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정대

 12) 의상대(義湘臺)

페이지 정보

조회 3,314회 작성일 2014-06-10 15:52

본문

▶ 소재지 : 강현면 전진리 산 5-2

 015.jpg

 

▶ 연 혁 :『여지도서』에 부 동쪽20리에 있다.관음 굴(觀音窟)의 남쪽으로 바다에 붙어있어 매우 가파른데, 즉 신승(神僧)의상(義湘)이 지내던 곳이라 한다.

대동지지에 관음굴 옆에 있어 동쪽으로 창해(滄海)를 조망할 수 있다. 라 기록되어 있다.

 

의상대(義湘臺)는 의상스님이 중국 당나라에서 돌아와 낙산사를 지을 때 이곳에 이르러 산세를 살핀 곳이며, 의 상스님의 좌선수행처(坐禪修行處)라고 전한다. 낙산사에서 홍련암의 관음굴로 가는 해안 언덕에 있다. 의상대 창건 년대는 확실한 기록은 없으나,매월당 김시습(1435~1493 년)이 낙산사 주지에게[洛山丈室座下] 보낸 시문 [의상대 반간편주(義湘臺畔看扁舟)/의상대 옆에서는 거룻배 보이누 나]에“의상대”라고정이름을 기록하였다. 의상대 창건년 대는 확실한 기록은 없으나,송강 정철(1580년)의 관동별 곡 중 의상대기문, 용암 체조(龍巖體照.1714∼1779)스님 의 등가낙가의상대 시문(登洛加義湘臺詩文), 그 외 단원 김홍도(檀園金弘道.1745∼1810)의 과 겸재 정선(謙齋鄭敾.1676∼1759)의 낙산사 도,또한 낙산사 풍경은 김상성(金尙星.1703-1755)등의 그림첩인, 여지도서의 양양부지도와 김유성(金有聲. 1763 ~1764)통신사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갔다가‘세이켄사〔淸見寺〕’주지의 요청에의하여그곳에 그려 놓고온낙산사도(洛山寺圖)에 의상대가 그려져 있다.위와 같이 고문헌과 고 자료를 종합해 볼 때 18세기 이전 에 낙산사 의상대가 이미 창건되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그 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아마도 근대 이전에 폐 허가 되었던듯하다. 근대에 들어와서 “1925年(大正14年)3 月에 낙산사주지(金晩翁)스님의 발기(發起)로 공사비 1,400원을 드려 6각형의 정자를 중수하였다. 그동안 많은 시인유객(詩人遊客)의 탐방처가 되었으나 지난7월22일 오전4시40분에바람도 없이 고요한 새벽에 갑자기 도괴 (倒壞)되어 일반의 화제 거리가 되었다는데,아마도 그간 경파비무(鯨波飛霧)에 부닥치어 기둥이 상한 관계라 하며 조속한 재건축을 희망하였다. 그러나 낙산사에는 자금이 없어서 모금을 하였는데 낙산사 300원, 양양면 200원, 강 현면 200원, 도천면 200원, 토성면 50원, 죽왕면 50원, 손 양면 50원, 현북면50원,현남면50원,서면200원도합 1,350원이 갹출(醵出)되어 1937년 9월에 착공예정인데 건 물의 모형은 그 전 데로 하나 삭풍비파(朔風飛波)에 부딪 쳐도 부패하는 폐를 방지하기 위해 시멘트 콘크리트로 시 공토록 하였다.”라 기록되었다.(東亞日報1937年9月2日 字記事참조)그현판은 구한말의 서가(書家)성당 김돈희 (惺堂金敦熙)가 썼다.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中 에서) 1974년 9월 9일 강원도유형문화재 제48호로 지정되 었다. 현 건물은 1995년 8월에 해체 복원한 것인데 2005 년4월의 대형 산불로 주변의 송림이훼손 되었으나,대대적인 정비작업이 이루어져 정자와 주변이 현재와 같은 모 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익공 양식의 공포에 겹처마 모임지 붕으로 기와지붕의 상부 중앙에 화강암 절병통을 올렸다. 걸린 정면은 석조계단을 통해 출입하며 나머지는 모두 경 사진 난간을 둘렀다. 정자의 건축적 구성은 탁월하지 않으 나 동해안의 대표적인 해안 정자로 주변의 해송과 더불어 해안절벽과동해바다가 어우러져 빼어난 경관을 보여주고 있어 일출의 명소로 꼽힌다.

 

 

 

▶ 시문

------------------------------------------------------------------------------------------------------------------------------------------

『梅月堂詩集』 〔매월당 김시습(梅月堂金時習1435~1493)〕

 

洛山丈室座下(락산장실좌하) / 낙산사 주지에게
難水亭前狎泛鷗(난수정전압범구) / 정자 앞 동해는 갈매기 세싱인데
義湘臺畔看扁舟(의상대반간편주) / 의상대 옆에서는 거룻배 보이누나.
禪心淡?如蒼海(선심담저여창해) / 참선하는 맑은 마음은 창해와 같고
法相雍容似白牛(법상옹용사백우) / 만유의 온화한 모습은 백우 같도다.
老去頂寧頁應有眼(노거정영응유안) / 늙어가니 머리에는 응당 식견이 비상하고
閑來雲月更無?(한래운월경무주) / 한가한데 구름과 달은 다시없는 짝이로다.
波聲山色微塵偈(파성산색미진게) / 티끌 없는 산색은 파도소리 잠재우고
無智人前說夢休(무지인전설몽휴) / 미련한 사람 앞에서 길몽을 설파하네.

------------------------------------------------------------------------------------------------------------------------------------------

 

 

------------------------------------------------------------------------------------------------------------------------------------------

『鳳巖集』봉암집〔봉암 채지홍(鳳巖蔡之洪) 1683∼1741〕

 

東征記(동정기)
由下寺東行數十步(유하사동행수십보)。爲義相臺(위의상대)。山前一崗(산전일강)。垂頭枕海(수두침해)。俯臨千尋絶壁(부림천심절벽)。平看萬里滄溟(평간만리창명)。古所謂扶桑若薺蔚島如萍者(고소위부상약제울도여평자)。非此之謂歟(비차지위여)。義相者(의상자)。新羅神文王時異僧(신라신문왕시이승)。元曉之弟(원효지제)。弘儒侯之叔父也(홍유후지숙부야)。臺上古松下有累石(대상고송하유루석)。僧稱義相坐齋請觀音處(승칭의상좌재청관음처)。由臺?而北十餘步(유대이이북십여보)。有一殿脚橫跨兩崖(유일전각횡과량애)。而驚濤激瀉(이경도격사)。日夜號怒於閣底者曰觀音窟(일야호노어각저자왈관음굴)。亦?義相見觀音(역칭의상견관음)。化靑鳥入此窟(화청조입 차굴)。設觀以寓慕云(설관이우모운)。誕妄雖甚(탄망수 심)。妙絶可觀(묘절가관)。列書姓名於殿南?端(열서성명 어전남첨단)。各吟一律(각음일률)。而吾輩俱衰矣(이오배 구쇠의)。未知何人復見紗籠否也(미지하인부견사롱부야)。 上寺東偏(상사동편)。有曰賓日寮(유왈빈일료)。見日出處 也(견일출처야)。曉起以待之(효기이대지)。適値海暗(적치 해암)。失一勝觀(실일승관)。何其造物之多猜也(하기조물 지다시야)。?前烏竹數叢(계전오죽수총)。傳言義相所手種 也(전언의상소수종야)。至今千餘載(지금천여재)。不增不 損(불증불손)。

------------------------------------------------------------------------------------------------------------------------------------------

 

 

------------------------------------------------------------------------------------------------------------------------------------------

松江鄭澈의 『關東別曲』 中 義湘臺 記文
송강정철         관동별곡     중 의상대 기문

 

<원문>
梨니花화? ?셔 디고 졉동새 슬피 울 제,
洛낙山산東동畔반으로 義의相샹臺?예 올라 안자,
日일出츌을 보리라 밤듕만 니러?니,
祥샹雲운이 집픠? 동,六뉵龍뇽이 바퇴? 동,
바다? ?날 제? 萬만國국이 일위더니,
天텬中듕의 팁?니毫호髮발을 혜리로다.
아마도 녈구롬이 근쳐의 머믈셰라......(중략)
< 현대어 해석문>
배꽃은 벌써 지고 소쩍새 슬피 울 때
낙산사 동쪽 언덕인 의상대에 올라 앉아
해돋이를 보려고 한밤중쯤 일어나니
상서로운 구름이 뭉게뭉게 피어나는 듯
여섯 마리 용이 해를 떠받치는 듯
해가 바다에서 솟아오를 때는 온 세상이 흔들리는 듯
하늘에 치솟아 뜨니 가는 털도 헤아릴 만큼 밝다.
혹시나 지나가는 구름이 해를 가릴까 두렵구나...(중략)

------------------------------------------------------------------------------------------------------------------------------------------

 

 

------------------------------------------------------------------------------------------------------------------------------------------

『?橋集』卷二詩   삽교집 권이시   [삽교 안석경(?橋安錫儆) 1718~1774년]

 

洛山寺(낙산사)。與李運一拈韻同賦(여이운일념운동부)/낙산사에서 이운일과 합께 같은 운으로 시를 지음
義相臺(의상대)
獨坐長松百尺臺(독좌장송백척대) / 나락장송 백척대에 홀로 앉으니
靑天碧海滿心開(청천벽해만심개) / 가슴속에는 청천 벽해 가득하네.
要看日月千年出(요간일월천년출) / 천년을 이어 솟아오르는 해와 달을 보겠고
卽有風雲萬里來(즉유풍운만리래) / 만년이어 불어오는 구름과 바람을 맞았네.
京國杳茫懷漢水(경국묘망회한수) / 서울은 아득히 머나 한강수 품었고
神仙??問蓬萊(신선표묘문봉래) / 신선은 어디 있나 봉래산에 문는다.
波間?起爲何鳥(파간결기위하조) / 새는 어찌하여 파도사이를 급히 일어나나
直向虛明不復回(직향허명불복회) / 직향하는 천신지지(天神地祇)는 되돌아오지 않는다.

------------------------------------------------------------------------------------------------------------------------------------------

 

 

------------------------------------------------------------------------------------------------------------------------------------------

『龍巖堂遺稿』용암당유고〔용암 체조(龍巖體照) 1713∼1779〕

 

登洛伽義湘臺(등낙가의상대)
偶然飛錫洛伽樓(우연비석낙가루) / 우연히 낙산사 누대를 노닐다가,
湘老臺高洗客愁(상노대고세객수) / 높고 오래된 의상대에서 객의 시름을 씻는구나.
師去千年不復返(사거천년불부반) / 의상대사 가신지 천년이건만 돌아오시지 않아,
但看山下碧波流(단간산하벽파류) / 다만 산 아래의 푸른 파도만을 바라보네.

------------------------------------------------------------------------------------------------------------------------------------------

 

 

------------------------------------------------------------------------------------------------------------------------------------------

『浣巖集』완암집〔완암 정래교(浣巖鄭來僑) 1681∼1759〕

 

自柳岸登船(자류안등선)至義湘?乃歸(지의상대내귀)
山翁扶醉上漁船(산옹부취상어선) / 산 늙은이 어선을 타고가다 취하여 부축 받으며
?泛春流下遠天(와범춘류하원천) / 배에 누워있으니 먼 하늘 아래로 봄은 흘러가네.
直向義臺看翠壁(직향의대간취벽) / 직향하니 푸른 절벽위에 의상대가 보이고
夕陽?泊杏花邊(석양회박행화변) / 살구꽃 핀 곳에 석양에 돌아와 정박하였네.

------------------------------------------------------------------------------------------------------------------------------------------

 

 

-----------------------------------------------------------------------------------------------------------------------------------------

『嘉梧藁略』冊三  가오고략 책삼〔귤산 이유원(橘山李裕元) 1814∼1888〕

 

義湘臺觀日出(의상대관일출)
滄溟無際?(창명무제활) / 한없이 넓고도 넓은 푸른 바다
赤日湧其中(적일용기중) / 그 속에서 붉은해가솟는구나.
何物有遺照(하물유유조) / 어찌 만물을 밝게 비쳐주고 있을까
大觀自理通(대관자리통) / 위대한광경은자연의이치로소이다.
邇遐輸造化(이하수조화) / 온 누리에 고루펴는 자연의 이치에
頃刻闢鴻?(경각벽홍몽) / 경각에천지자연의원기가열리누나.
莫敢擡頭仰(막감대두앙) / 감히우러러머리를들지못하고
中天烈烈崇(중천렬렬숭) / 하늘 향해 열렬히 숭앙하는 도다.

------------------------------------------------------------------------------------------------------------------------------------------

 

 

------------------------------------------------------------------------------------------------------------------------------------------

『葵亭集』 규정집〔규정 신후재(葵亭申厚載) 1636∼1699〕

 

次府伯義湘臺觀日出韻(차부백의상대관일출운)
洪濤渺渺接層臺(홍도묘묘접층대) / 한없이 넓은 바다의 큰 파도가 층대로 밀려오니
未曉先看日御催(미효선간일어최) / 일관이 새벽 일찍 먼저 일출을 보려고 서둘렀다.
金色乍疑千佛湧(금색사의천불용) / 잠간사이 의심되는 금빛천불이 솟아오르더니
紅光旋燭九?開(홍광선촉구혼개) / 붉은 빛의 등불이 돌면서 구천의 문이 열린다.
行應有次分三道(행응유차분삼도) / 이어서 나아가면서 삼도가 갈리어지고
照本無私遍八垓(조본무사편팔해) / 본래 빛은 사가 없이 팔방 고루 비친다.
游目平生眞第一(유목평생진제일) / 평생 구경하던 중 참으로 제일이니
從今知免大方?(종금지면대방해) / 내 지금 한바탕 웃으면서 알겠노라.

------------------------------------------------------------------------------------------------------------------------------------------

 

 

------------------------------------------------------------------------------------------------------------------------------------------

『玄谷集』卷之七  현곡집 권지칠〔현곡 조위한(趙緯韓) 1567∼1649〕

 

義湘臺(의상대)
亭亭突起寺東南(정정돌기사동남) / 낙산사 동남에 아름답게 우뚝 솟은 곳
俯視扶桑手可探(부시부상수가탐) / 동해를 굽어보며 가히 손으로 더듬는다.
一色微茫天海接(일색미망천해접) / 일색으로 흐릿하게 하늘 바다 붙어있고
三精倒燭日星涵(삼정도촉일성함) / 일월성신의 빛 이 지면 해와 별이 잠긴다.
神??佛餘龍象(신종방불여룡상) / 신통한 자취 어렴풋이 용상이 남아있고
異事流傳記釋曇(이사류전기석담) / 석담부의 기록에 이상한 일이 전해진다.
何處飛來雙白鶴(하처비래쌍백학) / 짝을 지은 백학들은 어느 곳서 날아오나
長鳴似欲挽歸?(장명사욕만귀참) / 돌아가는 행차 막으려니 울음소리 길구나.

------------------------------------------------------------------------------------------------------------------------------------------

 

 

------------------------------------------------------------------------------------------------------------------------------------------

『損齋集』손재집〔손재 조재호(損齋趙載浩) 1702∼1762〕


洛山寺義相臺(낙산사의상대)拈臺字共賦(염대자공부)
此地緣猶在(차지연유재) / 이 땅은 오로지 인연이 있는 곳
東風我更來(동풍아경래) / 동풍불때내다시찾아왔노라.
徘徊松際寺(배회송제사) / 절 주변 소나무 가에서 배회하다가
歌嘯海中臺(가소해중대) / 바닷가대에서휘파람노래불렀네.

------------------------------------------------------------------------------------------------------------------------------------------

 

 

------------------------------------------------------------------------------------------------------------------------------------------

『海左先生文集』 卷之六詩   해좌선생문집 권지륙시

 

義相臺觀海(의상대관해)
半面梨亭鏡(반면리정경) / 한쪽면의 거울 같은 이화정
峰回忽?茫(봉회홀묘망) / 봉을 돌니 황홀한한없이넓은물
涵空無遠近(함공무원근) / 멀고 가깝고 하늘은 잠기고
倒景欲靑蒼(도경욕청창) / 물에 비친 경치는 파래지려고
分是秋毫嶼(분시추호서) /추호같이 나누인 섬
生應日本檣(생응일본장) / 살아가는 일본의 돛
吾思駕風力(오사가풍력) / 내 생각으론 풍력이 더해주니
一?出扶桑(일탁출부상) / 한번 달리면 부상이 나타난다.

------------------------------------------------------------------------------------------------------------------------------------------

 

 

------------------------------------------------------------------------------------------------------------------------------------------

『海左先生文集』卷之七詩 해좌선생문집 권지칠시

 

義相臺候日出.値?霧,觀巨鯨六七擊水,甚奇壯(의상대후일출,치분무,관거경륙칠격수,심기장)
義相臺前鏡?平(의상대전경?평) / 평평한 거울 같은 의상대 앞에
風驅銀屋忽?嶸(풍구은옥홀쟁영) / 바람에 밀린 집채 같은 은파는 위험해.
扶桑出日尋常事(부상출일심상사) / 부상의 일출을 찾아본 일
難得穹鯨脚下生(난득궁경각하생) / 드물게 큰 고래가 눈앞에 나타났다.

------------------------------------------------------------------------------------------------------------------------------------------

 

 

------------------------------------------------------------------------------------------------------------------------------------------

? 만해 한용운〔(卍海韓龍雲)1879∼1944〕記義湘臺記(의상대기)


洛山(낙산)。關東之勝(관동지승)。而天下之奇也(이천하지기야)。小山臨海(소산임해)。必抵石而止(필저석이지)。環山爲漁村(환산위어촌)。中有洛山寺(중유낙산사)。夫臨海(부임해)。故小石足以爲峰巒(고소석족이위봉만)。環漁村(환어촌)。故寸樹猶爲雲林(고촌수유위운림)。在中之寺(재중지사)。不離人烟(불리인연)。己出世間(未기出출세간)。山間(미출산간)。入泥入水(입니입수)。不高而秀(불고이수)。非遠而幽(비원이유)。天下之人(천하지인)。爭來而倦歸(쟁래이권귀)。來者必嘆(래자필탄)。歎天地之間(탄천지지간)。有此名區(유차명구)。而莫與之長終(이막여지장종)。然擧山繞海而無一樓臺(연거산요해이무일누대)。雖一時之遊(수일시지유)。未有所從(미유소종)。遊人之興嗟(유인지흥차)。倂發於歎美之間夫(병발어탄미지간)。天然之美(부천연지미)。聞於天下(문어천하)。而人事之作(이인사지작)。墜之寂寞(추지적막)。使日計十白之遊人(사일계십백지유인)。指顧於草樹累石之間(지고어초수누석지간)。而無一放杖之所(이무일방장지소)。則人具病焉(칙인구병언)。知寺晩翁(지사만옹)。衆生病故(중생병고)。是故爲病(시고위병)。與鄕人謀鳩財(여향인모구재)。乙丑秋(을축추)。起一亭於寺之東麓(기일정어사지동록)。名曰義湘臺(명왈의상대)。義湘創洛山寺時(의상창락산사시)。每於此處(매어차처)。入定出定(입정출정)。自古稱焉(자고칭언)。仍存其名(잉존기명)。至是而勝地有臺(지시이승지유대)。人厭遊矣(인염유의)。爲臺也(위대야)。枕山跨海(침산과해)。檻外萬國舟楫(함외만국주즙)。縱橫如織(종횡여직)。?端鐘聲雲影(첨단종성운영)。兩兩相?(양양상감)。時見白鷗爲鶴(시견백구위학)。夢深於蒼松之間(몽심어창송지간)。??山鳥(왕왕산조)。與鴻?爲群(여홍안위군)。?翔於碧波之上(고상어벽파지상)。極目無邊(극목무변)。浩思茫茫(호사망망)。山耶水耶(산야수야)。奚取奚捨(해취해사)。樂山樂水(요산요수)。各適其志(각적기지)。若夫抱離絃之琴(약부포리현지금)。彈山前水初之娥洋(탄산전수초지아양)。樂終無倪(낙종무예)。則更別有人在(칙경별유인재)。佛紀二千九百五十二年秋韓龍雲記(불기이천구백오십이년추 한용운기)

------------------------------------------------------------------------------------------------------------------------------------------

 

 

------------------------------------------------------------------------------------------------------------------------------------------

『寒洲先生文集』卷之二 한주선생문집 권지이〔한주 이진상(寒洲李震相) 1818∼1886〕

 

義相臺(의상대)
危臺天放鎭陰墟(위대천방진음허) / 해변 가에 자연 그대로높은 대가 지키듯
跨海方知地有餘(과해방지지유여) / 바다를 타넘을 듯 넉넉한 땅임을 알겠다.
但極衰眸?碧落(단극쇠모궁벽락) / 눈이 다하도록 동쪽 하늘 끝까지 볼 수 없고
寧從誕說架玄虛(녕종탄설가현허) / 어찌 다시 태어난다 할 찌라도 하늘을 넘을까.
始疑松塢?金?(시의송오준금맥) / 처음부터 솔밭에 금맥이 웅크린 것인가 의심하고
忽響?鍾撞木魚(홀향거종당목어) / 홀연히 목어를 치니 범종소리와 어울려 울리누나.
絶地元多開勝景(절지원다개승경) / 절승지에 원래부터 많은 좋은 경치를 열고서
孤高何害付僧居(고고하해부승거) / 유달리 고상한 절을 지었으니 어찌 해할런가.

------------------------------------------------------------------------------------------------------------------------------------------

 

 

------------------------------------------------------------------------------------------------------------------------------------------

『宣祖實錄』宣祖 36年(1603年)/朝鮮王朝實錄鼎足山本  선조실록 선조 년 년 조선왕조실록정족산본

 

선조 36년(1603년)3월 20일(병자) 강원도 관찰사 박동량(朴東亮)이 치계 하였다.

襄陽府有兩石自海中出橫臥於義湘臺下(양양부유량석자해중출횡와어의상대하)/ 양양부의 바다 속에서돌두개가 나와의상대 아래에 가로 눕다“양양부(襄陽府)에돌두개가 바다 속에서 나와 의상대(義湘臺)아래에 가로 누워 있습니다.전에는 해변에 노출된돌이 푸르기도 하고 검기도 하며 이끼가 끼어 있었습니다.그런데 이 두 개의 돌은 백분(白粉)을 바른 것 같이 그 색이유난히달랐습니다.춘천(春川)동면(東面)에 사는 백성이 우연히 들에 나갔다가 암 꿩을 잡았는데 머리와 가슴·날개·꼬리의 깃털이 태반이 변형되어 수꿩이되었습니다.변이(變異)가비상합니다.”

------------------------------------------------------------------------------------------------------------------------------------------

 

 

------------------------------------------------------------------------------------------------------------------------------------------

『龍巖堂遺稿』 용암당유고〔용암 체조(龍巖體照) 1713∼1779〕

 

登洛伽義湘臺(등낙가의상대)
偶然飛錫洛伽樓(우연비석낙가루) / 우연히 낙산사 누대를 노닐다가,
湘老臺高洗客愁(상노대고세객수) / 높고 오래된 의상대에서 객의 시름을 씻는구나.
師去千年不復返(사거천년불부반) / 의상대사 가신지 천년이건만 돌아오시지 않아,
但看山下碧波流(단간산하벽파류) / 다만 산 아래의 푸른 파도만을 바라보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