나이묘랑존) / 묘당을 존중하면 어찌 일생 부러우리.

------------------------------------------------------------------------------------------------------------------------------------------

 

 

------------------------------------------------------------------------------------------------------------------------------------------

『漁村集』어촌집  어촌 심언광(漁村沈彦光) 1487∼1540〕

 

觀瀾亭次金公碩世弼韻(관란정차금공석세필운)
離亭日暮更逡巡(이정일모경준순) / 해질 무렵 정자를 떠나려니 다시 주저하고
同是艱急十載身(동시간급십재신) / 함께 고생한지 10년이 되었네
誰信滄溟如許大(수신창명여허대) / 바다가 이리도 넓은 지 누가 알까
洪波無處着窮鱗(홍파무처착궁인) / 큰 파도 없는 곳에 가난한 선비 정착 했다네

------------------------------------------------------------------------------------------------------------------------------------------

 

 

------------------------------------------------------------------------------------------------------------------------------------------ 

『耻齋先生遺稿 』卷之三 關東錄  치재선생유고 권지삼 관동록〔치재 홍인우(耻齋洪仁祐1515∼1554〕

 

…甲寅。行一十五六里。憩觀瀾亭。亭臨海。長松萬株。擁抱東南。亭西二里。有銅山館。…
(갑인。행 십일오륙리。게관란정。정림해。장송만주。옹포동남。정서이리。유동산관。)

5월9일,갑인일
15,6리를 가서 관란정(觀瀾亭)에서 쉬었다.바다를 끼고있는 관란정 주변으로는 만 그루의 큰 소나무들이 정자의동남쪽을 빙 둘러싸고 있었다. 정자의 서쪽 2리에 동산관(銅山館)이 있었다...(생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