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 시문

설악산 시문 목록
    ▪ 유설악기(遊雪嶽記)    내재(耐齋) 홍태유(洪泰猷)  인제현으로부터 동북쪽으로 30리 가서 삼차령에 도착했다. 고개를 넘어가니 바로 골짜기가 매우 깊다. 양쪽 산은 벼랑처럼 서 있고 나무는 빽빽하고 숲은 울창했다. 아래서 하늘을 보니 겨우 베 한 …
    ▪ 유설악록(遊雪嶽錄) 칠암(七巖) 김몽화3)(金夢華) 정미년(1787) 강원도 관찰사 김재찬, 인제군수 오원모.  설악산은 양양과 인제 경계에 있고 뛰어난 우리나라의 명산이다. 내가 양양의 태수로 온 다음해 봄 농촌과 산촌 사이를 순시 가서 한…
    ▪ 신라의 석각(羅麗石刻) 청장관(靑莊館) 이덕무(李德懋)  사집 성대중(成士執大中: 사집은 대중의 자)이 일찍이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사설(僿說)』중에 기록된 고비(古碑)의 기록들을 내가 영남(嶺南)의 고적(古蹟)을 부탁한 적이 있었다. 다음…
    ▪ 숭엄산(崇嚴山) 성주사(聖住寺)의 고(故) 양조(兩朝)국사  마곡의 법을 이었으며 호는 무염(無染)이고 경주사람이다. 속성은 김씨이다. 무열(武烈)대왕의 9세손이다. 조부의 이름은 주천(周川)이고, 품의는 진골이었다. 벼슬은 한찬(韓粲)에 이르렀다. 고…
    ▪ 무염 스님 비명, 병서. 하교를 받들어 짓다. 이하 동일하다 (無染和尙碑銘 竝序 奉教撰 下同)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당나라(昭宗, 888년, 11월)가 무력으로 황소의 난을 멸망시켰다. 천자가 연호를 문덕(文德)으로 고친 해가 11…
    「無染和尙碑銘」 竝序奉 敎撰下同 帝唐揃亂以武功. 乾符戊戌. 滅黃巢. 易元以文德之年. 暢月. 仲冬曰暢月 月缺之七日. 日蘸咸池時. 咸池星在紫微內垣天潢傍. 卽未時. 海東兩朝國師禪和尙. 盥浴已. 趺坐示滅. 新羅眞聖主二年十一月十七日. 國中人如喪左右目. 矧門下諸弟子乎. …
    ▪ 기관동산수(記關東山水)         성해응(成海應) 한계. 한계는 설악산 서쪽에 있다. 남계역에서 아래로 흘러 고원통을 지나서 한계사로 들어간다. 모랫길과 소나무 숲은 금강산의 장안동 입구와 비슷하다. 또 골짜기를 나와 시내를 따라 동쪽으로 가…
    ▪ 유한계록(遊寒溪錄)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 을해년(1575)   내가 양양 부사로 있을 때, 최도경과 배경부, 두아들려와 할과 함께 한계산를 유람하기로 하였다. 현산성(峴山城)으로부터 향현(香峴)을 넘어 한계령에서 말을 쉬게 하였다. …
    ▪ 동행기(東行記)   삽교(霅橋) 안석경5)(安錫儆) 기해(5월 1일)  아침 일찍 환허대사 신규가 작별 인사를 하였다. 말이 자못 정성스러웠다. 유평부(幼平賦) 한 수를 지어 먼저 주기에 나도 차운하여 화답하였다. 20리를 걸어 간성군의 청사…
    ▪ 설악일기(雪岳日記)     삼연(三淵) 김창흡6) (金昌翕) 8월 24일 맑음.  인제로 가려고 아침을 먹은 후 가묘(家廟) 및 큰 형님(김창집)에게 절하여 작별하였다. 둘째 형님(김창협)은 동문에서 지나면서 멀어졌다. 오후에 석곶(石串)을…
    ▪ 유봉정기(遊鳳頂記)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내가 금강산에서 영시암으로 돌아왔다. 둘째 아들 치가 한양에서 인사하러 들렸다. 윤화숙 또한 함께 와서 묵었다. 조석으로 우거진 정자와 훤한 누대 사이에서 노닐며 단풍의 엷고 깊음을 평하고 봉…
    ▪ 유풍악기(游楓嶽記)    검재(儉齋) 김유7) (金庾)  약혼한지 오래되어 응교(應敎) 李海朝가 기축년(1907. 2)봄에 양양부사로 도임하여 함께 갔다. 납폐의 약속이 오월 초였다.  나는 사사로이 서로 상례의 일(禮訟)을 논하였는데 임금을 헐뜯…
    ▪ 연계기정(燕薊紀程) 무자년(1828, 순조 28) 11월 5일   박사호(朴思浩) 맑음. 머물렀다. 세 사신은 징청각(澄淸閣)에서 중국에 보낼 문서를 확인하였고, 집에서 편지가 왔다.  연광정에 제일강산이라는 4자를 쓴 편액이 걸려 있는데 금릉(…
    ▪ 영조 22년 병인(1746) 10월 28일(경인) 지중추 부사 이재의 졸기  지중추 부사 이재(李縡)가 졸(卒)하였다. 이재의 자는 희경(熙卿)이요, 본관은 우봉(牛峯)이니, 고 상신(相臣) 이숙(李䎘)의 손자였다. 품성이 맑고 순수하며 어려서부터 문장…
    ▪ 영조 즉위년 갑진(1724) 12월 27일(병신) 맑음 진수당(進修堂)에서 소대하는 자리에 동지경연사 이세최(李世最) 등이 입시하여 『자치통감강목』을 진강하고, 영동(嶺東)에서 해동청(海東靑)을 바치는 폐단 등을 논의하였다 사시(巳時)에 상이 진수당(進修…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