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정대

 11) 하조대(河趙臺)

페이지 정보

조회 3,258회 작성일 2014-06-10 16:00

본문

▶ 소재지 : 현북면 하광정리 산 3

014.jpg

 

▶ 연 혁 : 부 남쪽 30리에 작은 산록이 비스듬히 바다 로 들어가 가파른 절벽위에 대를 이루고 있다. 암석해안으 로 해변에 기암절벽이 우뚝 솟아 있고 노송이 그 속에서 함께 하는 절경을 이루고 있으며, 주변에 등대와 정자가 세워져 있는데 2009년 12월 9일 명승 제68호로 지정되었 다.‘하조대’라는 명칭은 고려말조선초 명관인 하륜(河崙) 과조준(趙浚)이이곳을즐겨 찾았다하여두 성을 따서 붙인 것으로 전한다.

정자는 조선 정종 때 최초로 건립하였고 이후 수차례 중 수를 거듭하였는데 1940년 팔각정으로 세웠던것이 6·25 한국전쟁으로 소실(燒失)되었고 이후 1955년, 1968년, 1998년 세 차례에 걸쳐 중수하였다.

1820년대 기록인 양주읍지(襄州邑誌)형승(形勝)편에 조 선 숙종 때 양양부사와 대사헌을 지낸 이세근(李世瑾)이 ‘하조대’라 크게 세 글자를 정자 앞에 있는 바위에 새겨놓 았다고 전한다.우의정을 역임하신 명재 윤증(明齋尹拯) 이‘비를무릅쓰고 하조대에 올라 바위에 기대 하염없이 시 를 읊었다.’라는 시가 기록되어있다. 하조대 주변에 펼쳐진 경관 중 동해,기암절벽,노송은 마치한폭의 동양화와 같 다고들 한다. 2012년에는 이곳에 해안관망대(海岸觀望臺) 를 새로 만들어 명실상부한 관광명소로 한층 부각되었다.

 

▶ 시문

------------------------------------------------------------------------------------------------------------------------------------------

『玄谷集』詩  현곡집〔현곡 조위한(玄谷趙緯韓) 1567~1649〕

 

仙臺縹緲接蓬壺(선대표묘접봉호) / 선대는 아득하니 봉래산과 접하고
二子遐蹤問釣徒(이자하종문조도) / 두 아들이 멀리 와서 낚시꾼에게 물렀다.
落日獨登招海若(낙일독등초해약) / 해질녘에 혼자 올라 해신을 부르니
臨風長嘯響山都(임풍장소향산도) / 휘파람이 바람을 타니 산이 울렸다.
東南無際迷封域(동남무제미봉역) / 동남이 무한하니 봉역은 미혹하고
上下皆空沒宇區(상하개공몰우구) / 상하가 모두 비었으니 집터 잠겼네.
憐我杳然如一粟(연아묘연여일속) / 아득하고 멀어 내 가련하니 한 알의 좁쌀 같고
不知何處着微軀(부지하처착미구) / 천한 이 몸 어느 곳에 있는지 알 수가 없구나.

------------------------------------------------------------------------------------------------------------------------------------------

 

 

------------------------------------------------------------------------------------------------------------------------------------------

『十淸軒集』십청헌집〔십청헌 김세필(十淸軒金世弼) 1473∼1533〕

 

河趙臺(하조대)
祥雲南指一長亭(상운남지일장정) / 상운 역말의 여관에서 남쪽을 가리킨 곳
疊石爲臺入海汀(첩석위대입해정) / 바닷가에 불쑥 층층 돌 위에 대가 있구나.
蜃氣接天成殿閣(신기접천성전각) / 하늘에 접한 신기루의 전각을 이루고
浪花環坐浸階庭(낭화환좌침계정) / 헛꽃 앞에 둘러앉으니 계정은 잠기네.
扶疏松竹生淸韻(부소송죽생청운) / 무성한 송죽은 맑은 음향을 일으키는데
出沒魚龍見怪形(출몰어룡견괴형) / 어룡이 출몰하는 괴이한 형상을 보았네.
徙倚乾坤懷抱在(사의건곤회포재) / 아주 넓은 천지간엔 회포가 있는데
杯樽今日酌東溟(배준금일작동명) / 오늘은 술독에다 동해물을 잔질하네.

------------------------------------------------------------------------------------------------------------------------------------------

 

 

------------------------------------------------------------------------------------------------------------------------------------------

『明齋遺稿』명재유고〔명제 윤증(明齋尹拯) 1629∼1714〕

 

河趙臺(하조대)
奇峰突兀入波心(기봉돌올입파심) / 파도 속으로 불쑥 솟은 기이한 봉우리여
十里松間冒雨尋(십리송간모우심) / 솔 사이 십 리 길을 비 맞으며 찾아 왔네
遊子何知河與趙(유자하지하여조) / 나그네는 하륜과 조준을 어찌 알 것인가
倚巖空復費莊吟(의암공복비장음) / 바위에 기대 부질없이 시 한수 읊었다오

------------------------------------------------------------------------------------------------------------------------------------------

 

 

------------------------------------------------------------------------------------------------------------------------------------------

『澤堂先生集』택당선생집〔택당이식(澤堂李植) 1584∼1647〕

 

河趙臺(하조대)
臺名河趙自何年(대명하조자하년) / 하조대란 이 이름 시작된 게 언제 인고
形勝兼將姓氏傳(형승겸장성씨전) / 멋진 경치와 더불어서 성씨까지도 전해 오네
屭屭千尋爭巨浪(희희천심쟁거낭) / 엄청난 물결과 맞싸우며 천 길 우뚝 솟은 누대
灣洄一曲貯深淵(만회일곡저심연) / 한 굽이 돌 때마다 깊은 연못 물 고였네
初疑砥柱當橫潰(초의지주당횡궤) / 격류 속의 지주런가 처음에 눈을 의심타가
更覺桑田閱變遷(갱각상전열변천) / 문득 상전벽해(桑田碧海)세월의 변천을 깨달았네
從古爽鳩遺此樂(종고상구유차낙) / 상구씨(爽鳩氏)가 이 즐거움 물려준 뒤로부터
幾人陳迹逐風煙(기인진적축풍연) / 속인의 발길 그 얼마나 이 풍광을 좇았을 꼬

------------------------------------------------------------------------------------------------------------------------------------------

 

 

------------------------------------------------------------------------------------------------------------------------------------------

『白軒先生集』卷之十一  백헌선생집 권지십일  [이경석(李景奭) 1595~1671]

 

自祥雲至河趙臺.路中記見(자상운지하조대.노중기견)
處處饒佳景(처처요가경) / 곳곳이 너무 좋은 가경이라
徐行日暮歸(서행일모귀) / 천천히 돌아가니 해는 저물어.
蒼松夾路立(창송협로립) / 푸른 솔 사이 길에 서있으니
白鳥近人飛(백조근인비) / 백조는 내 옆을 날아다니네.
漁戶依沙岸(어호의사안) / 어촌의집들은바닷가에 지어졌고
鯨波濺客衣(경파천객의) / 큰파도일어서객의옷은젖었다오.
長風掃雲霧(장풍소운무) / 바람이 불어오니 운무는 살아지고
海月吐淸輝(해월토청휘) / 바다에뜬달은맑은광채토하네.

------------------------------------------------------------------------------------------------------------------------------------------

 

 

------------------------------------------------------------------------------------------------------------------------------------------

『鶴洲先生全集』卷之一학주선생전집 권지일  [김홍욱(金弘郁)1602~1654]

 

登河趙臺(등하조대)在襄陽(재양양)
氣母當年巧琢磨(기모당년교탁마) / 당년에 기모가 교묘히 닦고 갈려서
荒巖白石勢嵯峨(황암백석세차아) / 황암백석의 기세는 울쑥불쑥하구나.
不知河趙何如者(부지하조하여자) / 하조는 알 수 없는데 어찌 같다하는가
吾欲同乘上漢槎(오욕동승상한사) / 은하수에 뗏목 띄워 내 같이 타려 한다.

------------------------------------------------------------------------------------------------------------------------------------------

 

 

------------------------------------------------------------------------------------------------------------------------------------------ 

▪『希菴先生集』 卷之十六詩 峴山錄[上] 蔡彭胤仲耆甫著 희암선생집 권지십륙시 현산록상 채팽윤중기보저

 

河趙臺示雲丞(하조대시운승)
蒼蒼偃盖界官途(창창언개계관도) / 창창한 솔 그늘 덮인 관활 구역 안에
馬首鵑紅萬萬株(마수견홍만만주) / 말이 향하는 곳마다 진달래 엄청 많구나.
河趙㙜空滄海闊(하조㙜공창해활) / 하조대의 하늘은 창해같이 트이었고
蓬萊島近彩雲孤(봉래도근채운고) / 봉래섬 근처의 채운이 고상도하구나.
督郵肯許廻金勒(독우긍허회금륵) / 찰방이 쾌히 허락하니 말머리 돌리고
醉守何妨枕玉壺(취수하방침옥호) / 취해 술병 베고 누운 수령 어찌 깨우리.
得出風塵是輕擧(득출풍진시경거) / 경거망동하여 풍진에 벼슬 얻었으나
神仙未必世間無(신선미필세간무) / 이 세상엔 신선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

 

 

------------------------------------------------------------------------------------------------------------------------------------------
其二(기이)
風磴空中轉(풍등공중전) / 빙글빙글 바람이 공중으로 오르고
烟濤兩畔開(연도량반개) / 뽀얀물결에하늘과바다가열리네.
春寒芳樹懶(춘한방수라) / 봄날씨싸늘해 꽃나무 게으르고
日暮遠帆催(일모원범최) / 날 저물어 멀리서 돛단배 서두네.
咫尺三山色(지척삼산색) / 지척의 온산은 삼색으로 물들고
層溟一酒杯(층명일주배) / 저 너른 바다는 한 잔의 술인가.
英雄有遺跡(영웅유유적) / 영웅의 끼친 자취 남아있고
長嘯意悠哉(장소의유재) / 긴 휘파람에 정취가 한없네.

------------------------------------------------------------------------------------------------------------------------------------------

 

 

------------------------------------------------------------------------------------------------------------------------------------------

『樗村先生遺稿』 卷之五詩   저촌선생유고 권지오시 〔저촌 심육(樗村沈錥) 1685~1753〕

 

河趙臺(하조대)
石骨崚嶒捍海流(석골릉증한해류) / 해류를 막아 선 험준한 돌산에
姓傳河趙至今留(성전하조지금류) / 하 조 성자가 지금까지 전하네.
高厓大字欲磨滅(고애대자욕마멸) / 꼭대기의 세 글자 마멸되어 가는데
去後居然三百秋(거후거연삼백추) / 삼백년이 지난 지금도 완연하도다.
逈出松陰幷馬來(형출송음병마래) / 빼어난 소나무 그늘에 나란히 걸어와서
春風倚醉上高臺(춘풍의취상고대) / 술기운에 봄바람 안고 높은 대에 올랐네.
危岩突兀當空碧(위암돌올당공벽) / 위험하게 높이 솟은 바위는 벽공에 닿았고
勢抱滄溟萬里廻(세포창명만리회) / 창해를 껴안은 기세로서 만 리 에 뻗쳤구나.

------------------------------------------------------------------------------------------------------------------------------------------

 

 

------------------------------------------------------------------------------------------------------------------------------------------ 

『樗村先生遺稿』 卷之五詩 關東錄   저촌선생유고 권지오시 관동록

 

河趙臺(하조대)
英豪初未遇(영호초미우) / 영웅호걸을 처음 만난 것이 아닌데
書劒昔遊斯(서검석유사) / 문과 무가 옛날에 여기서 놀았다네.
草澤沉淪久(초택침륜구) / 가난한 선비는 오래전에 고경에 빠졌다가
風雲際會奇(풍운제회기) / 풍운아는 끝내 기이하게도 만나게 되었네.
千秋遺迹在(천추유적재) / 천년의 유적이 남아있으니
百尺古臺缺(백척고대결) / 백 척의 고대가 일그러졌네.
片石留荒字(편석류황자) / 돌판에 크나큰 글자 남아있으니
今人豈解誰(금인기해수) / 지금 사람 누가 뭐라해독하려나.

------------------------------------------------------------------------------------------------------------------------------------------

 

 

------------------------------------------------------------------------------------------------------------------------------------------

『知退堂集』卷之二詩  지퇴당집 권지이시〔지퇴당 이정형(知退堂李廷馨) 1549~1607〕

 

登河趙臺(등하조대)。次申企齋光漢韻(차신기재광한운)
一上高臺豁客愁(일상고대활객수) / 객의 수심 풀고자 혼자 높은 대에 오르니
波間隱約見瀛洲(파간은약견영주) / 삼신산의 숨은 이야기를 파도에서 보누나.
騷人物色分留少(소인물색분류소) / 시인이 읊은 물색이 적지 않게 남아있으련만
取次陳言記遠遊(취차진언기원유) / 차례차례 케케묵은 말로 기록하며 오래 놀랐다.

------------------------------------------------------------------------------------------------------------------------------------------

 

 

------------------------------------------------------------------------------------------------------------------------------------------ 

白軒先生集卷之十一 詩稿海上錄 自金剛歸路。仍作海上之遊。 백헌선생집권지십일 시고해상록 자금강귀로。잉작해상지유。

 

河趙臺.與襄高兩使君把杯,見鯨魚露背噴波(하조대.여양고량사군파배,견경어로배분파)
策馬登臨萬仞岡(책마등림만인강) / 만길 산등성이 말을 몰아 올라서서
笛聲吹捲海雲長(적성취권해운장) / 피리부니 바다에 뜬구름은 걷히누나.
醉來欲喚群鯨起(취래욕환군경기) / 취한 김에 부르고자하니 고래 떼 솟구치며
噴雪層空舞夕陽(분설층공무석양) / 눈을 뿜듯 공중에 뿜으니 서양이 춤추누나.

------------------------------------------------------------------------------------------------------------------------------------------

 

 

------------------------------------------------------------------------------------------------------------------------------------------ 

湖陰雜稿卷之三關東日錄 호음잡고권지삼관동일록

 

河趙臺(하조대)本朝河崙,趙浚共遊之地,後人因以名臺云(본조하륜조준공유지지후인인이명대운)
凌虛臺上逢微雨(릉허대상봉미우) / 가랑비 맞으며 하늘을 능멸하듯 높은 대에 올라서
河趙峯頭看晩晴(하조봉두간만청) / 산꼭대기 하조대에서 저녁에 비개인 풍광을보았네.
風色偶乘今夕好(풍색우승금석호) / 오는 저녁 경치는 짝지울대 없이 좋은데
登臨還想昔人情(등림환상석인정) / 대에 올라서니 옛사람의 정이 돌이켜지네.
名惟不朽傳悠久(명유불후전유구) / 생각건대 이름은 썩지 않고 오래도록 전해지는데
物固無窮亦變更(물고무궁역변경) / 아무리 단단한 물건이라도 오래되면 변경되더라.
只愧往來渾漫興(지괴왕래혼만흥) / 다만 부끄럽게 왕래하나 흥치가 흐릿하니
峴山羊子莫愁生(현산양자막수생) / 현산의 양호(羊祜)와 두예(杜預)의 생각이 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