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정대

 1) 빈일루(賓日樓)

페이지 정보

조회 3,078회 작성일 2014-06-10 16:22

본문

▶ 소재지 :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55

004.jpg

 

▶ 연 혁 : 동해의 일출을 맞이하는 누각(樓閣)이란 뜻으 로 낙산사 사천왕문과 응향각(凝香閣)사이에 자리한 누각 이다.조선 중기 박종〔(朴琮)1677∼1750〕의 기행문인 동경유록(東京遊錄)에 송월료(送月寮)와함께 처음 이름이 나타난다. 만해 한용운〔(卍海韓龍雲)1879-1944〕스님이 쓴 건봉사급건봉사말사사적(乾鳳寺及乾鳳寺末寺史蹟)에는 1888년김홍도(金弘道)의낙산사도(洛山寺圖)와 발굴 조사 된 유구에 따라 전면3칸 측면3칸 규모로, 전면은 팔작지 붕뒷면은 맞배지붕 형식의 누각을 세웠다. 2005년 양양산 불로 소실된 것을 2009년 10월 12일 낙성하였으며, 누각 의 일부 기둥들은 지난 2005년 산불에 불탄 느티나무를 손 질해서 세웠다.현판은 조계종 총무원장인 지관 큰스님의 친필 현판이다. 1888년과 1912년에 각각 중건(重建)을 했 다는 기록이 있다.

 

 

------------------------------------------------------------------------------------------------------------------------------------------

▪『海左先生文集』卷之七詩  해좌선생문집 권지칠시〔해좌 정범조(海左丁範祖) 1723∼1801〕

 

洛山寺賓日樓御製詩歌(낙산사빈일루어제시가)
洛迦之巓滄海東(낙가지전창해동) / 산꼭대기의 낙산사 동쪽은 푸른 바다
有氣蟠空爲紫虹(유기반공위자홍) / 자주 빛 무지개 기운이 하늘에 서리고
翕赩常浮兜率天(흡혁상부두솔천) / 붉은 빛 어울려 항상 떠있는 두솔천
紛員直接馮夷宮(분원직접풍이궁) / 여럿이 흩어져 직접 풍이 궁에 내려가니
竦然下拜敢仰視(송연하배감앙시) / 두려워하며 내려서 절하고 감히 우러러보고는
肅宗御什藏在此(숙종어십장재차) / 숙종대왕의 어시 열편을 이곳에 간직하였었지.
鳳閣詞臣盥手寫(봉각사신관수사) / 중서성에서 사신이 손을 씻고 베껴 쓰니
二十八字墨花泚(이십팔자묵화차) / 훈민정음 스물여덟 자 먹물색이 선명하네.
體裁冲融雅頌備(체재충융아송비) / 문장의 격식이 온화하게 아와 송이 갖춰졌으니
聲律鏗鏘韶濩美(성률갱장소호미) / 악기가락이 순임금 탕임금 음악같이 아름답구나.
憶我翼祖偕元妃(억아익조해원비) / 나는 원비와 해로하신 익조대왕을 잊지 않고서
虔誠禱祀靈窟裏(건성도사령굴리) / 관음굴속 관음께 경건히 기도하며 제를 올렸다.
奇祥肹蠁電斗耀(기상힐향전두요) / 이상한 상서의 현상이 일어나니 북두칠성이 번개같이 빛이 나고
寶曆蟬聯金尺紀(보력선련금척기) / 태조대왕께서 조선개국을 기원으로 보력이연달아 이어져 오네.
三聖駐驆訪王迹(삼성주필방왕적) / 삼성의 어가가 머문 곳에서 왕의 자취를 찾으니
羽衛煌煌亘丹壑(우위황황긍단학) / 빛나게 엄숙하게 갖춰진 의식이 선경에 뻗혔네.
神孫繼述感淵衷(신손계술감연충) / 전 임금님의 업적을 이어가는 깊은 속마음 느껴
發揮鴻藻被溟嶽(발휘홍조피명악) / 아름다운 문장을 지어 동해와 설악산을 덮노라.
賓日軒高架六鰲(빈일헌고가륙오) / 빈일루의 높은 추녀 여섯 마리 자라가 받쳤는가,
上懸壁月光璿極(상현벽월광선극) / 동쪽하늘 높이 뜬 달은 옥빛같이 온 세상 비추네
一朝回祿駕豐隆(일조회록가풍륭) / 하루아침에 복이 돌아와 구름의 신령이 머물고
烈火歊埃天爲紅(렬화효애천위홍) / 맹렬한 불꽃이 솟아오르니 하늘이 붉어지는구나.
梵宇千甍頃刻燼(범우천맹경각신) / 절간의 모든 지붕이 잠간 동안 타는 것 같으니
龍象蒼皇佛力窮(룡상창황불력궁) / 지행을 겸비한 중은 황급히 불력이 다했다하네.
聖人咳唾含正氣(성인해타함정기) / 성인의 말씀에는 정기가 머금었고
外邪不敢爲魔戱(외사불감위마희) / 외사가 감히 못할 귀신의 희롱이다.
訶叱何煩六丁護(가질하번륙정호) / 육정신이 호위하는데 어찌 꾸짖으며 번뇌하는가,
鬱攸自覺三舍避(울유자각삼사피) / 화기를 미리 깨달았으면 구십 리 밖으로 피하라.
譬如秦焰焚六籍(비여진염분륙적) / 진시황이 육 경서를 불사른 일과 같이 비유되니
羲文大筆獨完粹(희문대필독완수) / 복희와 문왕의 대필은 홀로 완전하고 순수했다.
空門成毁有循環(공문성훼유순환) / 불문에는 이룸과 허물어짐이 순환하고 있으니
棟宇丹靑回舊觀(동우단청회구관) / 전각을 단청하여 옛 모습을 돌려 볼 수 있구나.
高揭奎章雲漢光(고게규장운한광) / 천자의 시문이 하늘에 높이 걸려 빛을 발하니
重瞻璿榜神人歡(중첨선방신인환) / 왕의 방목을 거듭 보며 신과 사람이 기뻐하네.
天吳移海扶桑死(천오이해부상사) / 해신은 동해바다로 옮겨가서 죽으니
此詩長與元精蟠(차시장여원정반) / 길고 긴 이 시에는 정기가 서렸구나.
周序琬琰寶常陳(주서완염보상진) / 주 나라 학교에는 항상 보옥이 진열되었고
禹碑岣嶁字不刓(우비구루자불완) / 우 나라 구루비는 글자가 깎이지 않았다네.
願寫一本獻丹墀(원사일본헌단지) / 한 벌을 베껴서 어전에 올리기를 바라노니
三韓億載洪基安(삼한억재홍기안) / 우리나라 큰 나라 억만년 국태민안하소서.

------------------------------------------------------------------------------------------------------------------------------------------

 

 

------------------------------------------------------------------------------------------------------------------------------------------

『乾鳳寺及乾鳳寺末寺史蹟』건봉사급건봉사말사사적〔한용운(韓龍雲)1879∼1944〕

 

洛山寺賓日樓重修記(낙산사빈일루중수기)粤昔佛祖(월석불조)。會衆紙園(회중지원)。轉無上妙法(전무상묘법)。於是焉開士高足(어시언개사고족)。如是我聞(여시아문)。大心衆生(대심중생)。于千萬禩(우천만사)。有傳禪宗於緇走者(유전선종어치주자)。有樹功德於伽藍者(유수공덕어가람자)。有禪法(유선법)。不可無伽藍(불가무가람)。旣有伽藍(기유가람)。則靈殿寶塔(칙영전보탑)。綉櫳藻井(수롱조정)。跌靑蓮而端花鬘(질청연이단화만)。極其莊嚴者(극기장엄자)。盖諸祖師之功德(개제조사지공덕)。而渡人於極樂之意(이도인어극락지의)。報佛者(보불자)。輪廻之常數也(윤회지상수야)。

 

然則寺觀之再彫(연칙사관지재조)。卽佛敎盛衰之機關也(즉불교성쇠지기관야)。寺古新羅時(사고신라시)。義湘祖師(의상조사)。見性之此(견성지차)。親遭善女(친조선여)。

 

感我佛情(감아불정)。旣以現靈於觀音窟(기이현영어관음굴)。時有靑鳥明珠之瑞(시유청조명주지서)。遂建寺于竹生處(수건사우죽생처)。替至麗朝末(체지려조말)。我翼祖大王(아 익조대왕)。親莅祈佛(친리기불)。獲麟趾之祥(획인지지상)。因錫名善來(인석명선래)。語載襄陽郡誌中(어재양양군지중)。恭惟我世祖大王(공유아세조대왕)。嘗臨幸(상임행)。睿宗朝(예종조)。賜藏獲田畓(사장획전답)。奉香火(봉향화)。肅宗朝(숙종조)。降御製詩(강어제시)。以龍耀之(이용요지)。以故洛伽山(이고낙가산)。

 

冠於諸寺(관어제사)。其山脉(기산맥)。自雪山來(자설산래)。東迤爲五峰(동이위오봉)。盤屈若龜背(반굴야구배)。然環三面而皆海(연환삼면이개해)。中峰之嶺(중봉지영)。曰圓通寶殿(왈원통보전)。克宏偉(극굉위)。右龍般殿,說禪堂(우용반전,설선당)。左靈山殿,凝香閣(좌영산전,응향각)。次第階列(차제계열)。其外門樓(기외문루)。賓日軒(빈일헌)。登樓凝望紅旭初出(등응망홍욱초출)。宛如金盤(완여금반)。劈破五雲捲彩(벽파오운권채)。萬像呈露(만상정로)。此眞天下第一奇觀(차진천하제일기관)。信乎諸祖師大功德寶陁也(신호제조사대공덕보타야)。夷考其沿革(이고기연혁)。

 

則羅麗以降(칙라려이강)。無文獻可徵(무문헌가징)。曁我朝至崇禎辛未寺災(기아조지숭정신미사재)。而僧宗密修之(이승종밀수지)。癸未災(계미재)。而道源修之(이도원수지)。丁酉災(정유재)。而學均修之(이학균수지)。樓若守累廢興也(누약수누폐흥야)。徃在戊子(왕재무자)。仙鶴力幹寺務(선학력간사무)。慨斯樓之圮毁(개사루지비훼)。修而新之(수이신지)。制度煥然可觀(제도환연가관)。而光陰易逝(이광음역서)。彈指頃(탄지경)。浩劫鹿鹿(호겁녹녹)。棟樑爲風雨所泐(동량위풍우소륵)。堅緻化而岨峿(견치화이저어)。丹雘流而漫煥(단확유이만환)。未幾年(미기년)。將有頹廢之盧矣(장유퇴폐지노의)。法務釋海星(법무석해성)。襄陽人也(양양인야)。凊愼勤儉(청신근검)。爲佛家上足(위불가상족)。能廉用積(능염용적)。三年儲(삼년저)。而餘一年之蓄(이여일년지축)。貨有餘於是募衆工經營之(화유여어시모중공경영지)。礎甍仍舊(초맹잉구)。楹榭補新(영사보신)。改舊制之丁字(개구제지정자)。橫作門樓(횡작문루)。凡十有六楹(범십유육영)。工役省而儉奢得中(공역성이검사득중)。以明治四十五年役事(이명치사십오년역사)。不數月告迄(불수월고흘)。噫樓之成毁有數(희루지성훼유수)。而謨新以成之(이모신이성지)。存乎其人(존호기인)。前乎仙鶴(전호선학)。

 

克始厥事(극시궐사)。後乎海星(후호해성)。克終厥功(극종궐공)。其於古祖師(기어고조사)。傳妙法(전묘법)。樹功德(수공덕)。與有光焉(여유광언)。夫觀日固奇矣(부관일고기의)。非斯樓(비사루)。無以寓寅賓之義(무이우인빈지의)。樓觀雖勝(누관수승)。微海星(미해성)。棟宇或幾乎頹矣(동우혹기호퇴의)。海星之功(해성지공)。豈曰鎖鎖云矣哉(기왈쇄쇄운의재)。使洛山之人(사낙산지인)。如海星者(여해성자)。繼以來來(계이래래)。則斯樓之壽(칙사루지수)。齊乎日月(제호일월)。而海星之名(이해성지명)。與之同傳(여지동전)。吁可俟也(우가사야)。至於誌其功(지어지기공)。而勉旃後人(이면전후인)。壽斯樓而不杇(수사루이불오)。則是記也(칙시기야)。未甞無小補云爾(미상무소보운이)。明治四十五年(명치사십오년)月(월)日(일)金東圭松澗撰(김동규송간찬), 住持白月炳肇(주지백월병조), 法務海星世胤(법무해성세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