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신묘의 정체성과 복원에 대한 학술대회

동해신묘의 정체성과 복원에 대한 학술대회 목록
    단묘건축의 정의는 유교의 사상을 바탕으로 발전한 개념으로 단(壇)은 지붕이 없는 1단 내지 2단의 제단을 만들어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며, 묘(廟)는 지붕이 있는 건물로 유교적 신위를 모신 묘당(廟堂), 신당(神堂), 사우(祠宇) 등으로 표현된다. 단묘건축을 사묘건축이라…
    조선 초기 각종 법과 규정을 정할 때 단묘건축의 분류와 규모를 정하였는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자세히 나와 있으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태종 13년인 1413년 4월 예조에서는 여러 제사의 제도에 대한 규정을 상정하였는데, 내용을 살펴보면, …
    악 · 해 · 독 단묘건축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문헌으로는 조선왕조실록과 동국여 지승람을 들 수 있다. 실록은 사묘를 건립 혹은 중수를 알 수 있는 자료이며. 동국여지승람은 지리서로 단묘건축의 입지와 현황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조실록의 문…
    2.3.1 건축의 평면형태와 규모 악해독 단묘건축의 평면을 살펴보면 정면3칸에 측면 2~3칸을 알 수 있다. 가야진사는 다른 사묘와 차이가 나는데 발굴결과, 1차건물(2칸)과 2차건물(3칸?)이 다르게 나타난다. 중악단은 중사규모 단묘건축에서 가장 큰 평면규모를 …
    3.1 동해신묘의 문헌현황 3.2 동해신묘의 지도현황 3.3 동해신묘의 건축현황 3.4 동해신묘의 발굴조사 현황
    강원도 양양군에 위치한 동해묘는 시도기념물 73호로 나라에서 동해신에게 풍농풍어(豊農豊 魚)와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하여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동해신묘는 해신(海神)을 모신 묘사(廟祠)로 국가의 주관으로 치제하던 곳이었으며, 그 중에서도 동해신묘는 가장 중요시했던…
    역사적 문화유산의 건축 현황을 살피기 위해서는 문헌 연구와 더불어 지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보편적으로 조선후기 지도인 해동지도(1724~1776), 광여도(1737~1776), 지승(18세기 후반), 여지도(1789~1795), 비변사인방안지도(조선후기 18세기)…
    3.3.1 건축개요 ■ 지정명칭 및 번호: 양양동해신묘지(襄陽東海神廟址) 제73호 ■ 분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제사유적 / 제사터 ■ 수량/면적 : 1,316㎡ ■ 창건 및 중수 시기: 고려 원종 원년(1260) 이전 창건, 1722년・1752년・18…
    양양 동해신묘의 발굴조사는 1998년 11월 2일부터 12월 3일 까지 약 한 달간 실시하였다. 발굴의 목적은 동해신묘 유적의 정학한 위치와 규모 등을 파악하여 학술자료로 활용함과 동시에 추후 정비복원 및 사적지 지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발굴결과를…
    4.1 악・해・독 단묘건축의 발굴조사와 정비사례 4.2 동해신묘 정전의 문제인식과 발굴조사결과 4.3 동해신묘 정비방향 제언
    4.1.1 발굴조사 이전에 신당이 복원된 악・해・독 단묘건축 4.1.2 발굴조사 후 신당이 복원된 악・해・독 단묘건축 4.1.3 신당이 유지된 악・해・독 단묘건축
    가. 가야진사(伽倻津祠) 나. 웅진단(熊津壇) 다. 남악사(南岳祠)
    (1) 개요 ■ 지정번호: 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7호 ■ 창건시기: 조선 태종 6년(1406), 1644년(인조 22) 개축, 1708년(숙종 34) 중수 ■ 현황조성: 1965년 현 위치로 이전, 2010년 발굴조사 ■ 위치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용당리 …
    (1) 개요 ■ 지정번호: 명승 ■ 창건시기: 통일신라시대, 조선시대(발굴 연혁) ■ 현황조성: 2011년 발굴조사 ■ 위치 :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730 재 공주 웅진동 고마나루에는 곰사당과 별개로 웅진단이 있다. 복원된 곰사당은 금강이 흘러가는 것과…
    (1) 개요 ■ 창건시기: 통일신라 추정 ■ 현황조성: 2021년 발굴조사 ■ 위치 :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온당리산 71-9번지 지리산 남악사는 화엄사 인근에 있으나 화엄사와 같은 축을 가지고 있지 않고, 지리산 원사봉을 바라보는 북서향을 축을 가지고 있다.…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