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신묘의 정체성과 복원에 대한 학술대회

동해신묘의 정체성과 복원에 대한 학술대회 목록
    가. 남해신사(南海神祠) 33) (1) 개요 ■ 지정번호: 전라남도 기념물 제97호 ■ 창건시기: 고려 현종 19년(1028, 최초기록), 조선시대 중건 ■ 현황조성: 1998년 발굴조사, 2001년 복원 ■ 위치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옥야리 1005…
    가. 중악단(中嶽壇) ■ 지정번호: 보물 1293호 ■ 창건시기: 1394년(조선 태조3) ■ 현황조성: 1876년(고종 16년) ■ 위치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산8 <그림 16> 중악단 전경 &…
    4.2.1 동해신묘 정전의 문제인식 4.2.2 동해신묘 발굴결과와 현재 정전의 위치 4.2.3 발굴결과와 악・해・독 단묘건축 건물(지) 비교분석
    동해신묘 정전은 1993년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조산리 339외 1필지에 복원되었다. 앞 3.3 동해신 묘의 건축현황에 정전에 대한 건축현황에서 정전의 위치와 형태, 규모가 설명되어 있다. 복원된 정전건축의 첫 번째 문제인식은 복원위치이다. 지도와 지번이 합쳐진 사진…
    1998년 초겨울에 실시한 발굴결과는 정확한 건물의 위치는 발견되지 않은 4곳의 석렬 유구가 출토되었다. <그림 21>은 지적이 보이는 항공지도에 발굴유구도면을 겹쳐 석렬 유구의 명확한 위치를 알고자 한 그림이다. 그림에서 보이는 바와 같…
    발굴결과에 따른 정전위치는 앞 절에서 다룬바와 같이 석렬유구 2와 석렬유구 4의 경우가 유력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또한 399번지와 관련된 주변의 추가적인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후에는 변경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그러나 1차 발굴만이 조사된 상황에서는 발굴조사 보고서…
    해신묘는 현재 1동의 정전건축물이 있으며, 주변에 국가제의시설로서의 부속건축물이 존재 하지 않는다. 중악단이나 남해신사의 경우, 옛 부터 내려오는 그 자리에 단묘건축 시설이 운영 되어 오고 있으며, 복원계획을 통하여 완벽하지는 않지만 엣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옛…
    동해묘는 고려시대에서 조선에 이르기까지 산천 악・해・독 단묘건축 중 가장 중요하게 치제되었으며, 1908년 일제 통감부에 의해 강제로 훼철 당했지만, 1993년 정전 복원을 통해 국가 제의시설로서의 명분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전 복원 후의 발굴조사는 문화유산으로서…
    동해신사의 가치제고를 위한 전통문화의 계승과 창작 - 인간과 귀신의 교감으로 양양을 용오름 도시로 만들기 - 이 학 주 (한국문화스토리텔링연구원 원장) 1. 서론 2. 시공세계글쓰기와 반(反)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동해묘의 활용방법 1) …
    이 글은 양양의 동해신사(또는 동해신묘, 동해묘)가 전승돼 온 현상을 바탕으로, 그 활용을 어떻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사고확장을 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시공세계와 반(反) 4차 산업혁명의 구도 차원에서 전통계승론, 전통활용론, 전통창작론 이란 세 개의 유…
    동해신사의 제의는 나라에서 제수(祭需)을 내려 제사하는 중사(中祀)였다. 동서남북 해신사 (海神祠) 가운데 하나로 나라의 태평성대와 풍농과 풍어를 기원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곳 양양에 동해신사가 있었던 것은 고려의 서울 개성에서 볼 때 정동(正東)에 위치했기 때…
    동해신사는 고려시대부터 있어 왔던 오랜 전통을 지닌 제의이다. 그것도 나라에서 제수를 보내서 나라의 수호(守護)와 태평(太平)과 풍농(豐農)과 풍어(豐漁)와 기우(祈雨)를 행하는 제의이다. 상당히 중요한 제의이다. 그런데 이 제의는 그 역사가 오래 되었으며, 시간의 경…
    동해신사를 비롯한 남해와 서해와 북해(江)에는 그곳을 다스리는 용신[또는 해신]이 있다. 그들 신들은 그 지역을 외부의 침략과 역병을 옮기는 병마(病魔)로부터 수호를 하고, 국가의 태평 성대를 꾀하며, 농사의 풍년과 어업의 만선을 꾀하고 있다. 비가 안 와서 만물이 타…
    이제 동해신사는 선(善)을 주체로 21세기의 시대를 따라 변화해야 한다. 21세기의 전통문화는 계승(繼承)과 활용(活用)과 창작(創作)으로 이뤄진다. 컴퓨터라는 기억매체는 인공지능으로 생각하고 창작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옛날 귀신이 산업의 매체였다면 이제는 컴퓨터가…
    동해신사의 전통은 물(水) 신앙에서 비롯했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와 고을의 안녕과 풍요를 위해 물을 관장하는 용신에게 제향을 드린다. 제사는 신과 인간의 교감을 형성하는 기본적인 의례이다. 그리고 그 행사를 주관하고 참관하면서 인간과 인간의 교감도 이뤄진다. 마치, 강…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