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문화원소개
- 인사말
- 연혁
- 조직현황
- 주요사업
- 주요시설
- 오시는 길
역사문화
- 양양의 역사
- 양양의 인물
- 양양의 민속
- 양양의 지명유래
-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 양양의 국가유산
- 양양10경
자료실
- 「양양문화」
- 발간서적
- 양양군지
- 발행도서목록
- 학술토론회
-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 문화학교 안내
-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 양양문화제
- 주요행사
-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 문화원소식
- 문화원행사
- 문화갤러리
- 문화영상
- 질문답변
- 기부금공개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문화원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현황
주요사업
주요시설
오시는 길
역사문화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자료실
「양양문화」
발간서적
양양군지
발행도서목록
학술토론회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문화학교 안내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양양문화제
주요행사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문화원소식
문화원행사
문화갤러리
문화영상
질문답변
기부금공개
관리자
역사문화
문화원소개
역사문화
자료실
문화학교
양양문화제
문화마당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역사문화
양양의 인물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인물을 소개합니다.
Total 549건
38 페이지
게시판 검색
105
○ 전인조(全仁祚)
○ 전인조(全仁祚) 관향은 정선이며 손양면 태생이다. 불행하게도 일찍 고독단신의 몸이 되어 양부모를 봉양하던 중 양모가 득병하여 백약이 무효하였는데 의생이 이르기를 “인육이 특효라”고하니 결연히 자신의 고육(股肉)을 베어서 양모에게 제공하니 과연 점차 완쾌하였으므로 그 효행이 부중(府中)에 자자하였다. ..
Read More
104
○ 전재우(全在禹)
○ 전재우(全在禹) 관향은 정선이며 현남면 북분리에서 태어나 현산학교를 졸업하고 경찰에 투신하여 경시를 거쳐 회양군수 양양군수까지 승진한 노력가로서 행운의 인물이었다. ..
Read More
103
○ 전정렬(全丁烈)
○ 전정렬(全丁烈) 관향은 정선이며 강원도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각지에서 교직생활을 하였다. 일종시험에 합격하고 1943년에 현성국민학교장을 역임하다가 불치의 병마로 50미만에 조사하고 그 후예들은 외국에 거주한다. ..
Read More
102
○ 전호규(全浩奎)(1915~1967년)
○ 전호규(全浩奎)(1915~1967년) 관향은 정선이며 현남면 인구2리 태생이다. 공은 양양군에서 공직을 시작하여 현남면 부면장으로 퇴직한 후 현남면 인구리 지역농협(현하조대농협)으로 승격되면서 1965년 3월 25일부터 1968년 10월 30일까지 제1, 2대 조합장을 역임하면서 농협기반조성과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
Read More
101
○ 정관시(鄭寬時)(1883~1945년)
○ 정관시(鄭寬時)(1883~1945년) 관향은 초계이며 현남면 전포매리 태생이다. 시문에 능하였고 한학에도 조예가 깊으며 제4대 현남면장을 지냈다...
Read More
100
○ 정 규(鄭 珪)
○ 정 규(鄭 珪) 관향은 연일이며 호는 퇴성제(退省齊)이다. 사마 희조(希祖)의 아들이다. 유년기부터 학업에 힘쓰고 별당을 고성군 삼일포 남쪽에 짓고 독파만권서적(讀破萬卷書籍)하였다. 율곡 이이가 거유(巨儒)로 추천하니 선조 원년 무진(1568년)에 참봉각(參奉閣)을 내렸다. ..
Read More
99
○ 정돈철(鄭燉澈)(1922~1968년)
○ 정돈철(鄭燉澈)(1922~1968년) 관향은 초계이며 현남면 전포매리 태생이다. 현남중학교가 설립된 1952년 7월부터 6여 년간을 서무과장으로 재직하였고, 그 후 주문진수산고등학교 서무과장으로 재직하다 1963년부터 1962년까지는 제11대 현남면장, 1964년부터 1968년까지는 제13대 주문진읍장으로 재직한 바 ..
Read More
98
○ 정연수(鄭然秀) 일명 정성각(鄭成珏)(1910~2008년)
○ 정연수(鄭然秀) 일명 정성각(鄭成珏)(1910~2008년) 관향은 연일이며 호는 경암(敬庵)이고 현남면 죽정자리 태생이다. 인구초등학교 제1회 졸업생으로 일생경로를 쓴 경암집편(敬庵集編) 머리말에는 “오직 우리들은 범인으로써 학(學)이 위본(爲本)이라 배우고 배움으로 알게 되고 알게 되면 행(行)하게 되니 또한 기쁘..
Read More
97
○ 정연옥(鄭然玉)(1895∼1992년)
○ 정연옥(鄭然玉)(1895∼1992년) 관향은 연일(延日)이며 양양읍 남문리에 거주하였다. 이인수(李寅洙 全州人)의 처로 강릉 정석화(鄭錫和)씨의 장녀로서 원래 그 성품이 온순하고 예의범절이 출중한 여성으로서 18세에 출가하여 단 3개월간 안락신정(安樂新情)한 생활을 영위할 무렵 불행하게도 그의 남편이 병으로 인하여 ..
Read More
96
○ 정용관 처 평산신씨(鄭用寬 妻 平山申氏)
○ 정용관 처 평산신씨(鄭用寬 妻 平山申氏) 비각이 서면 장승리에 세워져있다. 신씨는 본래부터 행실이 착실하였다. 남편이 서당에서 돌아올 때 범이 물어갔다. 사람들은 전율과 공포로 우왕좌왕 할 뿐이었으나 신씨는 범을 추적하여 깊은 산까지 들어가 남편의 시신을 찾아 혼자 시신을 안고 시아버지와 시동생이 있는 곳으로 왔다...
Read More
95
○ 정용화(鄭龍和)
○ 정용화(鄭龍和) 관향은 미상이며 양양읍 기정리 태생이다. 춘천농업학교를 졸업하고 공무원기술관으로 농정에 힘썼다. 양양군 내무과장 역임하였다. ..
Read More
94
○ 정우용(鄭禹鎔)
○ 정우용(鄭禹鎔) 관향은 연일이며 자는 치성(致成)이다. 포은정몽주(圃隱鄭夢周)의 18대손 원기(元基)의 아들이다. 문장이 뛰어나고 성품이 온후하고 헌종 5년 기해(1839년) 에 문과에 급제 진사가 되었다. 철종 12년 신유(1861년) 대화재시에 부친 원기(元基)와 상의하여 금곡(金穀) 천석과 천량을 희사하여 이재..
Read More
처음
이전
31
페이지
32
페이지
33
페이지
34
페이지
35
페이지
36
페이지
37
페이지
열린
38
페이지
39
페이지
40
페이지
다음
맨끝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Home
About
Location
Top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