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역사문화
  • 양양의 인물
  •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인물을 소개합니다.

    Total 549건 9 페이지
    • 453
      ○ 김세환(金世煥)
      ○ 김세환(金世煥) 관향은 경주이며 강현면 금풍리 태생으로 구명은 김석준이다. 강원도사범학를 졸업하고 교사로 근무 중 속초에서 해사를 하기도 하다가 광복 후 서울시 장학사로 행정수완을 발휘하고 인천국민학교장을 지냈다. ..
      Read More
    • 452
      ○ 김수영(金壽永)
      ○ 김수영(金壽永)[명종(明宗) 10년 을묘(1555년) 3월 29일자 명종실록에 실려 있다.] 세종 때 충순위(忠順衛)였던 김공은 부모가 돌아가자 몹시 슬퍼하여 뼈만 남았었지만 채소와 과일도 먹지 않고 3년간 죽만 먹었으며, 또 스스로 하늘에 맹세하는 글 132자를 지어 자기 손으로 좌우무릎에 자자(刺字)하였다. 이러..
      Read More
    • 451
      ○ 김수형(金秀珩)
      ○ 김수형(金秀珩) 관향은 경주이며 현북면 태생이다. 어려서부터 효경이 비범하여 이웃에서 어떤 좋은 음식이 생기면 싸가지고 집에 돌아와 부모에게 먼저 받혔다. 결혼 후에는 처 김씨와 함께 어머니를 극진히 모셨다. 본래 집이 빈한하여 쌀을 구하러 영서에 갔다 돌아오는 도중 한시바삐 부모님께 쌀밥을 대접하고자 하는 초조한 ..
      Read More
    • 450
      ○ 김수형 처 강릉최씨(金秀珩 妻 江陵崔氏)
      ○ 김수형 처 강릉최씨(金秀珩 妻 江陵崔氏) 현북면에 거주하며 부인 강릉최씨는 시부모에 효행이 지극하였다. 그 부친병환 시에 손가락을 잘라 주혈 하여 회생하였으나 다시 병들어 사망하였다. 따라서 죽으려 하였으나 참고 오직 남은 분들에게 더욱 효행을 다하였으며 조발세면(調髮洗面)도 하지 않고 3년간을 지냈다. 따라서 효열..
      Read More
    • 449
      ○ 김순봉(金順奉)(1914~1987년)
      ○ 김순봉(金順奉)(1914~1987년) 관향은 김해이며 현북보통학교를 나와 어법에 종사하면서 양양군수협창설에 기여하였으며 수협창설 후 1966~1975년까지 1․2․3대 수협장을 역임하며 조합원들의 화합과 초창기 수협의 기틀을 잡는데 공헌하였다. ..
      Read More
    • 448
      ○ 김성제(金聖濟)
      ○ 김성제(金聖濟) 관향은 경주이며 현산학교 교사로서 한문과 수학을 전담하여 한말 인재양성에 힘을 다하였다. 천품이 쾌활하고 두뇌가 명석하여 산학통편(算學通編)에 능숙하고 만년에는 한의로서 사회사업에 공헌하였다. ..
      Read More
    • 447
      ○ 김세준(金世準)
      ○ 김세준(金世準) 관향은 김해이며 자는 정숙(正淑)이다. 가락국수로왕 후손으로 사마방에 입격하고 연산 7년 신유(1501년)에 생원에 중종 원년 병인(1506년)에 금오랑(金吾郞)에 통정대부 승정원승지, 중종 2년 정묘(1507년)에 정난공신(靖難功臣)에 봉하였으나 그 후 대계(臺啓 : 사헌부․사간원에서 유죄로 인정되..
      Read More
    • 446
      ○ 김세환(金世煥)
      ○ 김세환(金世煥) 관향은 강릉이며 구명은 김석준(金錫俊)이다. 강현면 금풍리에서 태어나 양양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24년 강원도사범학교 입학하여 졸업 후 속초 영랑 유천 안변 각 학교를 거쳐 광복 후 서울시장학사를 지내고 부평국민학교 등 몇 학교교장을 역임, 5척단구로 담대하고 점착력성격(粘着力性格)으로 사교술에 능하..
      Read More
    • 445
      ○ 김시배 처 김씨(金時培 妻 金氏)
      ○ 김시배 처 김씨(金時培 妻 金氏) 남편의 병이 낫기를 하늘에 지성으로 기도하였으나 끝내 사망하기에 이르러 같이 묻히기를 꾀하였으나 어린 아이가 있어 뒤를 이어가야 할 생각으로 참고 견디며 시아버지를 극진히 공양하여 효성을 다하였다. 아이 교육에 정성을 기울였으므로 유도회에서 부덕을 찬양하여 표창하였다...
      Read More
    • 444
      ○ 김양진(金羕鎭)(1907~1950년)
      ○ 김양진(金羕鎭)(1907~1950년) 본관은 연안이며 양양 태생이다. 한의원을 경영하면서 1947년부터 1949년에 걸쳐 혹독한 공산치하에서도 지하조직을 만들어 주모자로서 북한의 각 기관의 정보를 탐지하여 남한의 서북청년단 및 군정보당국에 제보하다 체포되어 아오지 탄광에서 생을 마쳤다. ..
      Read More
    • 443
      ○ 김 연(金 演)(조선)
      ○ 김 연(金 演)(조선) 숙종 정축(1697년)에 부임 이래 세궁민(細窮民)을 구제하고 장학에 힘쓰고 현북면 면옥치리 지역을 향교에 이속(移屬)하니 백성이 선정비를 세웠다. 그의 문장이 특출하였다. ..
      Read More
    • 442
      ○ 김영경(金永卿)(1869~1965년)
      ○ 김영경(金永卿)(1869~1965년) 관향은 강릉이며 호는 취암(翠庵)이다. 시문에 능하고 한학이 풍부하며 손양면장과 평의원 등 경제계에 봉사하여 명성이 높았다. ..
      Read More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