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역사문화
  • 양양의 인물
  •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인물을 소개합니다.

    Total 549건 33 페이지
    • 165
      ○ 이헌규(李憲奎)
      ○ 이헌규(李憲奎) 관향은 미상이며 호는 두산(斗山)이다. 은후(垠后) 성질이 온후하고 문장이 출중하여 당세에 명성이 높았다.
      Read More
    • 164
      ○ 이현규(李顯奎)
      ○ 이현규(李顯奎) 관향은 홍주이며 호는 백문(白文)이다. 문장으로 명성이 사해에 떨쳤으며 양양의 대시호로 추앙을 받았고 누차 향시에 올랐다. 계조천년유시궁 비선일거단여대 리장호몽광개화 옥토저근행포란 (繼祖千年惟有窮 飛仙一去但餘臺 籬長瓠夢光開花 土沃藷根行抱卵) ..
      Read More
    • 163
      ○ 이현규(李顯奎)
      ○ 이현규(李顯奎) 관향은 평창이며 호는 백우(白羽)이다. 문장으로 이름이 사해에 떨쳤다. 또한 양양의 대시호(大詩豪)로 추앙을 받았다. ..
      Read More
    • 162
      ○ 이현도(李顯道)
      ○ 이현도(李顯道) 관향은 전주이며 호는 장암(莊庵)이다. 정조 원년 정유(1777년)에 생원진사, 무술에 문과 교리 사간을 지나 사읍(四邑)을 역전하며 많은 공적을 남겼다. ..
      Read More
    • 161
      ○ 이현우(李鉉愚)
      ○ 이현우(李鉉愚) 관향은 평창으로 명규의 아들로 고종 28년 신묘(1891년)에 진사가 되었다.
      Read More
    • 160
      ○ 이현장(李顯章)(1834∼1899)
      ○ 이현장(李顯章)(1834∼1899) 관향은 경주이며 자는 회숙(晦淑)이고 호는 묵계(墨溪)이다. 원종(源從)후 어렸을 때 가세가 빈공하여 현 향교 앞에 있는 소천(小川)가에 하나의 반석을 벼루삼고 칡잎을 종이삼아 시종 시서작법을 위하여 몰두하니 글을 써서 씻은 물이 소천을 흐를 때 냇물이 먹물로 변하였으므로 후일 이..
      Read More
    • 159
      ○ 이형섭(李衡燮)(1916~2001년)
      ○ 이형섭(李衡燮)(1916~2001년) 관향은 전주이며 자는 금강산인혜(金剛山人惠)이고 호는 추강(秋岡)이다. 손양면 수여리 태생으로 양양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미술대학을 졸업한 후 동아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국전초대작가, 국전심사위원장, 경남 부산시문화위원, 동명서화원장(東明書畵院長) 역임하였다. 증정 화휘호(畵揮..
      Read More
    • 158
      ○ 이형필(李衡弼)(1714∼1775년)
      ○ 이형필(李衡弼)(1714∼1775년) 관향은 함평이며 자는 방평(邦平)이고 호는 지산(芝山)이다. 영조 29년 계유(1753년)에 생원진사, 영조 35년 기묘(1759년)에 문과장원 급제하여 병조좌랑과 함경도사정언헌납이 되었다. 청금록(靑襟錄)을 만들었다. 이형익(李衡翼)이 지은 보안(補案)과 청금(靑襟)은 임공 희..
      Read More
    • 157
      ○ 이호교 처 밀양박씨(李鎬敎 妻 密陽朴氏)
      ○ 이호교 처 밀양박씨(李鎬敎 妻 密陽朴氏) 손양면에 거주하며 박씨는 시부모에 효성이 지극했다 남편이 빈사지경에 이르자 단지주혈하였으나 한나절을 연명하다가 사망했다. 이 사실로 정려했다. ..
      Read More
    • 156
      ○ 이홍근(李弘根)
      ○ 이홍근(李弘根) 관향은 미상이며 현산학교를 졸업하고 경찰의 전신인 헌병보조원으로 치안행정을 맡아 보았다. 악의 없는 원만한 인격으로 대민사업을 하여 호평을 받고 추호도 선량한 사람을 괴롭히지 않았다. 기미년 만세 때 퇴임한 신앙인이다. ..
      Read More
    • 155
      ○ 이홍영(李鴻榮)
      ○ 이홍영(李鴻榮) 관향은 경주이며 호는 춘강(春岡)이다. 호탕한 성격에 내유외강하며 대담무쌍한 용기와 활달한 기품은 타인을 경탄케했다. 한말(韓末) 당시 약관에 뛰어난 기지와 달변으로 일본현병대장을 설득하여 사지에 빠진 애국동포들을 구출하였다. 사실인즉 항일투사 수많이 체포되어 헌병대장 앞에 끌려갔다. 공이 말하기를..
      Read More
    • 154
      ○ 이홍우(李洪雨)(1933~1999년)
      ○ 이홍우(李洪雨)(1933~1999년) 관향은 경주이며 현남면 입암리 태생이다. 강릉농공고등학교 축산과를 졸업하고 신흥대 신문방송학과 2년을 중퇴 후 68년 농촌지도직공무원으로 시작하여 인제군과 강릉시농업기술센터에서 3여 년간 근무 외에는 20여 년을 양양군에서 근무하였다 축산분야에 특기를 갖고 있어 가축사양관리지도와..
      Read More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