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정대

 9) 이화정(梨花亭)

페이지 정보

조회 4,227회 작성일 2014-06-10 16:06

본문

▶ 소재지 : 강현면 전진리 산 5-2

012.jpg

 

▶ 연 혁: 낙산사는 부 동쪽 15리 오봉산(五峰山)에있 다.신라 신승(神僧) 의상이 창건하였다. 그 안에는 이화정 (梨花亭),관음굴(觀音窟),의상대(義湘臺)가 있다.낙산사 와 이화정은 높은 곳에서 바다 위에 임해 있는데, 해와 달 이 그 아래로 출입하고 있다. 그 아래는 관음굴인데 바다 위에 재목을 걸쳐 암자를 지었으므로 조수(潮水)가 부처 앉아 있는 앞으로 왔다 갔다 하므로 명월주(明月珠)와푸 른 새 등 특이한 현상이 벌어진다고 하였다. 영조2년(1726년) 낙산사 이화정 앞에 서 있던 오동나무로 거문고를 만들었는데, 1727년~1729년3년간 선정을 베풀 고 이임하는 양양부사 유경시(柳敬時)에게 고마움을 표하 는 뜻으로 이 거문고를 “양양금(襄陽琴)”이라 명명하고 선물하였다.

제작자와 기증자의 이름은 알지 못하며, 그 양양금은 柳敬 時의 후손 강포 유홍원(1716년~1781년)이 사용했다고 한 다. 이 양양금(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14호 1999. 12. 30)은 안동시"한국 국학연구원"에 보관 전시중이다.

 

▶ 시문

------------------------------------------------------------------------------------------------------------------------------------------

蓀谷詩集卷之四詩   손곡시집권지사 〔손곡 이달(蓀谷李達) 1539∼1612〕

 

梨花亭(이화정)次駱峯韻(낙봉 시문의 운을차운하여 짓다)
客行嗟未及春遊(객행차미급춘유) / 행객의 감탄이 이어지는 봄놀이가 미치는 곳
滿樹濃陰翠擁樓(만수농음취옹루) / 푸르디푸른 숲속의 푸르름이 누정을 안았구나.
花事已空難入手(화사이공난입수) / 꽃은 이미 지고 없으니 손으로 만질 수는 없으나
賞心猶左屢回頭(상심유좌루회두) / 고개 돌려 창을보니 구경하는 마음은으뜸이로다.
登高每結懷鄕念(등고매결회향념) / 정자에 높이 올라 늘 고향생각 품으니
望遠還添去國愁(망원환첨거국수) / 멀리 바라보는 나라걱정 더하여 지누나.
瀉盡煩襟知有計(사진번금지유계) / 번뇌를 모두 쏟아 부니 계책이 생겨나서
欲沽村酒愧無由(욕고촌주괴무유) / 시골 술 사 마시려는데 부끄러움 있겠는가.

------------------------------------------------------------------------------------------------------------------------------------------

 

 

------------------------------------------------------------------------------------------------------------------------------------------

『白湖全書』 백호전서  [백호 윤휴(白湖尹鑴)1617∼1680]

 

동정부(東征賦)중에서
何寶地之宏規兮(하보지지굉규혜) / 어쩌면 이 좋은 곳 규모도 이리 굉장할까
占海陸之雄勝(점해륙지웅승) / 바다도 뭍도 온통 승지로세
金仙窟兮義相臺(금선굴혜의상대) / 금선굴 하며 의상대 하며
賓日僚兮梨花亭(빈일료혜리화정) / 돋는 해 맞이하는 이화정 하며
先雨師以淸塵兮(선우사이청진혜) / 먼저 비를 뿌려 먼지 씻게 하고
命風伯而宣令(명풍백이선령) / 또 바람 시켜 영을 선포하려는지
天凄陰以沈寥兮(천처음이침요혜) / 하늘은 어두컴컴 쓸쓸하기만 하고
雲霮䨴而汛晴(운담대이신청) / 구름은 꽉 끼었다 금방 벗어지네

------------------------------------------------------------------------------------------------------------------------------------------

 

 

------------------------------------------------------------------------------------------------------------------------------------------

『楓岳錄』풍악녹  [백호윤휴(白湖尹鑴)1617∼1680]

 

낙산(洛山)을바라보고 달리다가 산등성이로 올라 얼마를 더 가서 절 문간에 들어서니 중들이 견여를 메고 나와맞이했다.견여를 물리치고 걸어서 이화정(梨花亭)에 올라앉아 있었다.정자는 절 문간 밖에 있었는데,그 절의 문정(門庭)이나 헌각(軒閣)이 웅장하여 바로 하나의 큰 아문(衙門)이었다.절은 설악산을 등진 채 동해를 내려다보고 있는데,지세가 편평하며 넓고 건물도 탁 틔어 넓었다.당(堂)에 올라 보니, 금벽(金碧) 장식이나 용마루 등의 높이는 비록 장안사ㆍ유점사 등만 못해도 대문과 담의 꾸밈새나 전망이 좋기는 그 두 절이 따라오지 못할 정도였다.


雲垂雪嶽三千丈(운수설악삼천장) / 삼천 길 설악산에 뭉게뭉게 구름인데
月湧東溟九萬尋(월용동명구만심) / 구만 길 동해에선 둥그렇게 달이 솟네
今日梨花亭上會(금일리화정상회) / 이화정 위의 오늘 가진 이 모임에
峩洋一曲故人心(아양일곡고인심) / 한 가락 아양곡은 고인의 마음이어라
獨上高臺望仙子(독상고대망선자) / 신선을 보자하고 높은 누대 올랐건만
蓬島微茫何處尋(봉도미망하처심) / 아득하다 봉래섬 어디메서 찾는단말가
惟有峩洋琴一曲(유유아양금일곡) / 거문고에 실어보는 아양곡 한 가락에
兩人相對百年心(양인상대백년심) / 두사람마주앉아우정을 다짐하네했고,또읊기를,
梨花亭逈海東傍(이화정형해동방) / 동쪽 바다 저 멀리 이화정이 있거니
杯酒登臨引興長(배주등림인흥장) / 술을 들고 오르자 유흥이 절로 난다
誰道洛陽探勝客(수도낙양탐승객) / 누가 그리 말했던가 낙양의 탐승객이
一時靑眼水雲鄕(일시청안수운향) /한때는 수운향을 너무 좋아했노라고

------------------------------------------------------------------------------------------------------------------------------------------

 

 

------------------------------------------------------------------------------------------------------------------------------------------

『惺所覆瓿藁』성소복부고   양천 허균(陽川許筠) 1569~1618〕

 

낙산기유(洛山記遊)로 암 노석(嵒老釋)에게 주다 (장편의시문 중 일부 발췌함)
天風吹海動雲根(천풍취해동운근) / 바다에 부는 천풍 산악을 뒤흔들어
笑看驚濤侵佛骨(소간경도침불골) / 바라보니 놀란 파도 불골에 침노하네
梨花亭畔待初月(이화정반대초월) / 이화정 가에서 달뜨기를 기다리니
玉輪輾出琉璃滑(옥륜전출류리활) / 옥바퀴 돌아돌아 하늘로 떠오르네
毗盧北去謁襄陽(비노북거알양양) / 비로가 북으로 가 양양을 배알하니
馳馬還同醉葛彊(치마환동취갈강) / 말 달림 도리어 술 취한 갈강 같네
應踏梨花亭畔月(응답이화정반월) / 응당 이화정 달을 구경하면서
杯看碧海倒瓊腸(배간벽해도경장) / 한바다를 옹달샘처럼 바라보며 잔을 들리

------------------------------------------------------------------------------------------------------------------------------------------

 

 

------------------------------------------------------------------------------------------------------------------------------------------ 

永柔梨花亭의 詩   영유이화정

 

落花風雨古人詩(낙화풍우고인시) / 꽃샘 비바람은 옛 시에도 있거니와
花到今春巧耐遲(화도금춘교내지) / 올봄 꽃은 공교롭게도 늦장부리네
直至開時應有月(직지개시응유월) / 꽃 필 때 되면 응당 달이 있겠고
個中春色子規知(개중춘색자규지) / 그중의 봄빛 자규야 알고말고 라 하였으며

------------------------------------------------------------------------------------------------------------------------------------------

 

 

------------------------------------------------------------------------------------------------------------------------------------------ 

『練藜室記述』연려실기술〔완산이긍익(完山李肯翊) 1736∼1806〕

 

지리전고(地理典故)-산천의 형승(形勝) 강원도 양양의 낙산사(洛山寺)부의 동북쪽15리의 오봉산(五峯山)에있다. 일명 낙산사라고 한다. 이화정(梨花亭)ㆍ빈일료(寶日寮)가 있고 절의 동쪽두어 마장되는곳에관음굴(觀音窟)이있다.

------------------------------------------------------------------------------------------------------------------------------------------

 

 

------------------------------------------------------------------------------------------------------------------------------------------ 

경낙회첩〔鏡洛會帖1750〕


경낙회는 1750년 양양과 강릉 양 고을의 문인들이 조직 한 회로서 매년 봄철에는 강릉 경포에서 가을철에는 양양 낙산에서 회합하다가, 현재는 낙산에서 봄철 경포에서 가 을철에 계속 이어져오고 있는 문인들의 회합이며, 낙산회 연 서문의 서두에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鏡浦之會旣圓而襄人有向若之歎矣事故推遷乃以十月中旬 之二日始會于洛山是日雨雪崇朝梨花之亭正趣之庭俱未可以 設席也遂分坐于房寮軒廡之間而隨地之便宜焉觀瞻之環匝獻 酬之承接大不及於鏡浦之周而徧也(경포지회기원이양인유향 약지탄의사고추천내이십월중순지이일시회우낙산시일우설 숭조이화지정정취지정구미가이설석야수분좌우방료헌무지 간이수지지편의언관첨지환잡헌수지승접대불급어경포지주 이편야) / 경포의 모임을 원만하게 마친데 대하여 양양 사 람들이 화답하여 응했다.

사정이 있어 미루다가 10월 12일에 비로소 낙산에서 회 합한 이날 아침에 눈이 내리니 이화정과 정취전의 마당에 함께 자리를 설치하지 못하고 마침내 형편에 따라 방과 툇 마루 사이까지 나누어 앉았다.여럿이앞뒤로 잔을 돌리는 것을 보니 경포를 두루 돌면서 놀던 것엔 크게 미치지는 못했다.

------------------------------------------------------------------------------------------------------------------------------------------

 

 

------------------------------------------------------------------------------------------------------------------------------------------ 

『鶴巖集』詩   학암집〔학암 조문명(鶴巖趙文命) 1680∼1732〕

 

落山寺梨花亭月夜觀劍舞(낙산사 이화정 월야관검무)
蒼凉老木蔚藍天(창량로목울람천) / 푸른 하늘아래 노목은 푸르러 시원한데
海闊佳人倚劍前(해활가인의검전) / 확 트인 넓은 바다 앞에서 가인의 칼춤
渺渺飛回漳水月(묘묘비회장수월) / 한없는 수면을 날아 돌아오는 장하의 달빛
輕輕踏破洛波烟(경경답파락파연) / 경박하게 짓밟아 깨뜨리는 낙산사의 물안개
劃來星宿奔騰落(획래성숙분등락) / 성좌를 가르듯이 분주히 오르내리고
閃處魚龍辟易旋(섬처어룡벽역선) / 어룡이 번뜩이듯 두려워 물러나 돈다.
舞罷愀然脫錦褶(무파초연탈금습) / 춤이 끝나니 안색이 변하고 주름이 펴지고
座中依舊一嬋娟(좌중의구일선연) / 좌중은 전과 다름없이 한가지로 아름답도다.

------------------------------------------------------------------------------------------------------------------------------------------

 

 

------------------------------------------------------------------------------------------------------------------------------------------

『八谷先生集』卷之一   팔곡선생집 권지일 〔팔곡 구사맹(八谷具思孟) 1531∼1604〕

 

梨花亭觀日出(이화정관일출)在洛山寺東(재낙산사동)
暘谷寅賓罄至誠(양곡인빈경지성) / 양곡에서 해가 뜰 때에 지성을 다하여
每登高處望滄瀛(매등고처망창영) / 높은 곳에 매양 올라 창해를 바라본다.
彤丸未出鴻濛判(동환미출홍몽판) / 해가 안 뜨면 천지의 원기로 가름하고
黃道纔陞宇宙明(황도재승우주명) / 황도에 겨우 오르면 우주가 밝아지네.
夾侍葳蕤聯彩鳳(협시위유련채봉) / 초목이 무성한 좌우에 부처 모셔 봉황무니 연하고
傍窺辟易竄長鯨(방규벽역찬장경) / 곁에서 엿보니두렵고 무서워서고래떼는 숨누나.
浮雲却恐終朝掩(부운각공종조엄) / 뜬구름 애석케도 아침 내내 가리니
不見陽輝遍八紘(불견양휘편팔굉) / 두루 팔방을 햇볕이 비추지 못하네.
時有微雲點纔故結句及之(시유미운점재고결구급지)

------------------------------------------------------------------------------------------------------------------------------------------

 

 

------------------------------------------------------------------------------------------------------------------------------------------
梨花亭.次尹時叔韻(이화정.차윤시숙운)


梨花交暎寺門隈(리화교영사문외) / 절문 앞 후미진 곳 이화정에 배꽃이 어우러져 비추니
一一氷綃巧剪裁(일일빙초교전재) / 하나하나 고운 비단 무늬같이 마름질하여 가위질했네.
自幸非才隨鮑謝(자행비재수포사) / 재주는 없어 다행스럽게도 鮑照와 謝靈運을 따르고
仍須莫逆效陳雷(잉수막역효진뢰) / 거스르지 아니하고 그대로 陳重과 雷義를 본받았다.
已磨銀鏡連空瑩(이마은경련공형) / 이미 바다는 맑아져서 하늘은 밝아지고
誰送金盤隔幔廻(수송금반격만회) / 누가 태양을 보내어 장막을 치고 도는가.
歸意悤悤難久住(귀의총총난구주) / 돌아가려는 마음에 오래 머물기 어려워 허둥대며
只應他日夢頻來(지응타일몽빈래) / 다른 날 자주 오려고 마음먹고 다만 응할 뿐이다.
是早觀日出,爲微雲所障,如隔重帷,故第六云云(시조관일출위미운소장여격중유고제륙운운)

------------------------------------------------------------------------------------------------------------------------------------------

 

 

------------------------------------------------------------------------------------------------------------------------------------------ 

〔八谷先生集〕卷之二   팔곡선생집 권지이〔팔곡 구사맹(八谷具思孟) 1531∼1604〕

 

梨花亭(이화정)在洛山寺東(재낙산사동)
幾株香雪滿枝開(기주향설만지개) / 몇 그루에 향기로운 배꽃이 가지마다 만개하고
想得繁英照酒杯(상득번영조주배) / 많이 핀 꽃이 술잔에 비추었으리라 생각이 든다.
客到寺門春已盡(객도사문춘이진) / 나그네가 절문 앞에 이르니 이미 봄은 가고
明年準擬看花來(명년준의간화래) / 내년에 때를 맞추어 찾아오면 꽃을 보리라.

------------------------------------------------------------------------------------------------------------------------------------------

 

 

------------------------------------------------------------------------------------------------------------------------------------------ 

『蒙巖大師文集』 몽암대사문집


洛山寺梨花亭韻(낙산사이화정운)
倦步來到洛伽山(권보래도락가산) / 쉬엄쉬엄 걸어서 낙가산을 찾아오니
時値三春節氣朗(시치삼춘절기랑) / 때는 마침 춘삼월이라 절기는 맑구나.
海闊群峰收脚低(해활군봉수각저) / 바다와 봉우리들이 눈 아래에 들어오고
天垂涵日轉輪上(천수함일전륜상) / 하늘에 드리운 태양 바퀴처럼 굴러가네.
觀音聖迹僧傳窟(관음성적승전굴) / 스님이 관음의 성지는 굴이라 전하니
湘老高標客送想(상로고표객송상) / 내가 고표한 의상선사의 사상을 알렸네.
款乃暮連淸磬生(관내모련청경생) / 정성스레 저녁 내내 맑은 풍경소리 일고
梨月微月更登槳(리월미월경등장) / 배꽃 핀 초승달밤에 노 젓는 소리 들린다.

------------------------------------------------------------------------------------------------------------------------------------------

 

 

------------------------------------------------------------------------------------------------------------------------------------------ 

『鳳巖集』봉암집〔봉암 채지홍(鳳巖蔡之洪) 1683∼1741〕

 

東征記(동정기)
墻外又有所謂梨花亭者(장외우유소위리화정자)。僧言古有梨樹(승언고유리수)。結實繁美(결실번미)。世祖東幸時(세조동행시)。寺僧摘進於東宮(사승적진어동궁)。仍以爲式(잉이위식)。癸未山火(계미산화)。梨樹成灰이 ( 수성회)。新栽(신재)。叢枝僅可拱把(총지근가공파)。而每歲貢獻(이매세공헌)。至今不廢(지금불폐)。僧徒病於貿納(승도병어무납)。將不可保云(장불가보운)。噫(희)。一時獻曝(일시헌폭)。百䄵貽弊(백년이폐)。

無名之供(무명지공)。昔人所宜戒也(석인소의계야)。中閣法鍾重可千斤(중각법종중가천근)。亦稱世祖之所命鑄(역칭세조지소명주)。而金守溫記(이금수온기)。鄭蘭宗書也(정란종서야)。索見古蹟(색견고적)。則首僧進一冊子(칙수승진일책자)。異說頗多而近恠羞稱(이설파다이근괴수칭)。御賜田結民口(어사전결민구)。不啻百數(불시백수)。一時名公碩輔非惟不能諫止(일시명공석보비유불능간지)。又從而舍施者多(우종이사시자다)。足以傳譏於後世也(족이전기어후세야)

------------------------------------------------------------------------------------------------------------------------------------------

 

 

------------------------------------------------------------------------------------------------------------------------------------------ 

『霅橋集』卷二詩   삽교집 권이시   [삽교 안석경(霅橋安錫儆)1718~1774]

 

步月梨花亭(보월리화정)
鍾磬沉聲香歇烟(종경침성향헐연) / 악기소리 멈추고 향연이 그치니
梨花亭上坐超然(이화정상좌초연) / 이화정에 올라 초연히 앉았었다.
宵淸月朗千峰下(소청월랑천봉하) / 맑은 밤에 밝은 달이 천봉을 비추니
海濶天高一笑前(해활천고일소전) / 하늘 높고 넓은 바다 앞에서 웃는다.
萬里風雲歸湛碧(만리풍운귀담벽) / 만리 풍운은 맑고 푸르게 되고
十洲鸞鶴起聯翩(십주란학기련편) / 십주의 난학이 연달아 날아드네.
人寰寂寂皆安枕(인환적적개안침) / 인경이 고요하니 모두가 편히 잠들고
何處呼來采石仙(하처호래채석선) / 채석의 신선을 어느 곳서 불러오려나.

------------------------------------------------------------------------------------------------------------------------------------------

 

 

------------------------------------------------------------------------------------------------------------------------------------------
梨花亭(이화정)。懷桂塘舊遊愴題(회계당구유창제)。壬辰(임신)


梨花亭外海連天(리화정외해련천) / 이회정 밖에는 바다와 하늘이 닿았는데
萬里烟波一悵然(만리연파일창연) / 만리에 안개 낀 물결에 실의로 한탄했네.
渺渺仙洲消息斷(묘묘선주소식단) / 물길 아득한 선주의 소식은 끊기고
人間日月已三年(인간일월이삼년) / 인간의 세월은 벌써 삼년이 지났네.

------------------------------------------------------------------------------------------------------------------------------------------

 

 

------------------------------------------------------------------------------------------------------------------------------------------

『霅橋集』卷二詩   삽교집 권이시   [삽교 안석경(霅橋安錫儆)1718~1774]

 

梨花亭日出(이화정일출)
晨梨花亭上立淸(신리화정상립청) / 맑은 날 새벽에 이화정에 올라서서
海氣蕭森正灑人(해기소삼정쇄인) / 쓸쓸한 바닷바람에 몸이 깨끗해지네.
忽見靑紅堆錦浪(홀견청홍퇴금랑) / 갑자기 청홍의 비단 물결이 겹쳐 보이고
俄驚赫赩湧金輪(아경혁혁용금륜) / 갑자기 새빨간 금륜이 솟구치니 놀랐노라.
精神在我無圓缺(정신재아무원결) / 내 정신은 이지러짐 없이 온전한데
運用隨時有屈伸(운용수시유굴신) / 수시로 굽혔다 폈다하면서 부리누나.
倦學無成身欲老(권학무성신욕로) / 게을러서 배우지 못한 이 몸은 늙어 가는데
東天搔首百憂新(동천소수백우신) / 많은 근심 생기니 동천 아래서 머리 긁는다.

------------------------------------------------------------------------------------------------------------------------------------------

 

 

------------------------------------------------------------------------------------------------------------------------------------------ 

『艮翁先生文集』卷之五詩七言律詩   간옹선생문집 권지오시칠언률시  洛山梨花亭觀日出(낙산이화정관일출)


雙眸竆處未應遙(쌍모궁처미응요) / 내 두 눈으로는 멀어서 다 볼 수없는 곳
尋丈方壺旭日朝(심장방호욱일조) / 내가 찾는 삼신산은 해가 뜨는 아침이라.
簇仗火雲渾整整(족장화운혼정정) / 이글거리는 구름에 화살이 가지런히 섞이고
捧輪金浪極搖搖(봉륜금랑극요요) / 수레바퀴를 받든 금물결은 몹시도 일렁이네.
羣靈幷力開黃道(군령병력개황도) / 모든 신령 힘을 합쳐 황도를 열어가니
萬國同誠仰碧霄(만국동성앙벽소) / 만국은 같은 정성 푸른 하늘 우러르네.
螢爝可憐光欲補(형작가련광욕보) / 가련하다 반딧불이 빛을 더해 보려고 하나
詠歌何况筆難描(영가하황필난묘) / 그 시가를 어찌 짓고 그리기가 그리 어렵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