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역사문화
  • 양양의 인물
  •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인물을 소개합니다.

    Total 549건 32 페이지
    • 177
      ○ 이준재(李俊在)(1893∼1976년)
      ○ 이준재(李俊在)(1893∼1976년) 관향은 전주이며 자는 석영․사덕(錫英․士德)이고 호는 동농(東農)이다. 손양면 수여리 태생으로 1919년 4월 4일 양양장터에서의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했다가 양양경찰서에서 열사 함홍기와 권병연이 희생되는 것을 목격하고 왜경에 쫓겨 혼자 도망쳐 월리 앞길 뚝 밑에 엎드려 숨어 있다 ..
      Read More
    • 176
      ○ 이준택(李濬澤)(1915~2005년)
      ○ 이준택(李濬澤)(1915~2005년) 관향은 전주이며 호는 사암(史岩)이고 손양면 수여리 태생이다 양양보통학교, 경성사범학교, 일본대학교 법과를 졸업하고 고성 장전, 양양 오호국민학교 훈도로서 일제의 내선일체 황국신민화(內鮮一體 皇國臣民化)의 교육정책에 반기하여 우리 민족교육과 국어교육에 특별히 힘썼다. 감시와 갈등..
      Read More
    • 175
      ○ 이지번(李之璠)
      ○ 이지번(李之璠) 관향은 홍주이며 문간공서(文簡公舒)의 후예로 숭릉참봉(崇陵參奉)이 되었다.
      Read More
    • 174
      ○ 이진수(李鎭壽)
      ○ 이진수(李鎭壽) 관향은 경주이며 동명(東明)의 아들로서 증조모가 위독함에 의사를 부르러간 사이에 단지주혈 하니 회생하여 10년을 더 살았다. 향리에 효자라 칭하였다. ..
      Read More
    • 173
      ○ 이찬우(李燦雨)
      ○ 이찬우(李燦雨) 관향은 경주이며 한학이 풍부하고 면서기를 거처 강현면장을 역임했다.
      Read More
    • 172
      ○ 이철우(李喆雨)(1918~1979년)
      ○ 이철우(李喆雨)(1918~1979년) 관향은 경주이며 강현면 강선리 태생이다. 공은 대포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39년3월 25일 일본국 나라현 남부 정강중학교 4년 수료하고 귀국하였다. 1940년 4월 1일 고성군 건봉사사립봉명학교 교사로 근무하다가 1944년 4월1 일 일본군에 징병, 필리핀 전선에서 8․15광..
      Read More
    • 171
      ○ 이춘령(李春齡)(1499~?)
      ○ 이춘령(李春齡)(1499~?) 관향은 함평이며 자은 대년(大年)이고 호는 초제(草齊)이다. 공은 박학다식하여 시문서예가 탁월한 유학의 대가로 중종 14년 기묘(1519년)에 진사하고 중종 29년 갑오(1534년)에 문과 급제하였다. 인종 원년 을사(1545년)에 양양사람으로서는 처음으로 양양부사가 되어 선정하였으며 ..
      Read More
    • 170
      ○ 이춘령(李春齡)(조선)
      ○ 이춘령(李春齡)(조선) 중종 을사(1545년)에 양양부사로 부임하여 선치하였으므로 관민이 감복하였다. 후에 이조좌랑(吏曹佐郞)에 오르다. ‘사재거관인신명’(四載居官人神明) ..
      Read More
    • 169
      ○ 이춘재(李春在)(1927∼2003년)
      ○ 이춘재(李春在)(1927∼2003년) 관향은 전주이며 함경남도 함흥 태생이다. 소시에는 함흥에서 수학하고 8·15광복 후 단신 남하하여 서북청년회에 가입 활동 중 한국전쟁에 참전하였으며 고려대학교 신방과를 수학하고 1954년 양양에 정착하여 속초방송국 기자에 이어 서울신문사 양양 주재 기자 겸 양양지국장을 역임..
      Read More
    • 168
      ○ 이 침(李 琛)(1560~1626년)
      ○ 이 침(李 琛)(1560~1626년) 관향은 전주이며 자는 여헌(汝獻)이다. 관(官)은 선무랑군자감주부(宣務郞軍資監主簿)를 지냈으며 공량(公樑)공의 맏아들이다. ..
      Read More
    • 167
      ○ 이필용(李弼鏞)(1744∼1812년)
      ○ 이필용(李弼鏞)(1744∼1812년) 관향은 전주이며 손양면 태생이다. 부모가 득병하면 불침불식하며 신명을 다하여 간호하였고 부친 병환 시에는 분을 맛보고 하늘에 대신하여 죽겠다고 기원하였다. 모친이 병중에 꿩고기(雉肉)를 원함에 이를 구하고자 정성을 다할 때에 꿩이 스스로 집에 날아들어 왔으므로 이를 잡아 대접하였..
      Read More
    • 166
      ○ 이해조(李海朝)(조선)
      ○ 이해조(李海朝)(조선) 조선중엽의 양양부사로 풍파(風派)와 문채(文彩)가 국내에 떨쳤고 현산별곡(峴山別曲)을 작곡하였다.
      Read More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