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북부선 종착지 양양역

동해북부선 종착지 양양역 목록
    Ⅰ. 동해북부선 종착지 양양역 1. 개요 2. 근대 교통수단과 철도도입 3. 동해북부선 개설 4. 동해북부선 종착지 양양역의 실상 5. 철로시설과 양양역 부대시설의 흔적
    1. 개요 동해북부선은 일제강점기 강원도 안변군(安邊郡) 안변면 안변역과 양양군(襄陽郡) 양양읍 양양역을 잇던 철도노선으로, 1929년 9월 11일 안변과 흡곡(歙谷) 사이와 1937년 12월 1일 양양까지 개통된 철도이다. 본래 경원선(京元線)의 안변에…
    2. 근대의 교통수단과 철도도입 1) 우리나라의 전통 운송수단 교통은 자연환경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산이나 강이 많은 곳보다 넓은 평야지대에서 교통이 발달하는 것은 도로를 건설하기 편한 지형조건 탓이다. 따라서 산지가 국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그 사이를…
    3. 동해북부선 개설
    1) 동해북부선 연혁
    2) 안변과 양양간의 철도개통 1917년부터 국유철도의 경영을 남만주철도에 위탁했던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는 1925년 4월 1일 다시 직영으로 환원하고 철도망 확충을 위해 『조선철도 12년 계획』을세웠다. 1927년부터 시작하여 1938년에 끝난 이 사업으로 …
    3) 철도 부설로 인한사회·경제적 변화 일본의 한국철도 부설은 철도 연선의 사회·경제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하였다. 철도의 개통과 더불어 전선 각역에서 소운송업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것도 그러한 현상의 하나였다. 소운송업은 철도와 함께 출연하여 철도를 매개로 활동…
    4. 동해북부선 종착지 양양역의 실상
    1) 양양역의 개통 양양역이 개업되자 양양역를 중심으로 단층 건물로 지어진 역사에는 역장과 역무원및 선로반, 기관부 직원 등 100여명의 인원이 종사했고, 이들이 기거하는 관사는 청곡리에 10동이 있었다, 역 주변에는 양양광업소에서 솔개미차(삭도)로 반출한 철광…
    2) 양양역의 부대시설 개황 1937년 12월1일 개통한 동해북부선의 양양역은 현재 역사(驛舍:대합실), 플랫폼, 관리사무소(管理事務所), 철광석 집하장인 조구통, 어름창고 등은 아직도 기초 시멘트 구조물 등의 흔적이 남아있고, 양양역에 인접한 산(뱀째산)위에는…
    3) 동해북부선 기차 소요시간과 승차요금 (1) 소요시간 양양에서 원산으로 출발은 하루에 4회 운행되었으며, 1940년 4월 1일에 개정된 양양에서 원산까지의 상행선(上行線) 열차운행 시간은 출발 시각과 기관차 종류마다 차이가 난다. 양양에서 새벽 05…
    5. 철로시설과 양양역 부대시설의 흔적
    1) 한국전쟁과 동해북부선 남북 분단으로 인해 전 구간이 북위 38도선 이북인 동해북부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 공화국의 철도가 되었다가 6·25 한국전쟁으로 고성역과 초구역 사이에 군사분계선이 그어져 초구역~양양역 간은 대한민국의 실효 지배지역이 되었다. 철로는 대…
    2) 노반시설(路盤施設) 동해북부선의 노반 흔적은 상당히 많이 남아있다. 일제가 해방 직전까지 공사를 계속하던 노선이라 노반자체는 거의 다 닦아놓은 상태였고 이 지역 개발 속도가 늦었던 관계로 많은 흔적이 남아있다. 실제로 열차가 운행되었던 고성~양양 구간은 7…
    3) 양양역 부대시설 (1) 현존(現存) 시설 및 흔적 1937년 12월1일 개통된 동해북부선의 양양역은 현재 역사(驛舍:대합실), 플랫폼, 관리 사무소, 창고, 어름창고, 그리고 속칭 솔개미차(삭도)로 양양광업소에서 실어온 철광석을 쏟아 부은 집하장인 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