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산사 시문

낙산사 시문 목록
    ○ 낙산사 공납의 감소와 몰기의 시행에 대한 서정수의 장계. 원춘도 관찰사(原春道觀察使) 서정수(徐鼎修)의 장계에 이르기를, “국초(國初) 양양(襄陽)의 낙산사(洛山寺)에서 배와 미역을 명례궁(明禮宮)에 바치는 일이 있었으나 배나무와 미역밭이 지금 남아 있는…
    ○ 1631년 崇禎(明/毅宗) 4년 13일부터 15일까지 襄陽에 盲風이 크게 불어 五峯山 뒤에 큰불이 나서 洛山寺 등이 延燒되었다는 江原監司의 서목규장각 江原監司書目, 襄陽呈, 本月十三日始, 十五日至, 盲風大作, 五峯山後, 大火自出, 洛山寺及民家·海尺家, 竝一…
    ○ 양양(襄陽)의 낙산사(洛山寺)에서 생리(生梨)와 감곽(甘藿)을 해마다 바치는 것에 대해 특별히 감해 주라고 명하였다. 우승지 서정수가 아뢰기를, “옛날 국초(國初)에 양양의 낙산사에서 생리와 감곽을 명례궁(明禮宮)에 해마다 바치던것이 있었습니다. 듣자 하…
    ○ 1479년 명 성화(成化) 15년 대사간 성현 등이 건의한 중 학열과 홍지의 처벌을 불허하다.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 성현(成俔) 등이 차자(箚子)를 올리기를, “신 등이 엎드려 듣건대 사헌부(司憲府)에서 근래에 중 홍지(弘智) 등의 불법(不法)한일…
    ○ 1785년 청 건륭(乾隆) 50년 낙산사 공납의 감소와 몰기의 시행에 대한 서정수의 장계. 원춘도 관찰사(原春道觀察使) 서정수(徐鼎修)의 장계에 이르기를, “국초(國初) 양양(襄陽)의 낙산사(洛山寺)에서 배와 미역을 명례궁(明禮宮)에 바치는 일이 있었으나 …
    ○ 1631년 崇禎(明/毅宗) 4년 13일부터 15일까지 襄陽에 盲風이 크게 불어 五峯山 뒤에 큰불이 나서 洛山寺 등이 延燒되었다는 江原監司의 서목 강원 감사의 서목은, 양양(襄陽)에서 “이달 13일부터 시작하여 15일까지 맹풍(盲風)이 크게 불어 오봉산(五峯…
    ○ 불우. 낙산사(洛山寺) 오봉산에 있다.   신라 중 의상(義相)이 지은 것이다. 대웅전 위에 전단관음상(栴檀觀音像) 하나를 봉안하고 대를 이어 높이 받들었는데, 영험이 있었다. 우리 세조(世祖)가 이 절에 행차하였 다가, 전사(殿舍)가 비좁고 누추하다 하여…
    ○ 비(妃) 경순왕후(敬順王后) 박씨는 본관이 문주(文州)이고, 원조(元朝)의 천호(千戶)이며, 본조의 증 문하시중(贈門下侍中) 안변부원군(安邊府院君) 광(光) 박씨 족보에는 이름을 한보(韓甫)라 하였다. 의 딸이다. □□ 7월 23일에 승하하였다. 태조가 경비(敬…
    ○ 양양부의 바다 속에서 돌 두개가 나와 의상대 아래에 가로 눕다 강원도 관찰사 박동량(朴東亮)이 치계하였다. “양양부(襄陽府)에 돌 두 개가 바다속에서 나와 의상대(義湘臺) 아래에 가로 누워 있습니다. 전에는 해변에 노출된 돌이 푸르기도 하고 검기 도 하며…
    윤휴, 숙종, 정조, 최자, 김부의, 김극기, 유자량, 이곡, 이정형, 김시습, 허균, 이규보, 김구, 이유원, 남효온, 임춘, 이식, 최유해, 변계량, 황경원, 성현, 송시열, 홍인우, 휴정, 김창협, 조엄, 심언광, 최립, 선수, 채지홍, 허목, 정두경, 이색,…
    ○ 『풍악록(楓岳錄)』 백호(白湖) 윤휴(尹鑴) 45) 1672(임자) 윤7월 24일(정유) 맑음. 아침에 배와 대추 등 과일을 사당에다 차려놓고풍악(楓岳)으로 다녀오겠다는 뜻을 고하였다. 그리고 출발하여 통제사(統制使) 외숙 댁에 도착하였다. 내가 가…
    17일(기미) 맑음. 나도 재계가 끝났고 대옥도 제소(祭所)에서 돌아왔다. 나더러 동해신묘비문(東海神廟碑文)을 지으라고 하고 서로 손을 잡고 작별을 고했는데, 그날 모두한번 실컷 즐기고 싶었으나 마침 관사(官事)가 바빠 부득이 서둘러 돌아가야 했기에 간성 군수 윤군…
    壬子閏七月丁酉. 晴. 朝薦梨棗于廟. 告楓岳之行. 遂發行. 至統制舅氏家. 余之所携者. 唯韋 篇二日箚一. 一行行李皆舅氏治之. 富平舅氏亦至. 戒余以涉遠淹留. 與統制舅氏偕發. 出東 小門. 秣馬于樓院. 逢過僧德明者. 此僧蓋曾遊楓嶽者. 略說楓嶽之勝槪. 晩至楊州邑內. 舅氏往見楊…
    ○낙산사제영(洛山寺題詠) 숙종어제시(肅宗御製詩) 46) 상쾌하게 올라 남쪽 낙가봉 바라보니 快登南望洛迦峰 바람은 구름 걷어 달빛만 짙구나 風捲纖雲月色濃 관음보살의 원통한 이치 깨닫고 싶은데 欲識圓通大聖理 때로는 파랑새 꽃 물고 사람 맞이하러 오는구나…
    ○낙산사제영(洛山寺題詠) 정조어제시(正祖御製詩) 47) 취봉문 절강의 물결 마주하고 鷲峰門對浙江潮 비껴 흘러 돌다리 띄우려 하네 直欲橫流泛石橋 밤은 고요하고 달 밝은데 수님 들어와 자리 정하고 夜靜月明僧入定 하늘로 솟은 측백나무 그림자만 하늘거리는 …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