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정대

 3) 상운정(祥雲亭)

페이지 정보

조회 3,321회 작성일 2014-06-10 16:19

본문

▶ 소재지 : 손양면 상운리 172

006.jpg


▶ 연 혁: 『新增東國輿地勝覽』44권 양양도호부 편과『輿地圖書』에상운정은”부 남쪽25리에 있다.옛날에 정자가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巽陽面勝覽誌』의기록에 상운정은 면에서 남으로 5㎞ 지점의 상운리 해변에있다. 『峴山誌』에는 부 남쪽 20리에 있다.살펴 보건데삼재도회〔(三才圖會)중국 명나라 때에 편찬된 유서(類書)이다〕에 상운정은 양양 해상에 있는데, 소나무가 울창한것이 10리로 하늘의 해를 볼 수 없다고 한다. 『江原道誌』에 군 남쪽 30리에 있다. 바다 곁에 긴 소나무가 1리를연달아푸르게그늘져서, 쳐다보아도해가보이지 않는다. 소나무 사이에 잡풀이없고,오직산철쭉이 있어서,봄에 꽃이 피면 비단을 이룬 것처럼 빛난다.

 

『襄州誌』에 주대(奏代)에 봉작(封爵)을 부끄러워하고 외로이 동해변에 홀로 서서 염량세태 [炎凉世態:권세가 있을때는아첨하여 좇고,권세가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상의 인심]에 쓰고 단맛을 보고 풍상우로(風霜雨露:바람과서리와 비와 이슬을 아울러 이르는 말)에 시달려 늙은 일주장송이 창창울울(蒼蒼鬱鬱)하여 마치 푸른 천막을 펼쳐놓은 듯 주밀(綢密)한 지엽(枝葉)은 태양도 샐 수 없고 언건(偃蹇:거드름을 피며 거만함)한 적송은 벽해창용(碧海蒼龍)이 하늘로 오르는 듯하다.

 

일석단침(一席簞枕)에 한가히 누었으면 한줄기 바닷바람이 솔 그늘에 사무쳐서 상연한 맑은 맛이 흉금을 쇄락하고,한곡조 거문고소리 천연락(天然樂)을 알릴 적에〔우습다 세상사람 홍진에 몸이 빠 져, 홍로같이 성한 더위 괴롭다 탄식마소, 시원한 어름다락 나 홀로 산신 인가 하노라.〕부채장단에 부르는 시조지상선(時調地上仙)이 그 아니랴. 앞으로 바라보니 연포의 누룩바위 주천당 술 비져내고 독송정(獨松亭)에서 보내는 글짝 연포로 흘러든다.

 

체마송의 터는 자취가 희미하다.송정의 석태(石苔)만 남아있고 역찰방(驛察訪)으로 상운관(祥雲館)에서 머무르던 제주도 출신 장한철(張漢喆)이 소슬(蕭瑟)한 가을바람에 이 정자에 올라와서 읊은 사향시(思鄕詩)한 수가 남아있을 뿐이다.

 

 

▶ 시문

------------------------------------------------------------------------------------------------------------------------------------------
『新增東國輿之勝覽』 44卷 襄陽都護府編  신증동국여지승람 권 양양도호부편

 

祥雲亭在府南二十五里傍海有長松連十里蒼翠成陰仰不見日松間無雜卉惟山躑躅춘時花開欄如紅錦

(상운정재부남이십오리방해유장송연십리창취성음앙부견일송간무잡훼유산척촉춘시화개란여홍금)

 

해설 : 상운정(祥雲亭)은부 남쪽 25리에 있다.바다 곁엔 긴 소나무가 10리를 연달아 푸르게 그늘져서, 쳐다보아도해가 보이지 않는다.소나무 사이에 잡풀이 없고,오직 산철쭉이 있어서 봄에 꽃이 피면 붉은 비단같이 화려하다.

------------------------------------------------------------------------------------------------------------------------------------------

 

 

------------------------------------------------------------------------------------------------------------------------------------------
▪ 상운찰방 장한철(祥雲察訪張漢喆)의 시(詩)(1744~?)


異鄕官客謾愁秋(이향관객만수추) / 객지에서 벼슬살이 가을 근심하랴마는
獨倚亭松立海頭(독독정송입해두) / 정자 옆 소나무는 바다 머리에 섰구나.
回首扶桑千里外(회수부상천리외) / 머리 돌리니 동쪽바다 해 돋는 곳은 천리 밖이요
紅雲歸會是瀛洲(홍운귀회시영주) / 붉은 구름 모여드는 여기는 동해 신선이 사는 곳

------------------------------------------------------------------------------------------------------------------------------------------

 

 

------------------------------------------------------------------------------------------------------------------------------------------

▪ 『栗谷先生全書』률곡선생전서〔율곡 이이(栗谷李珥) 1536~1584〕

 

向臨瀛題祥雲亭(향림영제상운정) / 임영(강릉)으로 가는길에 상운정에 들러 상운정 시를 지음
秋風別楓嶽(추풍별풍악) / 가을바람에 풍악산과 이별하고
斜日到祥雲(사일도상운) / 해질녘에 상운정에 도착하였네.
沙上千巖列(사상천암렬) / 모래위에는 수많은 바위가 열을 지어있고
松間一路分(송간일로분) / 소나무 사이에는 한 길이 분명하네.
殷雷波捲海(은뢰파권해) / 요란한 우렛소리 바다에 물결을 일으켜
疎篆雁成羣(소전안성군) / 성긴 띠같이 기러기가 무리를 지었구나.
秣馬催程發(말마최정발) / 꼴 먹은 말을 재촉 길을 떠나니
前山晩靄昏(전산만애혼) / 앞산에는 벌써 저녁놀이 지누나.

------------------------------------------------------------------------------------------------------------------------------------------

 

 

------------------------------------------------------------------------------------------------------------------------------------------

▪ 『希菴先生集』卷之十六詩 峴山錄[上] 蔡彭胤  희암선생집 권지십륙시 현산록 상 채팽윤 (1669~1731)

 

回過祥雲亭(회과상운정)初與雲丞約煮花余適先一日還故未果(초여운승약자화여적선일일환고미과)
芳草如雲浦(방초여운포) / 꽃다운 풀 무성한 여운포
靑山奉日軒(청산봉일헌) / 청산은 해를 받들어 맞네.
徑回滄海棹(경회창해도) / 창해를 노를 저어 지름길로 돌아와서
不待故人樽(불대고인준) / 술상 차리고 고인을 기다리지 않았다.
浪入春風細(랑입춘풍세) / 봄바람은 살랑살랑 파도타고 불어오고
花方昨夜繁(화방작야번) / 꽃은 바야흐로 지난밤에 활짝 피었네.
詩家譏殺景(시가기살경) / 시인은 햇볕이 없음을 나무랄까
呼喝爾休喧(호갈이휴훤) / 쉬는데 시끄러워 크게 꾸짖었노라.'

------------------------------------------------------------------------------------------------------------------------------------------

 

 

------------------------------------------------------------------------------------------------------------------------------------------

『海東繹史』해동역사〔옥유당 한치윤(韓致奫) 1765∼1814〕

 

실사구시(實事求是)의 학풍이 두드러졌던 조선조 정조(正祖)와 순조(純祖)때옥유당(玉蕤堂)한치윤(韓致奫1765~1814)과 그의 조카인 한진서(韓鎭書)가 함께 편찬한 해동역사의 궁실지(宮室志)성궐(城闕)관부(官府),정(亭),관(館)을 붙임에 (祥雲亭.在江原道.按在襄陽府南二十五里.傍海有長松.連十里蒼翠成陰仰不見白日.松間無雜卉.惟有躑躅.盛開爛如紅錦)상운정(祥雲亭)은강원도(江原道)에 있다.살펴보건대,양양부(襄陽府)에서 남쪽으로 25리 되는 곳에있다.바닷가에는 큰 소나무가10리를 연해 푸르게우거져있어서 하늘을 쳐다보아도 해를 볼 수가 없다. 소나무 사이에는 다른 나무는 없고 오직 철쭉만 있어서, 꽃이 활짝피면 현란하여 마치 붉은 비단을 펼쳐 놓은 것과 같다.

------------------------------------------------------------------------------------------------------------------------------------------

 

 

------------------------------------------------------------------------------------------------------------------------------------------

『雙梅堂先生篋藏文集』쌍매당선생협장문집〔쌍매당 이첨(雙梅堂李詹) 1345~1405〕

 

次祥雲亭稼亭詩韻(차상운정가정시운)
海上神仙會合難(해상신선회합난) / 바닷가에 신선과 회합하는 일 어려우니
勞生祗自不離鞍(노생지자부리안) / 고달픈 이 인생 말위를 뜨지 못하네
如今試向江陵去(여금시향강릉거) / 이제야 비로소 강릉을 향해 가면서
多少樓臺次第看(다소루대차제간) / 절경 많은 누대들을 차례로 보노라

------------------------------------------------------------------------------------------------------------------------------------------

 

 

------------------------------------------------------------------------------------------------------------------------------------------

『十淸先生集』십청선생집〔십청헌 김세필(十淸軒金世弼) 1473~1533〕

 

祥雲亭(상운정)
祥雲亭上祥雲繞(상운정상상운요) / 상운정 꼭대기에 상서로운 구름이 둘렀는데
倦客登臨別有情(권객등림별유정) / 게으른 객이 정에 올라보니 별난 청취로다
十載銷魂望裏事(십재소혼망리사) / 십년 간 보고 싶어 넋이 빠졌는데
慇懃論罷朴先生(은근론파박선생) / 파직한 박선생을 은근히 논하였다.

------------------------------------------------------------------------------------------------------------------------------------------

 

 

------------------------------------------------------------------------------------------------------------------------------------------

『樂全堂集卷之四』악전당집권지사〔낙재 신익성(樂齋申翊聖) 1588~1644〕

 

贈李襄陽時楷〔(증이양양 시해): 양양부사 이시해1641년~1643년〕
余於辛未秋(여어신미추)。遍遊溟嶽(편유명악)。倏已閱十寒暑(숙이열십한서)。而夢魂往來憧憧(이몽혼왕래동동)。逢人出關(봉인출관)。便覺神馳(편각신치)。李子範學士守峴山(이자범학사수현산)。過余淮上(과여회상)。遂以四詠充別語(수이사영충별어)。又將兩絶(우장량절)。一以寄意(일이기의)。一以自嘲(일이자조)。

------------------------------------------------------------------------------------------------------------------------------------------

 

 

------------------------------------------------------------------------------------------------------------------------------------------

洛山寺(낙산사)
曾因休沐踏關東(증인휴목답관동) / 일찍이 휴가를 덛어 관동을 답사하니
海上奇觀大抵同(해상기관대저동) / 해상의 기이한 광경은 대개가 같구나.
最是洛迦峯寺曉(최시락가봉사효) / 가장 빼어난 곳은 새벽의 낙가봉 낙산사요
六龍擎出一輪紅(륙룡경출일륜홍) / 육룡이 받치난 듯 둥근 붉은 해가 치솟았다.

 


太平樓(태평루)
樓成延祐甲辰年(루성연우갑진년) / 연우년간 갑진년에 태평루 낙성하고
壁上題詩認昔賢(벽상제시인석현) / 옛 현인의 제시가 벽상에 걸려있구나.
君去登臨應細和(군거등림응세화) / 님이 간 루에 올라 하나하나 화답하고
時憑雙鯉寄新篇(시빙쌍리기신편) / 때를 맞추어 편지를 새책에 기고했네.

 


觀瀾亭(관란정)
亭臺無處不如畫(정대무처불여화) / 정대 어느 곳도 그림 같지 아니하고
特地觀瀾倚碧虛(특지관란의벽허) / 특별히 관란정은 푸른 하늘 의지했네.
十里長川流入海(십리장천류입해) / 십리의 장천은 바다로 유입하고
兩三漁屋隔林居(량삼어옥격림거) / 여섯 집 어촌은 수풀에 가렸구나.

 


祥雲亭(상운정)
祥雲驛畔萬株松(상운역반만주송) / 상운역 경계에는 일만 그루 소나무요
松外滄溟浪作峯(송외창명랑작봉) / 솔밭 밖의 창해엔 산 같은 파도 인다.
醉倚松根明月夜(취의송근명월야) / 달 밝은 밤 취하여 솔뿌리에 기대
蓬萊笙鶴倘相逢(봉래생학당상봉) / 봉래산 생학과 서로 만나 놀리라.

 


其五(기오)
學士如今又一麾(학사여금우일휘) / 양양부사 이시해와 지금처럼 대장기 세워놓고
何須不醉習家池(하수불취습가지) / 어찌 습가지에서 취해보지 않을 손가.
大堤南畔笙歌咽(대제남반생가인) / 남쪽 둑 큰 제방에서는 생가소리에 목이 메고
應有攔街拍手兒(응유란가박수아) / 길거리 가로막고 아이들은 손뼉 치며 응하누나.

 


其六(기육)
風流當日未全疏(풍류당일미전소) / 이날 풍류는 전혀 생소하지 않고
醒處吟詩醉後書(성처음시취후서) / 취중에 지은 시 깨어나서 읊었다.
一股瑤簪謾留跡(일고요잠만류적) / 옥비녀 찌른 부인의 머문 자취 속이고
韋娘今已不勝梳(위낭금이불승소) / 기녀는 지금에 이르러 빗질도 못하누나.

------------------------------------------------------------------------------------------------------------------------------------------

 

 

------------------------------------------------------------------------------------------------------------------------------------------

『鳴巖集』명암집〔명암 이해조(鳴巖李海朝) 1660~1711〕

 

峴山三十詠(현산삼십영)
祥雲亭在府南二十餘里傍海長松森鬱仰不見日/상운정은 부의 남쪽 20여리에 있다.바닷가의 장송이 빽빽이우거져 뜨는 해는 보이지 않는다.
第21詠祥雲松林(상운송림) / 송림속의 상운정
遮障扶桑池(차장부상지) / 송림이 해 돋는 바다물길 가로막으니
移幻小茅嶺(이환소모령) / 낮은 풀언덕을 옮겨놓은 듯 홀리누나.
龍鱗欲變化(용린욕변화) / 장군의 갑옷으로 갈아 입고자하니
霜榦愈孤勁(상간유고경) / 서리 맞은 난간은 더욱 단단하구나.
醉脫白接䍦(취탈백접리) / 술에 취하여 백접리를 벗으니
灑風時露頂(쇄풍시로정) /벗겨진 이마에 바람이 수치네.
終今彭澤令(종금팽택령) / 도연명이 팽택령 벼슬을 그만두고*
不復戀三徑(불복연삼경) /친구와 다니던 삼경이 그리워지네.

------------------------------------------------------------------------------------------------------------------------------------------

 

 

------------------------------------------------------------------------------------------------------------------------------------------

『三淵集』삼연집〔삼연 김창흡(三淵金昌翕) 1653~1722〕

 

祥雲驛路平(상운역로평) / 상운역 가는 길은 평평하고
夾路萬松整(협로만송정) / 샛길엔 소나무들 정연하구나.
種應自徂徠(종응자조래) / 스스로 근원 쫓아 왕래하다가
韻若通茅嶺(운약통모령) / 운을 붙이니 모령과 통하누나.
炎塵幾人暍(염진기인갈) / 더운 날씨에 몇이나 더위 먹었는가
密陰反冬冷(밀음반동랭) / 짙은 응달속이니 찬 겨울 돌아왔네.
更思笙鶴夕(경사생학석) / 저녁 학이 울던 소리 다시 생각하면서
携月步虗靜(휴월보허정) / 깨끗한 마음으로 달과 같이 걷는 도다.

------------------------------------------------------------------------------------------------------------------------------------------

 

 

------------------------------------------------------------------------------------------------------------------------------------------

『松潭集』송담집〔송담 송남수(宋潭宋柟壽) 1537~1626〕

 

祥雲亭(상운정)
吸盡襄陽酒百巵(흡진양양주백치) / 백잔의 술을 양양에서 다 마시고서
鳴沙歸路月如眉(명사귀로월여미) / 초승달 비추는 명사 길로 돌아왔네.
驚濤駭浪掀坤軸(경도해랑흔곤축) / 노도의 거센 물결 지축을 흔들고
疑是千兵萬馬馳(의시천병만마치) / 천군만마가 달려 나가는 듯하구나.

------------------------------------------------------------------------------------------------------------------------------------------

 

 

------------------------------------------------------------------------------------------------------------------------------------------

『海月先生文集』해월선생문집〔해월헌 황여일 (海月軒黃汝一) 1556~1622〕

 

七夕(칠석)。止襄陽祥雲驛有懷(지양양상운역유회)。
祥雲亭畔海迢迢(상운정반해초초) / 상운정 경계에 멀고 넓은 바닷가
雪岳山頭雨未消(설악산두우미소) / 설악산 꼭대기에는 비가 내리네.
爲客天涯方七夕(위객천애방칠석) / 바야흐로 칠석이라 하늘가에 나그네 되어서
憶親雲外孰三朝(억친운외숙삼조) / 누가 삼조를 섬긴 구름 밖 어버이 생각하나.
已知名字金難買(이지명자김난매) / 금을 주고 어렵게 산 이름자를 알고서
唯有踈狂酒不嘲(유유소광주부조) / 술을 들지 않고 비웃으며 미친체하였네.
多少向來衰世志(다소향래쇠세지) / 쇠퇴한 세상의 뜻을 다소가 따라가니
驛樓今夜聽寒潮(역루금야청한조) / 오늘밤 역루에서 찬 파도소리 듣는다.

------------------------------------------------------------------------------------------------------------------------------------------

 

 

------------------------------------------------------------------------------------------------------------------------------------------

『稼亭集』 卷之十九  가정집 권지십구〔가정 이곡(李穀)1349년9월10일 상운역 머무름〕


登祥雲驛亭。亭好而無詩。故留一絶(등상운역정。정호이무시。고류일절) / 상운역(祥雲驛)의 정자에 올라 보니 정자의 경치가 좋은데도 시가 없기에 절구 한 수를 남기다
絶景由來下筆難(절경유래하필난) / 절경에 붓을 대지 못하는 이유 중에는
或因未暇卸征鞍(혹인미가사정안) / 말안장 내려놓을 틈이 없어서 그럴 수도
此亭不在寒松下(차정부재한송하) / 이 정자는 한송정보다 결코 못하지 않은데도
自是無人着眼看(자시무인착안간) / 단지 사람이 주의해서 살펴볼 틈이 없었을 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