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지방의 제사의식

3. 양양동명서원제 襄陽東溟書院祭

페이지 정보

조회 632회 작성일 2022-03-11 12:11

본문


3 양양동명서원제(襄陽東溟書院祭)



■ 개요(槪要)

▪ 주관(主管) : 양양동명서원 원장(襄陽東溟書院 院長)

▪ 장소(場所) : 동명서원 충현사(東溟書院忠賢祠)

▪ 배향(配享) : 조인벽(趙仁璧)·조 사(趙 師)

▪ 향사(享祀) : 매년 음력 3월 정일(每年陰曆三月丁日)

▪ 준비(準備) : 동명서원



■ 의미(意味)

인조 6년(1628) 본부사(本府使) 조위한(趙緯韓) 등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인벽(趙仁璧)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충현사(忠賢祠)를 설립하여 위패를 모시고 동명서원이라 하였다. 그 후 조인벽의 넷째 아들 조사(趙師)를 추가로 배향하고, 매년 음력 3월 정일(丁日)에 향사(享祀)를 지내며, 서원 당직이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한 다.



■ 유래(由來)

조선 인조 1년(1623)에 양양도호부사로 부임한 조위한(趙緯韓)은 조산리에 있는 수군기지 대포영(大浦營)의 군기와 군량이 본부로 옮겨져 빈 건물을 서원으로 전용하기로 하고, 유림 대표 등과 계획하여 노경복(盧景福)이 주도하고 지방유림 대표 최정립·이현일이 감독하여 사당(祠堂)을 짓고, 군용 건물을 개보수하여 활용토록 하였다.

선현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과 선현의 뜻을 받들어 교육을 실시하는 강당과 학도가 숙식 하는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이 외에 문집이나 서적을 펴내는 장판고(藏版庫), 책을 보관하는 서고, 제사에 필요한 제기고(祭器庫), 서원의 관리와 식사 준비 등을 담당하는 고사(庫舍) 등이 설치되었다.

 

3301.jpg

<양양 동명서원 충현사>

 

 

한편, 부사는 동명서원 운영에 자급되도록 둔전 일곱 마지기, 소금가마 1좌, 어선 1척, 재복(재의 종) 1인, 경비원 두 집을 전속하였다. 여기서 생산하는 양곡과 소금과 어물이 춘추 향사의 수품을 조달하고 여러 유생의 식사 및 독서에 쓰도록 하였고, 서원의 재산은 세금도 면제하고, 동명서원 여러 유생에게는 부역이나 병역까지도 면제해주어 공부 에만 열중(熱中)토록 하였다.

최초 창건한 조산리 서원이 화재로 소실되자 그의 제자와 후예들이 정조 10년(1786)에 경북 봉화군 봉성면 동양리에 이전 복원하였다. 그 후 고종 8년(1871)에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따라 훼철된 후, 광무 2년(1898)에 재건을 목적으로 강원도 관찰사 조종필(趙 鐘弼)이 창건지인 조산리에 유허비(遺墟碑)를 세웠으며, 1979년 양양지역 유림과 한양 조씨 종중에 의해 1982년 지금의 자리에 사당과 강당을 복원하고 양열공(襄㤠公)을 배향(配享)하고 있다.



■ 진행(進行)

전폐례(奠幣禮)를 행하다.

초헌례(初獻禮)를 행한다.

아헌례(亞獻禮)를 행한다.

종헌례(終獻禮)를 행한다.

음복례(飮福禮)를 행한다.

망료례(望燎禮)를 행하다.



■ 헌관 및 집사의 명칭과 임무

· 초헌관(初獻官) : 향을 사르고 첫 잔을 올리는 제관(祭官)으로 제사의 주인(主人) 이다.

· 아헌관(亞獻官) : 두 번째 잔을 올리는 제관(祭官)

· 종헌관(終獻官) : 세 번째 잔을 올리는 제관(祭官)

· 분헌관(分獻官) : 종향위(從享位)나 배향위(配享位)에 향을 사르고 술잔(淸酒)을 올리는 제관

· 집례(執禮) : 한문 홀기를 읽어 진행을 담당하는 제관

· 찬창(贊唱) : 집례(執禮)를 보좌하는 제관

· 대축(大祝) : 축문(祝文)을 읽는 제관

· 알자(謁者) : 헌관(獻官)을 인도하는 제관

· 찬인(贊人) : 집례(執禮). 대축(大祝). 제집사(諸執事)를 인도하는 제관

· 봉향(奉香) : 향을 받드는 집사

· 봉로(奉爐) : 향로를 받드는 집사

· 봉작(奉爵) : 준소(樽所 : 술항아리를 놓아두는 곳)에서 사준(司樽)이 따른 술잔을 받아 헌관에게 건네주는 집사

· 전작(奠爵) : 헌관으로부터 술잔을 받아 신위 앞에 올리는 집사

· 사준(司樽) : 준소에서 술을 따르는 집사


3102.jpg

<동명서원제 제례>

 

■ 축문(祝文)


(유 단군기원○천○백○십○년세차□□○월□□미삭○○日□□)

維 檀君紀元○千○百○十○年歲次□□○月□□未朔○○日□□

(감소고우)

院長 ○○○ 敢昭告于

(원장) (양렬공우계조선생(신위전) 복이선생도덕구존세고기절충정관일)

襄烈公愚溪趙先生(神位前) 伏以先生道德俱尊世高其節忠貞貫日

(징벽부취도해고풍채국하심유방미말산고수장근이생폐례제식진)

徵辟不就蹈海高風採菊遐心遺芳未沫山高水長謹以牲幣醴齊式陳

(명천이가천재조공배상)

明薦以嘉川齋趙公配 尙 

饗(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