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정대

 9) 만석정(萬石亭)

페이지 정보

조회 4,260회 작성일 2014-06-11 13:28

본문

▪ 소재지 : 양양읍 임천리 437

025.jpg

 

▪연 혁 : 안석경(安錫儆)의 동행기(東行記)에 의하면만석정(萬石亭)은 양양읍 임천리 이운일(李運一)이 소유한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시문

------------------------------------------------------------------------------------------------------------------------------------------

『東行記』동행기〔삽교 안석경(霅橋安錫儆) 1718∼1774〕

 

辛丑. 晨出梨花亭上觀日出微有雲氣海靜無風不見飜紅沸赤出沒屢浴之狀而但覩大火輪踊出濛澒之上晩出寺門數界南入松林見東海廟廟左海而前漢水頗幽曠顧守護不嚴祈甿日集便成叢祠可駭西行十里登太平樓樓扄中字安平大君筆也懸楣外大字華陽先生筆也懸楣內西敷里入林泉李氏庄李上舍心甫運一會話風流詞翰皆過絶於人而索余楓岳軸余顧寂寥數章何敢唐突於大至之前耶乃誦傳若干篇運一曰昔吾遊楓岳三日之間得二百七十首何子之二十日山中顧不滿三十首也余曰千里氣頗疲倦不能縱筆山又甚奇且壯必欲爲相稱之語故不能肆筆此詩之所以無多也抑子之健筆以余之拙而何可比論耶신축. 신출이화정상관일출미유운기해정무풍불견번홍비적출몰루욕지상이단도대화륜용출몽홍지상만출사문수계남입송림견동해묘묘좌해이전한수파유광고수호불엄기맹일집편성총사가해서행십리등태평루루扄중자안평대군필야현미외대자화양선생필야현미내서부리입림천리씨장리상사심보운일회화풍류사한개과절어인이색여풍악축여고적요수장하감당돌어대지지전야내송전약간편운일왈석오유풍악삼일지간득이백칠십수하자지이십일산중고불만삼십수야여왈천리기파피권불능종필산우심기차장필욕위상칭지어고불능사필차시지소이무다야억자지건필이여지졸이하가비론야壬寅. 留林泉訪運一萬石亭運一求記辭以神疲見建溪書塾李氏維以厚德精基以文行顕達而諸俊進皆謹厚有文采方聚講於書塾音衿濟濟可敬夕就心甫從容語임인. 유천방운일만석정운일구기사이신피견건계서숙리씨유이후덕정기이문행현달이제준진개근후유문채방취강어서숙음금제제가경석취심보종용어癸卯. 西行運一同行三十里馬上呼韻皆賦五詩至西林相別戀其篤厚風流煥爛文章徘徊憫悵不忍遽上馬行四十里宿葛産<庭試文科初試一所進講經榜目進士李運一居首>계묘. 서행운일동행삼십리마상호운개부오시지서림상별련기독후풍류환란문장배회민창불인거상마행사십리숙갈산

<정시문과초시일소진강경방목 진사이운일거수>

 

해설

5월3일(신축).새벽에 이화정 위로 나아가 일출을 보았다. 구름이 조금 있었지만 바다는 고요하고 바람이 불지않았다. 붉은 덩어리가 번드치고 들끓으며 출몰하는 모습을 보지는 못하였고, 다만 큰 불 수레가 아득한 바다 위로솟아오르는 것을 보았다.아침 늦게 절문을 나서 몇 리를 걸어 송림으로 들어갔다.동해묘(東海廟)를 보았는데 묘의 왼쪽은 바다였다.앞의시냇물은 자못 조용하고 넓었다. 지켜서보호하는 것이 엄하지 않은지라 백성들이 날마다 모여들어 성사를 이루었으니 놀랄 만하였다.서쪽으로10리를 걸어 태평루(太平樓)에 올랐다.태평루 편액 안의 글자는 안평대군(安平大君)의 글씨로문미밖에 걸려있고, 큰글씨는우암송시열 선생의 글씨로 문미 안에 걸려 있었다. 서쪽으로 몇 리를 걸어 임천(林泉)의이씨 농막으로 들어갔다.상사(上舍)심보(心甫) 이운일(李運一)과함께 풍류와 사한(詞翰)에 대해이야기 하였다.내용이 모두 다른 사람보다 뛰어난데,나의 풍악축(楓嶽軸)을 높이 쳐 주었다.그러나 나의 보잘 것없는 문장을 어찌 감히 학문이 높은 사람 앞에 당돌하게내 놓겠는가? 이에 몇 편의 시를 외웠다.이운일(李運一)이말하기를,“옛날에내가풍악산을 삼일 동안 유람하면서 이백칠십 수의 시를 얻었는데, 어찌 그대는 이십 일 동안 산중에 있으면서 삼십 수를 채우지 못했는가?”라고 하였다.내가 대답하기를,“천리길을여행하다보니 피곤하여 붓을잘놀릴 수가 없었으며, 산 또한 매우 아름답고 장엄하여 반드시 그에 합당한 말을 찾으려다 보니 붓을 함부로 놀릴 수가 없었다.이것이 시가 많지 않은 이유이다. 어찌 그대의 훌륭한 솜씨를나의졸렬한 솜씨에 비교하여 논할 수 있는가?”라고하였다.5월4일(임인).임천에 머물면서 이운일(李運一)이소유한 만석정(萬石亭)을 찾았다.이운일이 찾아와 기문(記文)를 부탁하였는데,피곤하여 사양하였다.달계 서원(達溪書院)을 구경하였다.이유(李維)는 덕을 두터이 쌓아 문행(文行)으로 현달하였는데,근후한 행동과 문장을 지닌 여러후진들이 서숙(書塾)으로 찾아와 공부하고 있었다.선비들이 파도처럼 모여드니 공경할 만하였다.저녁에 이운일(李運一)의 집으로 가서 차분하게 이야기를 나누었다.5월5일(계묘). 이운일과 동행하여 서쪽으로30리를 갔다.말 위에서 시를 지었는데 모두 다섯 수였다.서림(西林)에 도착하여 헤어졌다.이운일의 근후한 풍류와 정밀한학문을 그리워 머뭇거리며 떠나지 못하였다.말을타고40리를 가서 갈애(葛厓)에서 잤다.

------------------------------------------------------------------------------------------------------------------------------------------

 

 

------------------------------------------------------------------------------------------------------------------------------------------

『揷敎集』卷四 삽교집 권사〔삽교안석경(霅橋安錫儆) 1718∼1774〕

 

萬石亭記(만석정기)
雪嶽皆石也(설악개석야)。岳之餘據海亦皆石也(악지여거해역개석야)。有冐薄土(유모박토)。有涵積水(유함적수)。姑置其不見於外者(고치기불견어외자)。卽其硉兀乎雲宵(즉기률올호운소)。碕礒乎風濤(기의호풍도)。而數之不知其幾大萬也(이수지불지기기대만야)。岳東海西(악동해서)。有李運一之亭(유리운일지정)。以萬石名而要余記(이만석명이요여기)。余意其取之於嶽與海也(여의기취지어악여해야)。乃運一則指其籬邊之碌碌(내운일칙지기리변지록록)。谿傍之硜硜而曰(계방지갱갱이왈)。此吾所取之萬石也(차오소취지만석야)。

 

始余如異之(시여여이지)。默然自語于中曰(묵연자어우중왈)。運一一邦之傑也(운일일방지걸야)。以其博學弘文而雄辯(이기박학홍문이웅변)。不應䂓規乎硜硜碌碌之間(불응규규호갱갱록록지간)。豈遠引聳岳齧海之賞(기원인용악설해지상)。而近寓之環籬緣蹊之玩耶(이근우지환리연혜지완야)。豈故戱之而揚之抑之(기고희지이양지억지)。大其環籬緣蹊之翫(대기환리연혜지완)。而小其聳岳齧海之賞耶(이소기용악설해지상야)。中焉徐理而更繹之(중언서리이경역지)。是亭之名(시정지명)。雖其瑣瑣不足爲有無(수기쇄쇄불족위유무)。而旣流於是岳之麓(이기류어시악지록)。浮於是海之濱(부어시해지빈)。則與岳之砧諤(칙여악지침악)。海之磈硊(해지외위)。巨細之分固懸絶(거세지분고현절)。而要之不可謂非類(이요지불가위비류)。其引而寓之可也(기인이우지가야)。且聞白頭之山(차문백두지산)。爲是岳之宗(위시악지종)。而擧體水泡石(이거체수포석)。自踵而頂(자종이정)。可二百里(가이백리)。頂有池周三十餘里(정유지주삼십여리)。則比是嶽石五六倍而有餘(칙비시악석오륙배이유여)。崑崙爲白頭之祖(곤륜위백두지조)。而渾山玉石(이혼산옥석)。其高二千五百里(기고이천오백리)。則又非白頭之倫矣(칙우비백두지륜의)。漢挐則是岳之孫(한나칙시악지손)。而石之出海方三百里(이석지출해방삼백리)。其標之高四十里(기표지고사십리)。與是東澨之峙者何如哉(여시동서지치자하여재)。

 

然皆見包於天地(연개견포어천지)。藐乎不勝其小也(막호불승기소야)。則奚異於在是亭者之於在是岳是海者乎(칙해이어재시정자지어재시악시해자호)。抑亭之累累(억정지루루)。較之岳麓之腐壤(교지악록지부양)。海濱之飛沙(해빈지비사)。亦爲在岳者之崑崙(역위재악자지곤륜)。海者之漢挐(재해자지한나)。何遽不足以自大乎(하거불족이자대호)。是知大小判於相形(시지대소판어상형)。而抑揚由於所向(이억양유어소향)。於其大而求其小(어기대이구기소)。抑而小之可也(억이소지가야)。於其小而求其大(어기소이구기대)。揚而大之可也(양이대지가야)。噫(희)。物情固然(물정고연)。亦非戱之也(역비희지야)。遂莞爾而笑曰(수완이이소왈)。運一乎(운일호)。子之名亭(자지명정)。

 

良有以也(량유이야)。當爲子記之(당위자기지)。運一亦笑曰(운일역소왈)。是偶然也(시우연야)。非有以也(비유이야)。將記之而更提運一曰(장기지이경제운일왈)。於是焉謂之有以可也(어시언위지유이가야)。歸之偶然亦可也(귀지우연역가야)。不必屑屑而竟之(불필설설이경지)。抑子之字運一(억자지자운일)。亭之號萬石(정지호만석)。萬石而運以一(만석이운이일)。其將用之者乎(기장용지자호)。是則必非偶然也(시칙필비우연야)。顧用之將若何(고용지장약하)。鍊之而供補天之具耶(연지이공보천지구야)。升之河漢而支織女之機耶(승지하한이지직녀지기야)。作之礪乎殷宗之金耶(작지려호은종지금야)。自他山而攻雅人之玉耶(자타산이공아인지옥야)。渤海駕橋(발해가교)。

 

當避羸氏之鞭耶(당피리씨지편야)。魚腹之浦(어복지포)。或排孔明之八陣耶(혹배공명지팔진야)。値朱勔而充艮岳之貢耶(치주면이충간악지공야)。與雍伯而爲玉田之種耶(여옹백이위옥전지종야)。欝林鎭陸續之舟耶(울림진륙속지주야)。菱溪賁劉金之宅耶(능계분류금지댁야)。展之栗里而卧元亮之醉耶(전지률리이와원량지취야)。輸之平泉而枕文饒之醒耶(수지평천이침문요지성야)。神鏤天劃於淸士之袖耶(신루천획어청사지수야)。豹首虎鼻於高僧之盆耶(표수호비어고승지분야)。諺曰(언왈)。草不見木之長(초불견목지장)。木不見石之長(목불견석지장)。使是石可長而綽綽於用(사시석가장이작작어용)。則吾爲子願之者(칙오위자원지자)。在乎皷之歧陽而紀宗周中興之績(재호고지기양이기종주중흥지적)。碣之燕然而銘大漢北伐之功矣(갈지연연이명대한북벌지공의)。嗚呼(오호)。子其謂之何(자기위지하)。運一曰善(운일왈선)。請書之爲記(청서지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