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문화원소개
- 인사말
- 연혁
- 조직현황
- 주요사업
- 주요시설
- 오시는 길
역사문화
- 양양의 역사
- 양양의 인물
- 양양의 민속
- 양양의 지명유래
-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 양양의 국가유산
- 양양10경
자료실
- 「양양문화」
- 발간서적
- 양양군지
- 발행도서목록
- 학술토론회
-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 문화학교 안내
-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 양양문화제
- 주요행사
-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 문화원소식
- 문화원행사
- 문화갤러리
- 문화영상
- 질문답변
- 기부금공개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문화원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현황
주요사업
주요시설
오시는 길
역사문화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자료실
「양양문화」
발간서적
양양군지
발행도서목록
학술토론회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문화학교 안내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양양문화제
주요행사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문화원소식
문화원행사
문화갤러리
문화영상
질문답변
기부금공개
관리자
역사문화
문화원소개
역사문화
자료실
문화학교
양양문화제
문화마당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역사문화
양양의 인물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인물을 소개합니다.
Total 549건
39 페이지
게시판 검색
93
○ 정원기(鄭元基)(1802~?)
○ 정원기(鄭元基)(1802~?) 관향은 연일이며 자는 여경(汝經)이다. 강현면 석교리에서 생활하였으며 시문에 남달리 재능이 있고 풍류를 즐기었다. 철종 10년 기미 10월(1859년) 설악산 동쪽 동해안 일대에 불의의 대화재가 발생하여 양양부(襄陽府)에 551호. 통천군(通川郡) 472호, 간성군(杆城郡) 486호가 ..
Read More
92
○ 정정일(鄭正一)
○ 정정일(鄭正一) 관향은 봉화이며 본명은 鄭鍾龜(정종구)이다. 어려서부터 한학에 조예가 깊어 시부도 짓고 서경도 능하였다. 강원도교원양성소를 수료하고 대포학교를 비롯하여 초등교육에 수십년 종사하다 퇴직하고 간성향교의 전교로서 유도진작에 힘썼다. 다시 교직에 돌아와 춘천학무과장을 역임하고 양양국민학교장으로 퇴직하고 구교..
Read More
91
○ 정필동(鄭必東)(조선)
○ 정필동(鄭必東)(조선) 숙종 병술에 부임이래 교화(敎化)를 진작시키고 민폐를 근절시켰음으로 선정비를 세우다.
Read More
90
○ 정 청(鄭 淸)
○ 정 청(鄭 淸) 관향은 연일이며 호는 유호(游湖)이다. 포은정몽주(圃隱鄭夢周)의 현손으로 병자란에 제자 홍소원(洪沼源)과 더불어 춘천에 피하였다. 참봉으로 추천하였으나 이를 받지 않고 산수(山水)에 유력(遊歷)하면서 어계 조려(漁溪 趙旅) 추강 남효온(秋江 南孝溫)과 교의가 깊고 단종 상에 매양 두자시(杜子詩)를 읊..
Read More
89
○ 정취보살(正趣菩薩)
○ 정취보살(正趣菩薩) 익령현 덕기방[통일신라시대 낙산사 아래에 있는 마을]이 고향인 정취보살은 당나라 명주(明州) 개국사(開國寺)에서 수도하였으며 범일국사가 827~835년 간 수도할 때 만났던 왼쪽귀가 떨어진 중으로 범일국사에게 “나는 역시 우리나라 사람입니다. 집은 익령현 덕기방에 있습니다. 법사께서 만일 다른 날..
Read More
88
○ 정학시(鄭學時)(1898∼1962년)
○ 정학시(鄭學時)(1898∼1962년) 관향은 초계이며 호는 성습(聖習)이다. 광무 2년 무술(1898년)에 출생하여 한학을 공부하여 시부에 능하고 근검력행하여 가업을 이룩하고 자제교육에 열중하여 향리에 귀감이 되었다. ..
Read More
87
○ 정현동(鄭顯東)(1854∼?)
○ 정현동(鄭顯東)(1854∼?) 관향은 초계이며 자는 경회(景晦)이고 호는 회산(晦山)이다. 한학에 능통했으며 의술에도 장하여 향리에서 존경을 받았다. ..
Read More
86
○ 정호규․정호렬(鄭鎬奎․鄭鎬烈)(1877∼1952년․1882∼1956년)
○ 정호규․정호렬(鄭鎬奎․鄭鎬烈)(1877∼1952년․1882∼1956년) 관향은 초계이며 두 형제는 어려서 한학을 읽고 실천하여 덕행이 높고 효행이 극진하여 향리의 칭송을 받고 근검절약하여 성가하였다. ..
Read More
85
○ 정희구(鄭凞九)
○ 정희구(鄭凞九) 관향은 초계이며 현남면 태생이다. 13세의 어린나이에 모친의 병이 위독함으로 분을 맛보고 병증을 감증하여 시약하여 병이 낫기를 하늘에 기원하였다. 부친상을 당하여 3년 시묘하였는데 이 사실이 예조에 알려져 계명복호[(啓蒙復戶) : 효자 절부가 난 집]했다. ..
Read More
84
○ 조규남 처 파평윤씨(趙奎南 妻 坡平尹氏)
○ 조규남 처 파평윤씨(趙奎南 妻 坡平尹氏) 파평윤씨는 남편이 사망하니 그 즉시 쓰러져 따라 죽으니 합장하였다. 이 사실이 조정에 알려져 고종 15년 무인(戊寅, 1878년)에 정려했다. ..
Read More
83
○ 조돈원(趙敦元)(1898~1974년)
○ 조돈원(趙敦元)(1898~1974년) 관향은 한양이며 현남면 포매리 태생이다. 현남면 제3대 면장이고 조종인의 4남으로 한학을 수학하고 제8대 현남면장으로 면정에 치적을 남겼다. ..
Read More
82
○ 조석행(趙晳行)(1916~1980년)
○ 조석행(趙晳行)(1916~1980년) 관향은 한양이며 현남면 포매리 태생이다. 양렬공 조인벽(襄烈公 趙仁壁)선생의 후예로서 한학이 풍부하고 동명서원을 재건하고 유도회장을 누년 역임하였다. ..
Read More
처음
이전
31
페이지
32
페이지
33
페이지
34
페이지
35
페이지
36
페이지
37
페이지
38
페이지
열린
39
페이지
40
페이지
다음
맨끝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Home
About
Location
Top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