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정대

 18) 동산정(洞山亭)

페이지 정보

조회 3,045회 작성일 2014-06-11 13:22

본문

▪ 소재지 : 현남면 정자리 산37

034.jpg

 

▪ 연 혁:『新增東國輿地勝覽』에부(府)의남쪽45리에 있으며,본래 고구려 혈산현(穴山縣)이었다.신라시대에 지금의 명칭으로 고쳐서 명주(溟州)의 속현(屬縣)으로하였던 것인데,고려 현종 때 본부(本府양양부)에 예속시켰고,본조(本朝)에서도 그대로 하였다.라 기록되어 있다.『양양의 땅이름』에 죽정자리 유래에 “고려말기에 향교소재지로서 후산(後山)에 죽림이 울창하여 추절(秋節)에사람이 대나무를 타고 올라가서 감을 따먹을 정도로 대나무가 굵었다고 하며 그 후 죽리(竹里)라고 부른다고 한다.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죽리(일명 댓골)와 정자리(정자골)를 병합하여 이름 지었다.”라고 하는데 고려말기에 향교소재지로 전하고 있고,또 자연부락 명이 정자리(정자골)이란 점으로 미루어 동산정의 소재지로 추정할 수 있다.『希庵先生集』‧『海左先生集』‧『童土先生文集』의 文集에도동산정(洞山亭)이 등장되고 있는 점을 미루어 당시에 동산정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시문

------------------------------------------------------------------------------------------------------------------------------------------

『希菴先生集』卷之六詩峴山錄[上] 蔡彭胤仲耆甫著 희암선생집 권지십륙시 현산록상 채팽윤중기보저

 

洞山亭次企齋韵(동산정차기재운)
一望雲濤萬里愁(일망운도만리수)/한 번 바라본 구름파도는 만리의 수심이요
春風日暮綠蘋洲(춘풍일모록빈주)/해 저문 물가의 네가래 봄바람에 짙어지네.
半生辜負蓬壺約(반생고부봉호약)/봉래산에 약속을 반평생 저버렸다
怊悵仙郞何處遊(초창선랑하처유)/슬프다 선랑들 어느 곳을 유람했나.
重過洞山亭(중과동산정)次企齋韻(차기재운)
幾度憑闌便欲愁(기도빙란편욕수)/몇 번 난간에 기대어 수심을 풀었나
眼前無限是滄洲(안전무한시창주)/눈앞은 무한한데 여기는 창랑주로다.
往來未有驚人語(왕래미유경인어)/남의 말에 놀라서 왕래한적 없었는데
不信文章在壯遊(불신문장재장유)/장쾌하게 놀았다는 문장을 못 믿겠네.

------------------------------------------------------------------------------------------------------------------------------------------

 

 

------------------------------------------------------------------------------------------------------------------------------------------

『海左先生文集』卷之八詩 해좌선생문집 권지팔시

 

洞山亭(동산정)
蓬壺咫尺洞山亭(봉호지척동산정)/봉래산과 동산정은 지척간이 것만
我馬三年六度停(아마삼년륙도정)/내 말과 삼년간 여섯 번 머물렀네.
欹枕因依沙鶴睡(의침인의사학수)/베게 비고 누웠다하여 모래톱서 학이 졸고
掩燈明滅海仙靈(엄등명멸해선령)/등불을 가리니 바다의 선령이 보일 뜻 말뜻
天垂蛟室千尋黑(천수교실천심흑)/하늘에 드리운 교룡의 집은 천 길이나 검정인데
春入鷗波一色靑(춘입구파일색청)/봄 들어 갈매기 노는 물속은 일색으로 파랗구나.
未害形骸縻物役(미해형해미물역)/외물에 끌려 사역당하는 몸 아직 해롭지 않으나
却疑旬日馭風泠(각의순일어풍령)/열흘간이 지나서야 바람타고 떠나듯 깨우쳤노라.

------------------------------------------------------------------------------------------------------------------------------------------

 

 

------------------------------------------------------------------------------------------------------------------------------------------

『童土先生文集』卷之三詩 동토선생문집 권지삼시 [동토 윤순거(童土尹舜擧)1596~1668〕

 

洞山亭(동산정)次板上韻(차판상운)
天海靑蒼不盡愁(천해청창불진수)/하늘과 바다는 파란데 근심은 남았고
洞山迢遞領三洲(동산초체령삼주)/동산에서 멀리 있는 삼주를 다스린다.
秪今丹臼任埋沒(지금단구임매몰)/벼가 익어 가는데 신선의 절구는 매몰되니
悵望僊蹤何處遊(창망선종하처유)/슬퍼하며 바라보나 신선은 어디에서 노시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