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문화원소개
- 인사말
- 연혁
- 조직현황
- 주요사업
- 주요시설
- 오시는 길
역사문화
- 양양의 역사
- 양양의 인물
- 양양의 민속
- 양양의 지명유래
-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 양양의 국가유산
- 양양10경
자료실
- 「양양문화」
- 발간서적
- 양양군지
- 발행도서목록
- 학술토론회
-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 문화학교 안내
-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 양양문화제
- 주요행사
-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 문화원소식
- 문화원행사
- 문화갤러리
- 문화영상
- 질문답변
- 기부금공개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문화원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현황
주요사업
주요시설
오시는 길
역사문화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자료실
「양양문화」
발간서적
양양군지
발행도서목록
학술토론회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문화학교 안내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양양문화제
주요행사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문화원소식
문화원행사
문화갤러리
문화영상
질문답변
기부금공개
관리자
역사문화
문화원소개
역사문화
자료실
문화학교
양양문화제
문화마당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역사문화
양양의 인물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인물을 소개합니다.
Total 549건
42 페이지
게시판 검색
57
○ 최봉년(崔鳳年)
○ 최봉년(崔鳳年) 관향은 미상이며 광해 2년 경술(1610년)에 무과급제하였다.
Read More
56
○ 최상오(崔相五)
○ 최상오(崔相五) 관향은 강릉이며 호는 중삼(仲三)이다. 현감 상은(相殷)의 제로서 숙종 22년 병자(1696년)에 진사 유덕(儒德)으로 명성이 높고 박호(朴灝)의 거안록(居按錄)을 중보하였다. ..
Read More
55
○ 최상은(崔相殷)
○ 최상은(崔相殷) 관향은 강릉이며 자는 탕향(湯鄕)이고 호는 동애(東崖)이다. 제둔정립(齊遯挺立)의 손으로 영조조에 사마, 숙종 22년 병자(1696년)에 문과에 급제하고 관은 정랑 해남현감(海南縣監)을 지냈고 문장이 탁월하여 문시에 특수하다. ..
Read More
54
○ 최상익(崔尙翼)(조선)
○ 최상익(崔尙翼)(조선) 숙종 8년(1682년)에 양양부사로 부임 이래 대재해가 있을 때 마다 재력을 감축하여 조난자를 구제하고 교풍(敎風)을 진작시켜 향교를 이건했다. 선정이 최우수함으로 조정에서 특별상을 수여했다. ..
Read More
53
○ 최선제(崔善濟)(1922∼2003년)
○ 최선제(崔善濟)(1922∼2003년) 관향은 강릉이며 현북면 도리 태생이다. 어려서는 신동이라 불릴 만치 명석하였으며 이웃에 있던 봉암서당(鳳巖書堂)에서 다년간 한문학만을 수학하니 모든 경서(經書)를 탐독한 유능한 한학자이자 유학자(儒學者)였다. 양양향교의 장의를 거치고 유림에서 창건한 명륜중학교(明倫中學校)의 창립..
Read More
52
○ 최영만(崔永萬)(1906∼1988년)
○ 최영만(崔永萬)(1906∼1988년) 관향은 강릉이며 호는 동헌(東軒)으로 양양읍 조산리 태생이다. 양양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성균관학원에서 한학을 수학하였다. 시문에 능한 한학자로서 서예의 대가이기도 하였다. 양양향교의 전교직을 수행하면서 유림의 선구자적 역할로 도덕사회 구현에 힘쓰셨고 양양군노인회장도 역임하였다. 조..
Read More
51
○ 최영운(崔永運)
○ 최영운(崔永運) 관향은 강릉이며 자는 순원(順元)이고 호는 경사(鏡史)이다. 철종 11년 경신(1860년)에 종정원주사(宗正院主事) 무술에 중추원의관이 되고 계묘에 용담군수 옥구군수를 지냈다. 덕행이 높고 시문 경서에 정통하고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충의를 다하였다. ..
Read More
50
○ 최영필(崔英弼)
○ 최영필(崔英弼) 관향은 강릉이며 자는 성엽(聖燁)이고 호는 절헌(節軒)이다. 창적(昌迪)의 아들로 정조 10년 병오(1786년)에 사마진사였다. ..
Read More
49
○ 최영택(崔永宅)
○ 최영택(崔永宅) 관향은 강릉으로 호는 취정(翠亭)이다. 시서문장에 능하였다.
Read More
48
○ 최영화(崔永華)哲宗(1854∼1870년)
○ 최영화(崔永華)哲宗(1854∼1870년) 관향은 강릉이며 호는 경은(耕隱)이다. 천자(天姿)가 영오(穎悟)하고 역행효재(力行孝悌)하여 향인(鄕人)의 앙시(仰視)를 받았다. 농토 없는 실경자들에게 주전승답(斗田升畓)을 저렴하게 수력분배(隨力分配)하여 자력(自力)을 배양하였고 흠덕(欽德)이 지대하여 만인의 존대를 받았다..
Read More
47
○ 최예집(崔霓集)
○ 최예집(崔霓集) 관향은 강릉이며 호는 융은(隆隱)이다. 고종 18년 신사(1881년)나아 기우헌앙(氣宇軒昻)하고 수예초군(手藝超群)하였으나 조세불숙(遭世不淑)으로 은거하면서 시주로 자위하며 세월을 보냈다. 면평의원으로 행정에도 큰 도움을 주었다. ..
Read More
46
○ 최용길(崔容吉)(1905~1979년)
○ 최용길(崔容吉)(1905~1979년) 관향은 강릉이며 현남면 입암리 태생이다. 성품이 강직하며 현남면 제9대 면장으로 1948년 8월 15일부터 1961년 4월까지 13년간 근무하면서 현남중학교 설립과 6·25한국전쟁으로 소실된 인구․임호초등학교 교사 건립 등 많은 공적을 남겼다. ..
Read More
처음
이전
41
페이지
열린
42
페이지
43
페이지
44
페이지
45
페이지
46
페이지
맨끝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Home
About
Location
Top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