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문화35호

양양문화35호 목록
    발간사 | 양양문화원장 박상민 ------- 7 신년사 | 양양군수 김진하 ------- 9 신년사 | 양양군의회의장 오세만 ------- 10 신년사 | 국회의원 이양수 ------- 11 향토사료 ● 양양남대천(襄陽南大川)에 대한 고찰(考察) | 양양문…
    양양문화원장 박상민 희망찬 갑진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를 맞이하여 군민 여러분과 문화 가족 여러분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충만하기를 기원드리며 지난 해에 보살펴주신 은혜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지난 해는 코로나 펜데믹에서 벗어…
    양양군수 김진하 존경하는 군민 여러분! 2024년 갑진년(甲辰年) 새해의 출발선에 다시 섰습니다. 올해는 동방을 수호하는 푸른 용의 해입니다. 힘찬 청룡과도 같은 기세로 마음속에 간직해둔 뜻을 마침내 이루는 행복한 한 해가 되시길 소망합…
    양양군의회의장 오세만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우리 지역의 향토 문화지인「양양문화」제35호 발간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항상 우리 지역의 소중한 문화 가치를 전해주시는 양양문화원 박상민 원장님을 비롯한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
    국회의원 이양수 존경하는 양양문화원 가족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이양수 국회의원입니다. ‘푸른 용’의 해, 갑진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다사다난했던 지난 한 해의 아쉬움은 보내시고, 다가 온 2024년은 그 …
    양양남대천(襄陽南大川)에대한 고찰(考察) 윤여경 | 양양문화원 1. 머리말 2. 하천(河川)과 강(江)의 구분 3. 하천의 역할(役割) 4. 양양 남대천(襄陽南大川) 1) 수계(水系) 및 유역의 행정구역 2) 양양 남대천의 수해…
    1. 머리말 물은 생명의 근원이며 모든 생명체의 구성요소이다. 지구상에는 약 13억 8,600만㎦의 물이 있으며 이 가운데 97.5%인 13억 5,100만㎦가 바닷물을 포함한 소금물이다. 민물은 3,500만㎦로 이 가운데 69.55%인 2,400만㎦가 빙…
    2. 하천(河川)과 강(江)의 구분 하천에 흐르는 물은 대부분 담수(淡水)로 아주 오래전부터 인류는 하천을 중심으로 모여 살았으며, 오래된 도시들은 대부분 하천을 중심으로 건설되었다. 하천이란 일반적으로 물과 그 물이 지나는 길을 의미한다.4) 즉 물은 …
    3. 하천의 역할(役割) 하천은 단절로 인하여 경계를 의미한다. 단절은 이어짐을 열망하여 이동의 통로가 되었다. 배나 다리를 고안하여 건너고 수로를 이용하여 대량 운송도 한다. 하천은 지형적 영향으로 산과 함께 단절을 고착화하여 마을 간, 자치단체 간, 국…
    4. 양양 남대천(襄陽南大川) 조선시대 중종 25년(1530년)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남대천은 부 남쪽 2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남대천(南大川)은 우리나라에서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 중에서는 유로(流路)가 가장 길어서 큰 대(大)자를 붙였다. 말 …
    1) 수계(水系) 및 유역의 행정구역 양양 남대천 본천의 수계는 동해안에서 가장 길어서 약 60km에 이르며, 후천의 수계는 약 26km, 오색천의 수계는 20km로 총 100km가 넘는다. 행정구역상 우통수는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산1번지17)에서 발원하여…
    2) 양양 남대천의 수해(水害) (1) 수해의 원인은 하상계수(河狀係數) 우리 하천의 홍수위를 조사하면서 반드시 언급하는 것이 하상계수인데 최대 유량과 최소 유량과의 비율로 하황계수(河況係數)라고도 한다. 이 수치가 1에 가까우면 하황이 양호한 것이고 수치가…
    3) 양양 남대천의 수리(水利) 이용 (1) 보(洑)의 설치 및 이용 보(洑)란 하천에서 관개용수를 수로로 끌어들이려고 수위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 둑으로 된 수리구조물이다. 조선시대 전통적인 농업 용수원의 주류는 보에 의한 것이었으며, 1935년까지만 해도 남북…
    4) 양양남대천 하류(下流)의 변화 하천의 하류는 사행천(蛇行川)이기에 홍수 등의 영향으로 수시로 변경되었지만 지금은 인공구조물과 튼튼한 제방, 직강화(直江化) 등으로 옛 모습을 잃었다. 양양남대천의 하구는 그 어느 때보다도 큰 변화를 겪고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양양남대천을 정리하면서 삼국시대에서 고려에 이르기까지의 기록을 거의 찾지 못하였다. 이 시기의 기록으로는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산1번지의 우통수(于筒水)에 대한 고려 충열왕 7년(1281)의 기록이 유일하다.73) 조선시대에도 각종 지리지에는 부에서의 거리 정도만…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