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문화원소개
- 인사말
- 연혁
- 조직현황
- 주요사업
- 주요시설
- 오시는 길
역사문화
- 양양의 역사
- 양양의 인물
- 양양의 민속
- 양양의 지명유래
-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 양양의 국가유산
- 양양10경
자료실
- 「양양문화」
- 발간서적
- 양양군지
- 발행도서목록
- 학술토론회
-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 문화학교 안내
-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 양양문화제
- 주요행사
-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 문화원소식
- 문화원행사
- 문화갤러리
- 문화영상
- 질문답변
- 기부금공개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문화원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현황
주요사업
주요시설
오시는 길
역사문화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자료실
「양양문화」
발간서적
양양군지
발행도서목록
학술토론회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문화학교 안내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양양문화제
주요행사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문화원소식
문화원행사
문화갤러리
문화영상
질문답변
기부금공개
관리자
역사문화
문화원소개
역사문화
자료실
문화학교
양양문화제
문화마당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역사문화
양양의 인물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인물을 소개합니다.
Total 549건
18 페이지
게시판 검색
345
○ 노병원(盧炳源)
○ 노병원(盧炳源) 관향은 광주이며 서면 용천리 거주하였다. 한학과 시문에 이름을 날렸으며 신망이 높아 서면장을 10년간 역임했다. ..
Read More
344
○ 노병종(盧炳宗)
○ 노병종(盧炳宗) 관향은 광주이며 한문과 시문에 능하고 서면장을 지냈다.
Read More
343
○ 노병태(盧炳泰)(1862∼1933년)
○ 노병태(盧炳泰)(1862∼1933년) 관향은 광주이며 서면 북평리 태생으로 한학과 시문에 이름이 높았고 일제강점 후 10년간 서면장을 지냈다. ..
Read More
342
○ 노서린(魯瑞麟)
○ 노서린(魯瑞麟) 노(魯)효자는 군리(軍吏)로서 숭덕(崇德) 3년 무인(戊寅)에 부친이 중병 때 백약이 무효하여 운명직전에 손가락을 잘라 수혈하니 아버지가 회생하였다. 효성이 지극함에 감사의 주청으로 숙종조(肅宗朝)에 정각(旌閣)을 내려 표창하였다. ..
Read More
341
○ 노 완, 효(盧 玩, 涍)(1795∼1865년), 임수(恁秀)(1841∼1920년)
○ 노 완, 효(盧 玩, 涍)(1795∼1865년), 임수(恁秀)(1841∼1920년) 관향은 광주이며 완(玩)의 자는 사연(士淵)이고 호는 운곡(雲谷)이다. 효(涍)의 자는 명거(溟擧)이고 호는 석암(石庵)이다. 임수(恁秀)의 자는 성신(聖信)이고 호는 석초(石樵)이다. 玩공은 헌종 14년 무신(1848년)에 사마진사..
Read More
340
○ 노용수(盧龍秀)(1802∼1852년)
○ 노용수(盧龍秀)(1802∼1852년) 관향은 광이며 3·1운동 때에 독립만세를 부르다가 체포되어 1년간의 옥고를 치렀다. 극심한 옥형으로 조사하였다. ..
Read More
339
○ 노재철(盧在澈)(1906∼1976년)
○ 노재철(盧在澈)(1906∼1976년) 관향은 광주이며 호는 만오(晩梧)이다. 한학이 풍부하여 시문에 능하고 극진히 효도하며 유교의 대가로 전교를 지성으로 집행하여 이름이 높았다. ..
Read More
338
○ 노재흥(盧在興)(1907∼1962년)
○ 노재흥(盧在興)(1907∼1962년) 관향은 광주이며 한문을 수학하고 양양보통학교를 졸업 후 농업에 종사한 관후한 인물이었다. 1950년 수복 후 양양면장을 역임하였으나 모함과 오해로 많은 고초를 받았다. ..
Read More
337
○ 노중경(盧重慶)
○ 노중경(盧重慶) 관향은 광주이며 자는 산여(山如)이다. 안정(安鼎)후예로 순조 5년 을축(1805년)에 문과에 급제하고 병조좌랑을 지냈다. ..
Read More
336
○ 노택경 처 강릉최씨(盧宅慶 妻 江陵崔氏)
○ 노택경 처 강릉최씨(盧宅慶 妻 江陵崔氏) 손양면에 거주하며 노씨댁에 출가하여 시부모를 섬기는데 효성이 지극하였다. 남편이 병이 들자 하늘을 우러러 대신 죽겠다고 기도를 하였으나 백약이 무효로 3차례나 손가락을 잘라 주혈 하여 잠시 회생하였다가 사망하였다. 눈물로 한탄하면서 5일간이나 굶어 기진맥진하므로 노인들의 권유..
Read More
335
○ 도의국사(道義國師)
○ 도의국사(道義國師) 속성은 왕(王)씨이고 법호는 원적(元寂), 선덕왕 1년(780년)에 당나라에 가서 지장(智藏)의 제자가 되어 그 불법을 물려받고 도의라 개명하고, 821년에 귀국하여 남종선(南宗禪)을 전하였으며 마침내 서라벌을 떠나 멀고 먼 북산에 당도한 곳이 바로 부두골에 있었던 진전사(陳田寺)이며 도의국사는 ..
Read More
334
○ 동구리(同仇里)
○ 동구리(同仇里) 1460년대 양양의 관노(官奴)였다. 조선 세조 12년(1466년)에 세조대왕(世祖大王)은 정희왕후(貞憙王后), 세자와 같이 낙산사 법당에 향폐(香弊)를 드리는 불사를 행하고 동년 윤 3월 14일 장막(帳幕)안 어전(御前)에서 개최한 농가경창대회에서 양양의 관노 동구리가 가장 잘 불러 악공(樂工)의 ..
Read More
처음
이전
11
페이지
12
페이지
13
페이지
14
페이지
15
페이지
16
페이지
17
페이지
열린
18
페이지
19
페이지
20
페이지
다음
맨끝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Home
About
Location
Top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