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문화원소개
- 인사말
- 연혁
- 조직현황
- 주요사업
- 주요시설
- 오시는 길
역사문화
- 양양의 역사
- 양양의 인물
- 양양의 민속
- 양양의 지명유래
-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 양양의 국가유산
- 양양10경
자료실
- 「양양문화」
- 발간서적
- 양양군지
- 발행도서목록
- 학술토론회
-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 문화학교 안내
-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 양양문화제
- 주요행사
-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 문화원소식
- 문화원행사
- 문화갤러리
- 문화영상
- 질문답변
- 기부금공개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문화원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현황
주요사업
주요시설
오시는 길
역사문화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자료실
「양양문화」
발간서적
양양군지
발행도서목록
학술토론회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문화학교 안내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양양문화제
주요행사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문화원소식
문화원행사
문화갤러리
문화영상
질문답변
기부금공개
관리자
역사문화
문화원소개
역사문화
자료실
문화학교
양양문화제
문화마당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역사문화
양양의 인물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인물을 소개합니다.
Total 549건
41 페이지
게시판 검색
69
○ 조학원(趙學元)(1985~1948년)
○ 조학원(趙學元)(1985~1948년) 관향은 한양이며 현남면 포매리 태생이다. 한말에 측량기술을 닦고 일정 세부측량 때 주사직으로 측량에 종사하였다. 현남면 제3대 면장인 조종인의 장남으로 제5대 현남면장으로 등용되어 면정에 치적을 올렸다. ..
Read More
68
○ 진묵대사(震黙大師)(1562~1633년)
○ 진묵대사(震黙大師)(1562~1633년) 이름은 일옥(一玉)이며 만경불거촌(萬頃佛居村) 사람으로 7세에 전주 봉서사(鳳棲寺)에서 중이 되었다. 봉곡(鳳谷) 김동준(金東準)과 우의가 깊었고, 변산(邊山)의 명월사(明月寺), 전주의 원등사(遠燈寺)·대원사(大元寺) 등에 있었으며 이적을 많이 했다. 머리가 좋고 술도 잘 ..
Read More
67
○ 채팽윤(蔡彭胤)(조선)
○ 채팽윤(蔡彭胤)(조선) 조선중엽의 양양부사로 정사에 탁월하고 문교(文敎)를 진흥시켜 매년 호시절에 청년을 동반하고 학사(學舍)․관루(官樓) 같은 곳에서 글을 짓고 동해신묘를 중수하고 선정하였으므로 현산공원에 선정비가 세워져 있다. 대제사(大堤詞)를 지어서 작곡하였고 문형(文衡)이라는 벼슬까지 했다...
Read More
66
○ 최경추(崔瓊秋)
○ 최경추(崔瓊秋) 관향은 강릉이며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독학하여 교사고시에 합격하여 초등교육에 종사하고 군정 때에는 양양군 장학사로 활약하였고 양양․광정․고성군지역 학교장을 역임하였다. ..
Read More
65
○ 최관식(崔觀植)
○ 최관식(崔觀植) 관향은 강릉이며 손양면 태생이다. 동생 항식(恒植)과 함께 하늘이 낸 쌍효(雙孝)라고 칭하여 왔다. 그 모친은 조사하고 그 부친이 오랫동안 병석에 있을 때 하늘을 우러러 내가 아버지를 대신하여 죽겠다고 기원하였고 부친이 황어회를 즐겨함으로 얼음을 깨고 황어를 잡아서 공양도 하여 왔다. 백약이 무효로 ..
Read More
64
○ 최광모(崔光模)
○ 최광모(崔光模) 관향은 강릉이며 호는 송암(松菴)이다. 제정공용소(齊貞公龍蘇)의 손으로 문학이 탁월하고 박학하며 특히 주서(注書)에 익숙하다. 헌종 때 참봉에 봉하였으나 받지 않고 향상(鄕庠)에서 람전향약례(籃田鄕約例)를 지어 그 유고를 남겼다. ..
Read More
63
○ 최기박(崔基鉑)
○ 최기박(崔基鉑) 관향은 미상이며 자는 자무(子武)이고 호는 동명(東溟)이다. 선조 32년 기해(1599년)에 문과에 급제. 명종 13년 무오(1558년)에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가 되었다. 광해조에 폐모반대상소를 올렸으나 저지당하여 향리에 돌아갔다. 인조 때에 다시 소징하였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
Read More
62
○ 최근하(崔近夏)
○ 최근하(崔近夏) 관향은 강릉이며 손양면 학포리 태생이다. 문필이 출중하고 오랫동안 면서기로 종사했다.
Read More
61
○ 최달태(崔達泰)
○ 최달태(崔達泰) 관향은 강릉이며 자는 달도(達道)이고 호는 도제(道濟)이다. 상오(相五)의 아들로 계사에 진사 계묘문과정원지제교를 거쳐 현감에 이르렀다. 문장에 경학이 최저(最著)하고 더욱 역학에 정통하였다.(문사청려우정역리 : 文詞淸麗尤精易理) ..
Read More
60
○ 최도명(崔道鳴)
○ 최도명(崔道鳴) 관향은 강릉이며 자는 백겸(伯謙)이고 호는 쌍호(雙湖)이다. 사예기백(司藝基佰)의 증손 참봉 숙종 21년 을해(1695년) 조정에서 경학이 높다하여 효릉참봉(孝陵參奉)에 별천하였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쌍호정(雙湖亭)을 짓고 중구봉·구봉(重九峰·龜峰)에서 영풍영시(咏風咏詩)하면서 이름을 떨쳤다. 서울 ..
Read More
59
○ 최명수(崔明洙)(1923~1996년)
○ 최명수(崔明洙)(1923~1996년) 관향은 강릉이며 강현면 장산리 태생이다. 대포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8․15광복 후 월남하여 대학 졸업하고 교직에 종사하여 1952년 당년 29세에 교장으로 승진되었다. 강릉 왕산국민학교 교정에 송덕비가 세워졌으니 공의 교육애를 가히 짐작하리라. 일시 휴직하고서 사설 강현우체국을..
Read More
58
○ 최병숙(崔炳淑)
○ 최병숙(崔炳淑) 서면 서림리에 거주하면서 최여사는 고 김주학(金柱鶴) 교사의 아내로서 일찍부터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고 또한 교직자의 아내로서 언행과 자녀교육에 있어 인근주민의 모범이 되었다. 애석하게도 남편 사별 후 5남매를 거느린 그는 행상을 하면서 학비를 조달하여 초등학교에서 대학까지 진학시키는 한편 매사를..
Read More
처음
이전
열린
41
페이지
42
페이지
43
페이지
44
페이지
45
페이지
46
페이지
맨끝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Home
About
Location
Top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