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문화34호

양양문화34호 목록
    발간사 | 양양문화원장 박상민 ----------- 9 신년사 | 양양군수 김진하 ----------- 11 신년사 | 양양군의회의장 오세만 ----------- 12 신년사 | 국회의원 이양수 ----------- 14 향토사료 ● 양양의 大浦와 水軍萬戶…
    운영자  2023-02-06  225 
    양 양 문 화 원 장 박 상 민 희망찬 계묘년(癸卯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를 맞이하여 군민 여러분과 문화 가족 여러분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충만하기를 기원드리며 지난해에 보살펴주신 은혜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지난해는 코로나 팬…
    운영자  2023-02-06  226 
    양 양 군 수 김 진 하 존경하는 군민 여러분! 2023년 계묘년(癸卯年) 새해 아침이 밝았습니다. 어둠 속에서도 세상을 밝게 비추는 새해의 빛나는 태양처럼 꿈과 희망이 가득한 눈부신 한 해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지난해는 민선 7기의 마무리와 …
    운영자  2023-02-06  236 
    양 양군의 회의 장 오 세 만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우리 지역의 향토 문화지인「양양문화」제34호 발간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항상 열과 성을 다해 우리 지역의 소중한 문화 가치를 전해주시는 양양문화원 박상민 원장님을 비롯한 관계자 여러분께 …
    운영자  2023-02-06  237 
    국 회 의 원 이 양 수 존경하는 양양문화원 가족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속초·인제·고성·양양 국회의원 이양수입니다. 어느덧 2022년이 저물고‘검은 토끼’의 해, 계묘년의 새해가 밝았습니다. 예로부터 토끼는 번창과 풍요를 상…
    운영자  2023-02-06  246 
    양양의 大浦와 水軍萬戶李芃에 대한 考察 양양문화원부설 양양학연구소 Ⅰ. 머리말 Ⅱ. 양양 대포 명칭의 변천 Ⅲ. 양양 대포영지 유적 Ⅳ. 수군만호 이봉(李芃)의 墓地石 出土 Ⅴ. 맺음말
    운영자  2023-02-06  255 
    양양은 선사문화(先史文化)가 살아 숨 쉬는 보고(寶庫)로 신석기 최고(BC 6000)의 역사를 간직한 고장이다.『 삼국사기』를 보면 신라시대의 설악(雪嶽)은 양양의 진산(鎭山)으로 소사(小祀)의 예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다. 지리적 특성은 동쪽으로는 동해에 연접하고 서쪽…
    운영자  2023-02-06  243 
    1. 위치 양양군 양양읍(襄陽邑) 조산리(造山里) 남대천 하구를 대포(大浦)로 지정하였다. 지정한 연대는 지금으로부터 530여 년 전인 조선 성종 21년(1490)이다. 대포에서 대포영(大浦營)까지의 거리는 서북향으로 약 500m에 떨어진 곳이다. 대포영 관저 앞…
    운영자  2023-02-06  252 
    1. 오봉산성(五峯山城) ■ 소재지 :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조산리 오봉산(낙산산성) 이며 지방문화재 제33호이다. ■ 위치 및 현상 오봉산고성(五峯山古城)은 洛山寺 寺城을 둘러싸고 있는 토석혼축성(土石混築城)의 포곡형으로 봉우리와 봉우리를 연결하…
    운영자  2023-02-06  249 
    1. 수군만호 李芃 2011년 강원도 양양에 사는 전주이씨 완남군파(完男君派)의 납골묘 조성 과정에서 조선조 중종 때 대포만호(大浦萬戶)를 지낸 이봉(李芃)의 묘지석이 출토된다. 문중의 기록에 의하면 이봉(李芃)은 강원도 양양출신(襄陽出身)인데 그의 조부 진릉군[…
    운영자  2023-02-06  286 
    우리나라는 바다와 연결되는 하천이 많아 일찍부터 물자와 사람을 운송하는데 선박을 이용하였으며, 자연히 군사적인 측면에서도 활용하게 되었다. 기록을 통해 볼 때 이미 삼국시대부터 수군을 전투에 활용하고 있 으며, 고려,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이는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조…
    운영자  2023-02-06  266 
    문화학교 교실별 수료자 우수 수강생 ------------------------------------------ 한글서예 수상 ◈2022대한민국서예전람회:입선 - 김순자, 노복현 ◈2022세종대왕전국휘호대회 : 특선 - 홍…
    운영자  2023-02-06  332 
    1.‘ 허억봉’은 조선 후기에 퉁소와 대금 연주자로 당시 장악원(지금의 국립국악원) 총책임자인 전악까지 오른 천재 음악가로, 악인들이 악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금합자보’라는 악보 제작에 참여하였다. 금합자보의 서문에는 “허억봉은 대금으로 세상에 이름을 떨친 사람”이라고…
    운영자  2023-02-06  250 
    1월 - 양양지역의 황장봉산과 최근 발견된 금표의 실태를 알아본다. 2월 - 일제강점기“오색령”2등 도로 개착(開鑿)을 영동·영서는 함께 원했다. 3월 - 관동읍지(關東邑誌)에 수록된 양양부 관아(官衙)에 대해 알아본다. 4월 - 일제강점기 양양지역 첫 전등불…
    운영자  2023-02-06  257 
    황장봉산(黃腸封山)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보호(保護)되어 왔는가 ? 황장목(黃腸木)을 함부로 벌채하지 못하도록 금령(禁令)이 내린 산을 황장봉산(黃腸封山) 또는 황장금산(黃腸禁山)이라고 한다. 경세유표(經世遺表) 제14권 총론에 황장(黃腸) 주(註)에 보면 황장이란 황…
    운영자  2023-02-06  315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