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문화원소개
- 인사말
- 연혁
- 조직현황
- 주요사업
- 주요시설
- 오시는 길
역사문화
- 양양의 역사
- 양양의 인물
- 양양의 민속
- 양양의 지명유래
-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 양양의 국가유산
- 양양10경
자료실
- 「양양문화」
- 발간서적
- 양양군지
- 발행도서목록
- 학술토론회
-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 문화학교 안내
-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 양양문화제
- 주요행사
-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 문화원소식
- 문화원행사
- 문화갤러리
- 문화영상
- 질문답변
- 기부금공개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문화원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현황
주요사업
주요시설
오시는 길
역사문화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자료실
「양양문화」
발간서적
양양군지
발행도서목록
학술토론회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문화학교 안내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양양문화제
주요행사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문화원소식
문화원행사
문화갤러리
문화영상
질문답변
기부금공개
관리자
역사문화
문화원소개
역사문화
자료실
문화학교
양양문화제
문화마당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역사문화
양양의 인물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인물을 소개합니다.
Total 549건
8 페이지
게시판 검색
465
○ 김상우 처 정선전씨(金商祐 妻 旌善全氏)
○ 김상우 처 정선전씨(金商祐 妻 旌善全氏) 전씨의 열녀각은 손양면 상운리에 있다. 대양의 파도소리가 사시 들려오고 상운벌을 앞에 둔 아담한 이 마을 산중턱에 아름다운 미덕을 간직한 열녀각이 서있다. 이 열녀각의 유래인즉 경주 김공 규경씨가 젊은 나이에 병고로 신음하며 고생하였다고 한다. 부인 전씨는 양양에서 자라..
Read More
464
○ 김석만(金錫滿)(1918~1988년)
○ 김석만(金錫滿)(1918~1988년) 관향은 경주이며 인구초등학교를 졸업하고 한학 공부를 하였다. 현남면 갑부로서 많은 전답을 어려운 농가에 소작토록 하였으며 제1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현남면 의용소방대장, 양양군유도회지부장을 역임하면서 지역발전에 공헌한바 있다. ..
Read More
463
○ 김선남(金先南)(1931~1997년)
○ 김선남(金先南)(1931~1997년) 관향은 강릉이며 현남면 원포리 태생이다. 6·25한국전쟁에 참전한 공병장교로 중위로 예편하여 1968년부터 1970년까지 현남면 예비군 제2대중대장으로 역임하며 1968년 울진무장공비 침투로 현남면 두리에서 무장공비 1명을 사살하는 전공을 세운 당시 중대장이었다. ..
Read More
462
○ 김선배(金善培)
○ 김선배(金善培) 관향은 김해이며 성품이 너그럽고 예의겸양의 덕을 구비하였으며 상하간에 친근화목하여 남을 존대하는 대인감이 좋고 호변의 재간과 능담을 좋아하며 시률에도 장하고 팔도강산을 편답하며 교우와 시문을 논하였다. ..
Read More
461
○ 김성기(金聖基)(1881~1944년)
○ 김성기(金聖基)(1881~1944년) 관향은 연안이며 호는 의헌(毅軒)이다. 손양면 우암리 태생으로 한학자이다. 사서삼경을 천독하고 혹한과 혹서에도 화로와 부채를 사용치 않았다. 언약을 중히 여기고 배일사상이 농후하여 일제품을 외면하였다. 서당을 개설하여 한학에 힘쓰고 영농기술에도 뛰어났다. 부친 운명 시 단지주혈하..
Read More
460
○ 김성래(金聲來)(1900~1979년)
○ 김성래(金聲來)(1900~1979년) 관향은 김해이며 현남면 북분리 태생으로 한학을 배우다가 양양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경찰관이 되어 호평을 받았다. ..
Read More
459
○ 김성렬(金聖烈)
○ 김성렬(金聖烈) 관향은 경주이며 현산학교를 마차고 다년간 양양면장을 지냈다. 그 치적은 훌륭하였었다.
Read More
458
○ 김성서(金聖瑞)
○ 김성서(金聖瑞) 관향은 경주이며 현북면 태어나 한일합병의 치욕에 양양사람으로는 맨 먼저 의병에 가담하여 한국남아의 의기를 발휘하였다. 항일의식과 애국충렬이 강열한 공은 모병장 이강년(李康年)과 더불어 각지에서 치열한 전투를 하고 사력을 다하여 항쟁하니 일병도 손을 쓰지 못하고 패주했다. 명주군 연곡면지구 전투가 가장..
Read More
457
○ 김성서(金聖瑞)
○ 김성서(金聖瑞) 관향은 경주이며 일찍이 항일의식이 강하고 의병장 이강년과 더불어 각지에서 전투하고 항쟁하였다. 연곡지구에서 일군(日軍)과 싸우다가 부상된 것을 연곡 홍진사(洪進士)의 기별로서 그 자제들이 업고 왔다가 연곡리에서 종신하고 명지리 장지에 모셨다. 현재 현산충혼탑에 그 신위가 진좌하여 호국지신이 되었다. ..
Read More
456
○ 김성제(金聖濟)
○ 김성제(金聖濟) 관향은 경주이며 현산학교 교사로서 한문과 수학을 전담하여 한말 인재양성에 힘을 다하였다. 천품이 쾌활하고 두뇌가 명석하여 산학통편(算學通編)에 능숙하고 만년에는 한의로서 사회사업에 공헌하였다. ..
Read More
455
○ 김세준(金世準)
○ 김세준(金世準) 관향은 김해이며 자는 정숙(正淑)이다. 가락국수로왕 후손으로 사마방에 입격하고 연산 7년 신유(1501년)에 생원에 중종 원년 병인(1506년)에 금오랑(金吾郞)에 통정대부 승정원승지, 중종 2년 정묘(1507년)에 정난공신(靖難功臣)에 봉하였으나 그 후 대계(臺啓 : 사헌부․사간원에서 유죄로 인정되..
Read More
454
○ 김세환(金世煥)
○ 김세환(金世煥) 관향은 강릉이며 구명은 김석준(金錫俊)이다. 강현면 금풍리에서 태어나 양양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24년 강원도사범학교 입학하여 졸업 후 속초 영랑 유천 안변 각 학교를 거쳐 광복 후 서울시장학사를 지내고 부평국민학교 등 몇 학교교장을 역임, 5척단구로 담대하고 점착력성격(粘着力性格)으로 사교술에 능하..
Read More
처음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6
페이지
7
페이지
열린
8
페이지
9
페이지
10
페이지
다음
맨끝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Home
About
Location
Top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