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정대

 21) 강선정(降仙亭)

페이지 정보

조회 4,278회 작성일 2014-06-11 13:20

본문

▪ 소재지 : 강현면 강선리 (발연봉) 449

037.jpg

 

▪ 연 혁 : 조선전기 지리지인『新增東國輿地勝覽』에부 북쪽 29리에 있다고 한다『輿地圖書』에는 부 북쪽 29리 강선역 동쪽에 있다. 옛날에 정자가 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襄州誌』에 재군(在郡)북29里강선리 강선역 동쪽발연봉(發連峰)측록(側麓)에 건립하였다.신라시대 영랑(永郞),술랑(述郞),안상(安詳),남석(南石)등사선(四仙)이 승지,강산(勝地,江山)을 완상(玩賞)할 당시 이 정자터에서 여러 날을 지냈다고 하였다. 사선이 순례한 것을기념하기 위하여 건립하였으나 연구(年久) 세심(歲深)한탓으로 없어지고,지금은 빈터만 남아 있다.라 기록되어있다.강현면 물치리 전형은(74세)의 전언에 의하면 어릴 적 강선리에 살 때 강선정 옛터에서 놀았다고 하며 그곳에주춧돌이 6개가 있었다고 말했다. 또 어른들은 그곳에서 옛 문인들이 글도 쓰면서 풍류를 즐기는 생애를 살았다는 말도들었다고 함께 전했다.현재 강선정 옛터라는 곳〔발연봉〕에는 당시의 주춧돌로보이는 돌이 있는데3개는3m터 간격으로 나란히 놓여있고,나머지3개는 오랜 세월 탓 인지 당초 있었다는 자리에서 5m 정도 밀려나 비탈진 곳에 묻혀있다. 따라서 이를토대로 향후 발굴 조사와 함께 그 결과에 따라 보존대책이세워져야 할 것이다.

 

 

시문

------------------------------------------------------------------------------------------------------------------------------------------

玄谷 趙緯韓 현곡 조위한 (1567∼1649)의시

 

降仙亭(강선정)
亭臺漂渺屳蹤秘(정대표묘선종비)/정대는 넓고 아득하여 신선자취 숨어있고
天水蒼茫物色留(천수창망물색유)/하늘과 바다는 푸르고 아득하고 물색이 변함없다.
落日半啣靑草岸(낙일반함청초안)/지는 해는 푸른 언덕에 반이 물리었고
微風乍起白蘋洲(미풍사기백빈주)/흰마름 핀 물가에 미풍이잠깐 이는구나.(襄州邑誌)

------------------------------------------------------------------------------------------------------------------------------------------

 

 

------------------------------------------------------------------------------------------------------------------------------------------

老峰 金克己 노봉 김극기 (1150∼1204경)

 

降仙亭詩文(강선정 시문)
塞上無塵況有年(새상무진황유년)/맑고 평온한 변방에는 풍년이 이어지고
花容鳥語尙欣然(화용조어상흔연)/새소리에 꽃은 아름다워 으레 기쁘도다.
千車白雲繰絲地(천차백운조사지)/일천 수레에 백운 같은 명주실 캐어 실은 땅
萬頃黃雲割麥天(만경황운할맥천)/일만 이랑 황운 물결 보리 익어 거두는 계절
漁夫磯邊苔錯落(어부기변태착락)/어부들은 해변에서 미역 뜯어 붙이고
樵童壟上草芊眠(초동롱상초천면)/초동은 언덕 위 풀밭에서 졸고 있구나.
往來勝槩尤堪賞(왕래승개우감상)/훌륭한 경치를 오가며 더욱 볼만한데
曾遣騷人得幾篇(증견소인득기편)/일찍이 신인들은 몇 편의 시를 썼는가.

------------------------------------------------------------------------------------------------------------------------------------------

 

 

------------------------------------------------------------------------------------------------------------------------------------------

『關東別曲』관동별곡〔근재 안축(謹齋安軸) 1287~1348〕

 

雪嶽東洛山西(설악동낙산서). 襄陽風景(양양풍경). 降仙亭祥雲亭(강선정상운정). 南北相望(남북상망). 騎紫鳳駕紅鸞(기자봉가홍란). 佳麗神仙(가려신선). 爲爭弄朱絃(위쟁롱주현). 景幾何如(경기하여). 高陽酒徒(고양주도). 習家池館(습가지관). 爲四節遊(위사절유). 伊沙伊多( 이사이다) /설악산 동쪽 낙산사 서쪽, 양양의 풍광은 참으로 좋을시고.강선정과 상운정은 남북으로 마주보는 가까운 곳.자봉은 말을 타고 홍란은 수레타고 정사를 살피는 아름다운신선이 거문고의 주현을 다투듯이 타면서 희롱하고 있으니그 모습 어떠하나이까? 내 고양의 술꾼처럼 습욱의 지관같은 좋은 경치 속에서 이 사계절 즐겁게 놀고 자.하나이다.

------------------------------------------------------------------------------------------------------------------------------------------

 

 

------------------------------------------------------------------------------------------------------------------------------------------

『四雨亭集』사우정집〔사우 이식(四雨李湜) 1458~1488〕

 

送文淵之襄陽。十絶(송문연지양양。십절)
王孫逸格準飛天(왕손일격준비천)/왕손은 빼어난 품격이 하늘을 날 수준으로
遊向關東氣浩然(유향관동기호연)/관동에서 노니는 기품이 호연지기 지녔네.
勝水佳山探一一(승수가산탐일일)/아름다운 산천를 일일이 탐방하고서
錦囊題詠幾千篇(금낭제영기천편)/지은 시가 금낭에 몇 천편을 넣었나.
嗟予宦海夢長酣(차여환해몽장감)/아 벼슬길에서 단꿈을 오래 꾸고서
役役東西苦未堪(역역동서고미감)/동서에서 골몰한 일 끝나지 않았네.
却羨王孫事幽討(각선왕손사유토)/왕손은 부끄럼 없이 명승을 탐방하면서
溪山無處不停驂(계산무처불정참)/산천 곳곳을 머물지 않고서 말을 달렸네.
詩情秋興兩難刪(시정추흥량난산)/추훙의 시정 이것도 저것도 어려움 무릅쓰고
探向名區得解顏(탐향명구득해안)/명승지 탐방하면서 즐거워 희색이 만면하였네.
試上觀瀾亭上望(시상관란정상망)/시험삼아 관란정에 올라서 멀리 바라보니
黑風吹海湧銀山(흑풍취해용은산)/흐린날 거센 바닷바람에 산 같은 은파이네.
風生蘋末響颼颼(풍생빈말향수수)/바람불어 네가래 잎에서 솔솔 바람소리 울리니
政是關東八月秋(정시관동팔월추)/다스리는 이곳 관동지방은 팔월이라 가을이로다.
知有王孫詩癖在(지유왕손시벽재)/시를 지은 흔적이 있어 왕손이 있었음을 알겠고
興闌先上大平樓(흥란선상대평루)/태평루에 먼저 올라 난간 안에서 흥을 돋구었네.
嶺南疇昔訪奇蹤(령남주석방기종)/예전 영남에서 농사짓던 자취를 찾고서
此日行裝又嶺東(차일행장우령동)/이날 행장을 차리고서 영동으로 왔다오.
有酒有詩兼有妓(유주유시겸유기)/술이 있고 시가 있어 기녀도 겸해 있으니
憑君且莫灸人中(빙군차막구인중)/그대여 인중에 뜸뜨는 일 없기를 바라노라.

十年塵世夢悠悠(십년진세몽유유)/십년동안 진세에 근심 없이 지내오면서
此去君應興轉幽(차거군응흥전유)/임금의 부름에 응하지 않고 은둔하였네.
探遍湖山歸鏡浦(탐편호산귀경포)/호산을 두루 탐방하고 경포에 왔다가
也應還伴永郎遊(야응환반영낭유)/돌아와 친구들과 영랑호에서 놀았다오.
王孫兼有漢唐才(왕손겸유한당재)/한당대의 재주를 겸하여 가진 왕손은
到處新詩手自裁(도처신시수자재)/도처에 새로 지은 시를 손수 재본하네.
何用碧紗籠好句(하용벽사롱호구)/푸른 깁으로 장식한 좋은 글귀 어디에 쓰려나
也應紅袖拂塵埃(야응홍수불진애)/응당 기녀는 붉은 옷소매로 먼지를 떨었다오.
降仙亭上倚西風(강선정상의서풍)/강선정에 올라 있으니 서풍이 불어와
湖海茫茫入眼中(호해망망입안중)/망망한 호수와 바다 눈 안에 가득하네.
竹島籬山朝雨霽(죽도리산조우제)/죽도와 울산은 아침 비 개었는데
淡煙濃翠政濛濛(담연농취정몽몽)/짙은 녹색 연기에 정사가 흐릿해.
名場仕路拂塵衣(명장사로불진의)/명승지의 벼슬살이 더러운 옷 벗어던지고
爲討江山策馬歸(위토강산책마귀)/강산을 다스리기 위해 말을 달려 돌아왔다.
占得岩崖多雅趣(점득암애다아취)/점거해 얻은 바위의 낭떠러지엔 아담한 정취 많고
四仙遺跡想依稀(사선유적상의희)/영랑 술랑 남석 안상의 유적이 어렴풋이 생각되네.
傍海登山發興濃(방해등산발흥농)/바닷가 산에 오르니 짙은 흥이 일어나서
尋僧又向梵王宮(심승우향범왕궁)/절간으로 나아거서 또 스님을 찾았노라.
王孫遊跡應傳後(왕손유적응전후)/왕손이 놀던 자취 응당 후세에 전해지고
何異今人訪古蹤(하이금인방고종)/옛 자취 찾으니 지금 사람과 어찌 다를까.

------------------------------------------------------------------------------------------------------------------------------------------

 

 

------------------------------------------------------------------------------------------------------------------------------------------ 

『蓬萊詩集』봉래시집〔봉래 양사언(蓬萊楊士彦) 1517~1584〕

 

降仙亭。戱爲留眼蓀谷李謫仙(강선정.희위류안손곡리적선)
霓裳羽衣淸都仙(예상우의청도선)/신선의 곡조가 맑고 아름답게 울리는 곳은,
謫下碧海三千年(적하벽해삼천년)/신선이 온지가 삼천년이 지난 푸른 바닷가.
今朝學吹鳳簫曲(금조학취봉소곡)/오늘아침에 봉새의 퉁소를 배워서 불으니,

萬里長空乘紫煙(만리장공승자연)/만리 장공엔 상서로운 기운이 피어오르네.

降仙亭。待車紫洞(강선정.대차자동)

降仙亭上望仙翁(강선정상망선옹)/강선정 위에서 선옹을 바라보니
何處鸞笙倚碧空(하처란생의벽공)/어느 곳 방울과 저가 푸른 하늘을 의하여 오는가
伽樂峰頭斜日落(가악봉두사일락)/가락봉머리에 비낀 해가 떨어지는데
白鷗疎雨海棠紅(백구소우해당홍)/흰 갈매기 가랑비에 해당화도 붉었네.

------------------------------------------------------------------------------------------------------------------------------------------

 

 

------------------------------------------------------------------------------------------------------------------------------------------
『八谷先生集』팔곡선생집〔팔곡 구사맹(八谷具思孟) 1531~1604〕

 

降仙亭次鄭圓齋樞韻(강선정차정원재추운)
山下孤亭泛斷霞(산하고정범단하)/산 아래 외로운 정자 놀 속에 떠있고
白鷗飛掠海棠花(백구비략해당화)/해당화 핀 곳 갈매기 날며 노략질하네.
滄波返照漁村路(창파반조어촌로)/어촌으로 가는 길 창파에 저녁별이 비추고
信馬行吟十里沙(신마행음십리사)/명사십리 길을 말 가는대로 읊으며 갔다오.

 ------------------------------------------------------------------------------------------------------------------------------------------

 

 

------------------------------------------------------------------------------------------------------------------------------------------
『五山集 卷之二』오산집 권지이〔오산 차천로(五山車天輅) 1556~1615〕

 

奉贈權雲卿令公赴襄陽二首(봉증권운경령공부양양이수)
降仙亭外是扶桑(강선정외시부상)/강선정 밖은 바로 동해의 해 돋는 곳
坐見金烏湧大荒(좌견금오용대황)/앉아서 보나 해가 하늘로 치솟는구나.
鸞鳳下雲丹穴近(란봉하운단혈근)/난봉이 나는 구름아래 단혈이 가까우니

鯨鯢噴雪碧天長(경예분설벽천장)/고래 떼가 눈을 뿜나 푸른 하늘 넓구나.
十洲縹緲神仙窟(십주표묘신선굴)/아득한 곳 십주에는 신선이 모였다하고
三島蒼茫草木香(삼도창망초목향)/머나먼 곳 삼신산엔 초목이 향기롭다지.
道骨占知餘舊習(도골점지여구습)/도인이 점을 쳐 알리는 옛날 풍습 남았는데
不然那得臥黃堂(불연나득와황당)/명령을 쫓지 않고 관아에 누워서 어찌 알까.
關東形勝冠吾東(관동형승관오동)/지세 뛰어난 관동은 오동에 으뜸이라
咫尺桑溟浴日紅(지척상명욕일홍)/지척의 동해에서 붉은 해가 목욕하네.
黃鶴去歸明月在(황학거귀명월재)/황학은 돌아가고 밝은 달만 떠있는데
白鷗飛盡碧天空(백구비진벽천공)/갈매기도 날지 않고 하늘만 푸르구나.
鯨噴剩見三山雪(경분잉견삼산설)/고래가 뿜으니 삼신산의 눈같이 보이고
鵬擊遙聞萬里風(붕격요문만리풍)/만리풍에 붕새의 나는 소리 멀리 들린다.

此地分符償宿債(차지분부상숙채)/남은 빚을 갚고자 이곳에서 부절을 나누고
尋眞頻輟簿書叢(심진빈철부서총)/장부를 모아서 진실을 찾고자 자주 고치네.

------------------------------------------------------------------------------------------------------------------------------------------

 

 

------------------------------------------------------------------------------------------------------------------------------------------

『海月先生文集』해월선생문집〔해월 황여일(海月黃汝一) 1556∼1622〕

 

降仙亭(강선정)。讀楊蓬萊詩有感伏次(독양봉래시유감복차)
天上還收天逸翁(천상환수천일옹)/천일옹이 천상에 돌아가 수습하니
蓬萊無主北溟空(봉래무주북명공)/북해의 봉래산엔 주인 없이 비었네.
降仙亭下羊曇慟(강선정하양담통)/강선정 아래에선 양떼들이 슬피 울고
不待桃花萬樹紅(부대도화만수홍)/붉은 복사꽃은 기다리지 않고 지누나.
降仙亭上望仙翁(강선정상망선옹)/강선정 올라서 선옹을 바라보나
何處鸞笙倚碧空(하처란생의벽공)/벽공을 의지한 난생은 어디 있나.
迦落峯頭斜日落(가락봉두사일락)/가락봉 머리로 저녁 해가 지는데
白鷗疎雨海棠紅(백구소우해당홍)/갈매기 비에 젖고 해당화 붉구나.
<양사언의 시원문>

------------------------------------------------------------------------------------------------------------------------------------------

 

 

------------------------------------------------------------------------------------------------------------------------------------------
『宋潭集』송담집〔송담 송남수(宋潭宋柟壽) 1537∼1626〕

 

降仙亭(강선정)
驢蹇何須促(여건하수촉)/절뚝대는 나귀를 어찌 그리 재촉하나
鳴沙路細分(명사로세분)/바삭바삭 모래 길 가늘게 나뉘었구려.
吟詩滄海岸(음시창해안)/바닷가 언덕에서 시 한수를 읊다가
賖酒白鷗村(사주백구촌)/백구 나는 마을에서 외상술 마셨네.
松老千秋月(송로천추월)/소나무는 천년동안 달빛에 늙고
山含萬古雲(산함만고운)/산은 만년동안 구름을 머금었네.
蓬壺應不遠(봉호응불원)/봉래산은 멀지 않아 응할 것이나
一蹴伴仙羣(일축반선군)/신선은 무리지어 짝을 일축하누나.

------------------------------------------------------------------------------------------------------------------------------------------

 

 

------------------------------------------------------------------------------------------------------------------------------------------
四溟大師 사명대사〔유정(惟政) 1544∼1610〕의 詩

題降仙亭1(제강선정일) / 강선정에 쓰다
三峽客歸去(삼협객귀거)/삼협으로 나그네 돌아가니
龍臺生遠愁(용대생원수)/ 용대에는 먼 근심 이는구나
靑山雲色暮(청산운색모)/ 청산에 구름 빛 저무는데
丹穴水聲幽(단혈수성유)/ 단혈에선 물소리 그윽하다.
題降仙亭2(제강선정이)/ 강선정에 쓰다.
白首關河夜(백수관하야)/ 은하수 밝은 밤에 백수인 이 몸
傷心遠客愁(상심원객수)/ 애끊는마음먼나그네의수심이라
相思無限意(상사무한의)/ 한없이 서로를 생각하며
明月獨登樓(명월독등루)/ 홀로 누대에 오르니 달도 밝구나.

------------------------------------------------------------------------------------------------------------------------------------------

 

 

 ------------------------------------------------------------------------------------------------------------------------------------------

蓀谷詩集卷之四 손곡시집권지사〔손곡 이달(蓀谷李達) 1539∼1612〕의 詩

 

降仙樓夜懷(강선루 야회)
迢遞朱闌俯碧城(초체주란부벽성)/아득하니 푸른 성 주란을 굽어보니
滿天星斗夜雲輕(만천성두야운경)/별 가득한 밤하늘에 구름은 빠르구나.

一千里外身何遠(일천리외신하원)/천리 밖 멀리 이 몸은 어디에 있는가
十二峯前月正明(십이봉전월정명)/열두 봉 앞 달빛은 정대 공명하구나.
多病未能成峽夢(다병미능성협몽)/짧은 꿈도 이루지 못하니 병도 많은데
獨來猶自聽江聲(독래유자청강성)/혼자 있으니 오로지 강물소리만 들리네.
仙居不必求他界(선거불필구타계)/신선이 있는 곳을 구할 필요 없으나
何處緱山有玉笙(하처구산유옥생)/옥 생황 부는 후산은 어느 곳인가.
降仙樓(강선루)次泥丸韻(차니환운)/니환의 시문을 차운하여 짓다.
月明露華白(월명로화백)/달빛이 밝으니 흰 이슬이 빛나고
夜靜秋江深(야정추강심)/교요한 가을밤에 강물은 깊구나.
仙閣一杯酒(선각일배주)/강선루에 앉아서 한잔 술 마시고나니
泠泠三尺琴(령령삼척금)/석자 되는 거문고 소리 맑기도 하구나.

不是感時節(불시감시절)/ 이에 시절의 느낌도 잊을 손가
自然傷我心(자연상아심)/ 절로 내 마음이 이지러지는구나.

------------------------------------------------------------------------------------------------------------------------------------------

 

 ------------------------------------------------------------------------------------------------------------------------------------------

玄谷 趙緯韓 현곡 조위한 (1567∼1649)의시

 

降仙亭(강선정)
亭臺漂渺屳蹤秘(정대표묘선종비)/정대는 넓고 아득하여 신선자취 숨어있고
天水蒼茫物色留(천수창망물색유)/하늘과 바다는 푸르고 아득하고 물색이 변함없다.
落日半啣靑草岸(낙일반함청초안)/지는 해는 푸른 언덕에 반이 물리었고
微風乍起白蘋洲(미풍사기백빈주)/흰마름 핀 물가에 미풍이잠깐 이는구나.(襄州邑誌)

------------------------------------------------------------------------------------------------------------------------------------------

 

 

------------------------------------------------------------------------------------------------------------------------------------------ 

老峰 金克己 노봉 김극기 (1150∼1204경)

 

降仙亭詩文(강선정 시문)
塞上無塵況有年(새상무진황유년)/맑고 평온한 변방에는 풍년이 이어지고
花容鳥語尙欣然(화용조어상흔연)/새소리에 꽃은 아름다워 으레 기쁘도다.
千車白雲繰絲地(천차백운조사지)/일천 수레에 백운 같은 명주실 캐어 실은 땅
萬頃黃雲割麥天(만경황운할맥천)/일만 이랑 황운 물결 보리 익어 거두는 계절
漁夫磯邊苔錯落(어부기변태착락)/어부들은 해변에서 미역 뜯어 붙이고
樵童壟上草芊眠(초동롱상초천면)/초동은 언덕 위 풀밭에서 졸고 있구나.
往來勝槩尤堪賞(왕래승개우감상)/훌륭한 경치를 오가며 더욱 볼만한데
曾遣騷人得幾篇(증견소인득기편)/일찍이 신인들은 몇 편의 시를 썼는가.

------------------------------------------------------------------------------------------------------------------------------------------

 

 

------------------------------------------------------------------------------------------------------------------------------------------ 

『關東別曲』관동별곡〔근재 안축(謹齋安軸) 1287~1348〕

 

雪嶽東洛山西(설악동낙산서). 襄陽風景(양양풍경). 降仙亭祥雲亭(강선정상운정). 南北相望(남북상망). 騎紫鳳駕紅鸞(기자봉가홍란). 佳麗神仙(가려신선). 爲爭弄朱絃(위쟁롱주현). 景幾何如(경기하여). 高陽酒徒(고양주도). 習家池館(습가지관). 爲四節遊(위사절유). 伊沙伊多( 이사이다) /설악산 동쪽 낙산사 서쪽, 양양의 풍광은 참으로 좋을시고.강선정과 상운정은 남북으로 마주보는 가까운 곳.자봉은 말을 타고 홍란은 수레타고 정사를 살피는 아름다운신선이 거문고의 주현을 다투듯이 타면서 희롱하고 있으니그 모습 어떠하나이까? 내 고양의 술꾼처럼 습욱의 지관같은 좋은 경치 속에서 이 사계절 즐겁게 놀고 자.하나이다.

------------------------------------------------------------------------------------------------------------------------------------------

 

 

 ------------------------------------------------------------------------------------------------------------------------------------------

『四雨亭集』사우정집〔사우 이식(四雨李湜) 1458~1488〕

 

送文淵之襄陽。十絶(송문연지양양。십절)
王孫逸格準飛天(왕손일격준비천)/왕손은 빼어난 품격이 하늘을 날 수준으로
遊向關東氣浩然(유향관동기호연)/관동에서 노니는 기품이 호연지기 지녔네.
勝水佳山探一一(승수가산탐일일)/아름다운 산천를 일일이 탐방하고서
錦囊題詠幾千篇(금낭제영기천편)/지은 시가 금낭에 몇 천편을 넣었나.
嗟予宦海夢長酣(차여환해몽장감)/아 벼슬길에서 단꿈을 오래 꾸고서
役役東西苦未堪(역역동서고미감)/동서에서 골몰한 일 끝나지 않았네.
却羨王孫事幽討(각선왕손사유토)/왕손은 부끄럼 없이 명승을 탐방하면서
溪山無處不停驂(계산무처불정참)/산천 곳곳을 머물지 않고서 말을 달렸네.
詩情秋興兩難刪(시정추흥량난산)/추훙의 시정 이것도 저것도 어려움 무릅쓰고
探向名區得解顏(탐향명구득해안)/명승지 탐방하면서 즐거워 희색이 만면하였네.
試上觀瀾亭上望(시상관란정상망)/시험삼아 관란정에 올라서 멀리 바라보니
黑風吹海湧銀山(흑풍취해용은산)/흐린날 거센 바닷바람에 산 같은 은파이네.
風生蘋末響颼颼(풍생빈말향수수)/바람불어 네가래 잎에서 솔솔 바람소리 울리니
政是關東八月秋(정시관동팔월추)/다스리는 이곳 관동지방은 팔월이라 가을이로다.
知有王孫詩癖在(지유왕손시벽재)/시를 지은 흔적이 있어 왕손이 있었음을 알겠고
興闌先上大平樓(흥란선상대평루)/태평루에 먼저 올라 난간 안에서 흥을 돋구었네.
嶺南疇昔訪奇蹤(령남주석방기종)/예전 영남에서 농사짓던 자취를 찾고서
此日行裝又嶺東(차일행장우령동)/이날 행장을 차리고서 영동으로 왔다오.
有酒有詩兼有妓(유주유시겸유기)/술이 있고 시가 있어 기녀도 겸해 있으니
憑君且莫灸人中(빙군차막구인중)/그대여 인중에 뜸뜨는 일 없기를 바라노라.
十年塵世夢悠悠(십년진세몽유유)/십년동안 진세에 근심 없이 지내오면서
此去君應興轉幽(차거군응흥전유)/임금의 부름에 응하지 않고 은둔하였네.
探遍湖山歸鏡浦(탐편호산귀경포)/호산을 두루 탐방하고 경포에 왔다가
也應還伴永郎遊(야응환반영낭유)/돌아와 친구들과 영랑호에서 놀았다오.
王孫兼有漢唐才(왕손겸유한당재)/한당대의 재주를 겸하여 가진 왕손은
到處新詩手自裁(도처신시수자재)/도처에 새로 지은 시를 손수 재본하네.
何用碧紗籠好句(하용벽사롱호구)/푸른 깁으로 장식한 좋은 글귀 어디에 쓰려나
也應紅袖拂塵埃(야응홍수불진애)/응당 기녀는 붉은 옷소매로 먼지를 떨었다오.
降仙亭上倚西風(강선정상의서풍)/강선정에 올라 있으니 서풍이 불어와
湖海茫茫入眼中(호해망망입안중)/망망한 호수와 바다 눈 안에 가득하네.
竹島籬山朝雨霽(죽도리산조우제)/죽도와 울산은 아침 비 개었는데
淡煙濃翠政濛濛(담연농취정몽몽)/짙은 녹색 연기에 정사가 흐릿해.
名場仕路拂塵衣(명장사로불진의)/명승지의 벼슬살이 더러운 옷 벗어던지고
爲討江山策馬歸(위토강산책마귀)/강산을 다스리기 위해 말을 달려 돌아왔다.
占得岩崖多雅趣(점득암애다아취)/점거해 얻은 바위의 낭떠러지엔 아담한 정취 많고
四仙遺跡想依稀(사선유적상의희)/영랑 술랑 남석 안상의 유적이 어렴풋이 생각되네.
傍海登山發興濃(방해등산발흥농)/바닷가 산에 오르니 짙은 흥이 일어나서
尋僧又向梵王宮(심승우향범왕궁)/절간으로 나아거서 또 스님을 찾았노라.
王孫遊跡應傳後(왕손유적응전후)/왕손이 놀던 자취 응당 후세에 전해지고
何異今人訪古蹤(하이금인방고종)/옛 자취 찾으니 지금 사람과 어찌 다를까.

------------------------------------------------------------------------------------------------------------------------------------------

 

 

------------------------------------------------------------------------------------------------------------------------------------------

『蓬萊詩集』봉래시집〔봉래 양사언(蓬萊楊士彦) 1517~1584〕

 

降仙亭。戱爲留眼蓀谷李謫仙(강선정.희위류안손곡리적선)
霓裳羽衣淸都仙(예상우의청도선)/신선의 곡조가 맑고 아름답게 울리는 곳은,
謫下碧海三千年(적하벽해삼천년)/신선이 온지가 삼천년이 지난 푸른 바닷가.
今朝學吹鳳簫曲(금조학취봉소곡)/오늘아침에 봉새의 퉁소를 배워서 불으니,
萬里長空乘紫煙(만리장공승자연)/만리 장공엔 상서로운 기운이 피어오르네.
降仙亭。待車紫洞(강선정.대차자동)
降仙亭上望仙翁(강선정상망선옹)/강선정 위에서 선옹을 바라보니
何處鸞笙倚碧空(하처란생의벽공)/어느 곳 방울과 저가 푸른 하늘을 의하여 오는가
伽樂峰頭斜日落(가악봉두사일락)/가락봉머리에 비낀 해가 떨어지는데
白鷗疎雨海棠紅(백구소우해당홍)/흰 갈매기 가랑비에 해당화도 붉었네.

------------------------------------------------------------------------------------------------------------------------------------------

 

 

------------------------------------------------------------------------------------------------------------------------------------------
『八谷先生集』팔곡선생집〔팔곡 구사맹(八谷具思孟) 1531~1604〕

 

降仙亭次鄭圓齋樞韻(강선정차정원재추운)
山下孤亭泛斷霞(산하고정범단하)/산 아래 외로운 정자 놀 속에 떠있고
白鷗飛掠海棠花(백구비략해당화)/해당화 핀 곳 갈매기 날며 노략질하네.
滄波返照漁村路(창파반조어촌로)/어촌으로 가는 길 창파에 저녁별이 비추고
信馬行吟十里沙(신마행음십리사)/명사십리 길을 말 가는대로 읊으며 갔다오.

------------------------------------------------------------------------------------------------------------------------------------------

 

 

------------------------------------------------------------------------------------------------------------------------------------------
『五山集 卷之二』오산집 권지이〔오산 차천로(五山車天輅) 1556~1615〕

 

奉贈權雲卿令公赴襄陽二首(봉증권운경령공부양양이수)
降仙亭外是扶桑(강선정외시부상)/강선정 밖은 바로 동해의 해 돋는 곳
坐見金烏湧大荒(좌견금오용대황)/앉아서 보나 해가 하늘로 치솟는구나.
鸞鳳下雲丹穴近(란봉하운단혈근)/난봉이 나는 구름아래 단혈이 가까우니
鯨鯢噴雪碧天長(경예분설벽천장)/고래 떼가 눈을 뿜나 푸른 하늘 넓구나.
十洲縹緲神仙窟(십주표묘신선굴)/아득한 곳 십주에는 신선이 모였다하고
三島蒼茫草木香(삼도창망초목향)/머나먼 곳 삼신산엔 초목이 향기롭다지.
道骨占知餘舊習(도골점지여구습)/도인이 점을 쳐 알리는 옛날 풍습 남았는데
不然那得臥黃堂(불연나득와황당)/명령을 쫓지 않고 관아에 누워서 어찌 알까.
關東形勝冠吾東(관동형승관오동)/지세 뛰어난 관동은 오동에 으뜸이라
咫尺桑溟浴日紅(지척상명욕일홍)/지척의 동해에서 붉은 해가 목욕하네.
黃鶴去歸明月在(황학거귀명월재)/황학은 돌아가고 밝은 달만 떠있는데
白鷗飛盡碧天空(백구비진벽천공)/갈매기도 날지 않고 하늘만 푸르구나.
鯨噴剩見三山雪(경분잉견삼산설)/고래가 뿜으니 삼신산의 눈같이 보이고
鵬擊遙聞萬里風(붕격요문만리풍)/만리풍에 붕새의 나는 소리 멀리 들린다.
此地分符償宿債(차지분부상숙채)/남은 빚을 갚고자 이곳에서 부절을 나누고
尋眞頻輟簿書叢(심진빈철부서총)/장부를 모아서 진실을 찾고자 자주 고치네.

 ------------------------------------------------------------------------------------------------------------------------------------------

 

 

------------------------------------------------------------------------------------------------------------------------------------------ 

『海月先生文集』해월선생문집〔해월 황여일(海月黃汝一) 1556∼1622〕

 

降仙亭(강선정)。讀楊蓬萊詩有感伏次(독양봉래시유감복차)
天上還收天逸翁(천상환수천일옹)/천일옹이 천상에 돌아가 수습하니
蓬萊無主北溟空(봉래무주북명공)/북해의 봉래산엔 주인 없이 비었네.
降仙亭下羊曇慟(강선정하양담통)/강선정 아래에선 양떼들이 슬피 울고
不待桃花萬樹紅(부대도화만수홍)/붉은 복사꽃은 기다리지 않고 지누나.
降仙亭上望仙翁(강선정상망선옹)/강선정 올라서 선옹을 바라보나
何處鸞笙倚碧空(하처란생의벽공)/벽공을 의지한 난생은 어디 있나.
迦落峯頭斜日落(가락봉두사일락)/가락봉 머리로 저녁 해가 지는데
白鷗疎雨海棠紅(백구소우해당홍)/갈매기 비에 젖고 해당화 붉구나.
<양사언의 시원문>

------------------------------------------------------------------------------------------------------------------------------------------

 

 

------------------------------------------------------------------------------------------------------------------------------------------
『宋潭集』송담집〔송담 송남수(宋潭宋柟壽) 1537∼1626〕

 

降仙亭(강선정)
驢蹇何須促(여건하수촉)/절뚝대는 나귀를 어찌 그리 재촉하나
鳴沙路細分(명사로세분)/바삭바삭 모래 길 가늘게 나뉘었구려.
吟詩滄海岸(음시창해안)/바닷가 언덕에서 시 한수를 읊다가
賖酒白鷗村(사주백구촌)/백구 나는 마을에서 외상술 마셨네.
松老千秋月(송로천추월)/소나무는 천년동안 달빛에 늙고
山含萬古雲(산함만고운)/산은 만년동안 구름을 머금었네.
蓬壺應不遠(봉호응불원)/봉래산은 멀지 않아 응할 것이나
一蹴伴仙羣(일축반선군)/신선은 무리지어 짝을 일축하누나.

------------------------------------------------------------------------------------------------------------------------------------------

 

 

------------------------------------------------------------------------------------------------------------------------------------------
四溟大師 사명대사〔유정(惟政) 1544∼1610〕의 詩

 

題降仙亭1(제강선정일) / 강선정에 쓰다
三峽客歸去(삼협객귀거)/삼협으로 나그네 돌아가니
龍臺生遠愁(용대생원수)/ 용대에는 먼 근심 이는구나
靑山雲色暮(청산운색모)/ 청산에 구름 빛 저무는데
丹穴水聲幽(단혈수성유)/ 단혈에선 물소리 그윽하다.
題降仙亭2(제강선정이)/ 강선정에 쓰다.
白首關河夜(백수관하야)/ 은하수 밝은 밤에 백수인 이 몸
傷心遠客愁(상심원객수)/ 애끊는마음먼나그네의수심이라
相思無限意(상사무한의)/ 한없이 서로를 생각하며
明月獨登樓(명월독등루)/ 홀로 누대에 오르니 달도 밝구나.

------------------------------------------------------------------------------------------------------------------------------------------

 

 

 ------------------------------------------------------------------------------------------------------------------------------------------

蓀谷詩集卷之四 손곡시집권지사〔손곡 이달(蓀谷李達) 1539∼1612〕의 詩

 

降仙樓夜懷(강선루 야회)
迢遞朱闌俯碧城(초체주란부벽성)/아득하니 푸른 성 주란을 굽어보니
滿天星斗夜雲輕(만천성두야운경)/별 가득한 밤하늘에 구름은 빠르구나.
一千里外身何遠(일천리외신하원)/천리 밖 멀리 이 몸은 어디에 있는가
十二峯前月正明(십이봉전월정명)/열두 봉 앞 달빛은 정대 공명하구나.
多病未能成峽夢(다병미능성협몽)/짧은 꿈도 이루지 못하니 병도 많은데
獨來猶自聽江聲(독래유자청강성)/혼자 있으니 오로지 강물소리만 들리네.
仙居不必求他界(선거불필구타계)/신선이 있는 곳을 구할 필요 없으나
何處緱山有玉笙(하처구산유옥생)/옥 생황 부는 후산은 어느 곳인가.
降仙樓(강선루)次泥丸韻(차니환운)/니환의 시문을 차운하여 짓다.
月明露華白(월명로화백)/달빛이 밝으니 흰 이슬이 빛나고
夜靜秋江深(야정추강심)/교요한 가을밤에 강물은 깊구나.
仙閣一杯酒(선각일배주)/강선루에 앉아서 한잔 술 마시고나니
泠泠三尺琴(령령삼척금)/석자 되는 거문고 소리 맑기도 하구나.
不是感時節(불시감시절)/ 이에 시절의 느낌도 잊을 손가
自然傷我心(자연상아심)/ 절로 내 마음이 이지러지는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