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문화원소개
- 인사말
- 연혁
- 조직현황
- 주요사업
- 주요시설
- 오시는 길
역사문화
- 양양의 역사
- 양양의 인물
- 양양의 민속
- 양양의 지명유래
-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 양양의 국가유산
- 양양10경
자료실
- 「양양문화」
- 발간서적
- 양양군지
- 발행도서목록
- 학술토론회
-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 문화학교 안내
-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 양양문화제
- 주요행사
-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 문화원소식
- 문화원행사
- 문화갤러리
- 문화영상
- 질문답변
- 기부금공개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문화원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현황
주요사업
주요시설
오시는 길
역사문화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자료실
「양양문화」
발간서적
양양군지
발행도서목록
학술토론회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문화학교 안내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양양문화제
주요행사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문화원소식
문화원행사
문화갤러리
문화영상
질문답변
기부금공개
관리자
역사문화
문화원소개
역사문화
자료실
문화학교
양양문화제
문화마당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역사문화
양양의 인물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인물을 소개합니다.
Total 549건
40 페이지
게시판 검색
81
○ 조 소(趙 㮴)
○ 조 소(趙 㮴) 관향은 미상으로 자는 심원(深源)이고 호는 북제(北齊)이다. 고성군수를 지내고 대헌한천군(大憲漢川君)에 증수되었다. ..
Read More
80
○ 조신(調信)
○ 조신(調信) 신라의 중으로 신라 세규사(世逵寺)의 장사[(莊舍) : 절이 가지고 있는 농장]가 명주날리군(溟州捺李郡)에 있어 그 곳의 지장[(知莊) : 장사의 관리인]으로 파견되어 왔다. 그 고을 원 김흔공(金昕公)의 딸을 홀로 연모하여 낙산사 대비전에 여러 번 나아가 그 여자와 인연이 맺어지기를 몰래 빌었으나 그 ..
Read More
79
○ 조여경(趙汝耕)
○ 조여경(趙汝耕) 관향은 미상이며 자는 자야(子野)이고 천안군수를 지냈다.
Read More
78
○ 조 온(趙溫 : 漢陽人)
○ 조 온(趙溫 : 漢陽人) 관향은 한양이며 해월정 조인벽의 아들이다. 조선 초엽에 개국모책(開國謀策) 정사(定社) 좌명(佐命) 등 3대 공훈으로 한천부원군(漢川府院君)을 봉하였고 벼슬이 좌찬성(左贊成)에 이르렀다. 훈공으로서 재물을 득한 것을 어려운 사람에게 나누어주고 자기는 초려수간에서 극빈한 생활을 하여 세인이 공..
Read More
77
○ 조운호(趙雲昊)
○ 조운호(趙雲昊) 관향은 풍양이며 서면 태생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부모 병환 시에는 기특하게도 젖도 먹지 않고 울지도 않았다. 그가 성장하였을 때 하룻밤 홀연히 범이 방에 돌입하여 부친을 물고 달아나므로 쫓아가 꼬리를 잡고 따라가며 나를 대신 물어가라고 외쳤다. 산 밑에 이르렀을 때 한 노인이 범을 쫓고..
Read More
76
○ 조유벽(趙裕壁)
○ 조유벽(趙裕壁) 관향은 풍양으로 현남면 사람으로 심지가 강직하고 성품이 온후하여 면민들이 흠앙하였다. 조선말기에 원전결(元田結 : 완전한 밭)과 화속결(火粟結 : 새로 개간한 밭)을 구분 세금을 부과하여 왔다. 그런데 수세관리가 현지답사하여 세액을 정하는데 친불친(親不親)과 부민과 천민에 의하여 세액이 불균형하였다...
Read More
75
○ 조인벽(趙仁壁)
○ 조인벽(趙仁壁) 관향은 한양이며 고려 검교밀직부사 용성군(檢校密直副使 龍城君) 돈(暾)의 아들로서 공민왕조(恭愍王朝)에 부친을 따라 동북면(東北面) 병마사(兵馬使) 유인우군(柳仁雨軍)에 속하여 쌍성(雙城)회복의 공이 있었고 또 전공도 크며 조선 태조대왕의 매부이다. 공민왕조 판위(判尉) 의덕부사(懿德副使)를 배하고 ..
Read More
74
○ 조종린(趙鍾隣)(1868~1948년)
○ 조종린(趙鍾隣)(1868~1948년) 관향은 한양이며 현남면 포매리 태생이다. 한국시대에 직강(直講)으로(제3대 현남면장) 권농에 힘쓰고 근검력행시범하여 면치에 공로가 많았다. 장남 학원, 4남 돈원도 현남면장을 역임한 면장가문이다. ..
Read More
73
○ 조종저(趙宗著)(조선)
○ 조종저(趙宗著)(조선) 조선중엽의 양양부사로 교육에 치중하고 교풍을 진흥시켜 우수한 인재를 많이 냈으므로 흥학비(興學碑)와 선정비를 건립했다. ..
Read More
72
○ 조진상(趙鎭常)(조선)
○ 조진상(趙鎭常)(조선) 헌종 임인(1842년) 12월에 부임하고 헌종 병오(1846년) 12월에 영체(寧遞)하였다. 부임하여 읍의 돈을 갚지 못해 근심 걱정하는 백성들의 아픈 마음을 성심으로 영문에 알려 천석의 곡식을 감하니 한 고을 주민들이 은혜에 감복하여 송덕비를 세웠다. ‘래읍지전환심위민막성심론보영문감천곡수일..
Read More
71
○ 조진환(趙振煥)(1943~2008년)
○ 조진환(趙振煥)(1943~2008년) 관향은 한양이며 현남면 동산리 태생이다. 경희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양양군 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강직하고 친화력이 있어 동료들과 가까이 지냈다. 1995년 5월 8일부터 1998년 11월 30일까지는 현북면장 1998년 10월 1일부터 2001년 11월 30일까지는 양양읍장을..
Read More
70
○ 조창교(趙昌敎)
○ 조창교(趙昌敎) 관향은 한양이며 양렬공인벽(襄烈公仁壁) 후손으로 순조 27년 정해(1827년)에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입격 찰방도사장령(察訪都事掌令)과 교리를 지내고 통훈대부 사간원정언에 이르렀다. ..
Read More
처음
이전
31
페이지
32
페이지
33
페이지
34
페이지
35
페이지
36
페이지
37
페이지
38
페이지
39
페이지
열린
40
페이지
다음
맨끝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Home
About
Location
Top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