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문화원소개
- 인사말
- 연혁
- 조직현황
- 주요사업
- 주요시설
- 오시는 길
역사문화
- 양양의 역사
- 양양의 인물
- 양양의 민속
- 양양의 지명유래
-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 양양의 국가유산
- 양양10경
자료실
- 「양양문화」
- 발간서적
- 양양군지
- 발행도서목록
- 학술토론회
-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 문화학교 안내
-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 양양문화제
- 주요행사
-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 문화원소식
- 문화원행사
- 문화갤러리
- 문화영상
- 질문답변
- 기부금공개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문화원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현황
주요사업
주요시설
오시는 길
역사문화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자료실
「양양문화」
발간서적
양양군지
발행도서목록
학술토론회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문화학교 안내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양양문화제
주요행사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문화원소식
문화원행사
문화갤러리
문화영상
질문답변
기부금공개
관리자
역사문화
문화원소개
역사문화
자료실
문화학교
양양문화제
문화마당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역사문화
양양의 인물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인물을 소개합니다.
Total 549건
23 페이지
게시판 검색
285
○ 엄성모(嚴誠模)
○ 엄성모(嚴誠模) 관향은 영월이며 현남면 태생이다. 효행이 돈독하여 부모봉양에 지성을 다하였다. 부친상을 당하여서는 의대를 풀지 않고 시묘살이 3년 동안에 기이하게도 범이 와서 함께 돌보아주었으니 이는 철천지효로 이루어졌다고 향인들이 일컬었고 이 효행으로 정려했다. ..
Read More
284
○ 엄주석(嚴柱石)
○ 엄주석(嚴柱石) 관향은 영월이며 호는 황헌(篁軒)이다. 현남면 태생으로 공은 복사광(僕射光)의 후예이다. 성품이 온후하고 무실근검(務實勤儉)하여 요부성가(饒富成家)하였다. 빈한한 사람을 구휼하는데 앞장섰다. 많은 재산을 내놓아 휼민하니 관부에서 포상하고 1935년(을해) 12월 2일 공적비를 세워 기념하였다. ..
Read More
283
○ 오국현(吳國鉉)
○ 오국현(吳國鉉) 관향은 해주이며 현북면장을 역임하였다. 능변가로 기억력이 비상하여 육법전서를 암기한 재능가였다. 의지력이 강하고 저항력이 투철하여 불굴의 정신으로 반공투쟁을 하다가 피체되어 체형을 받고 수감생활 중 국군의 진격으로 총살의 위기에서 탈출하여 귀환한 반공투사였다. ..
Read More
282
○ 오동선 처 연안김씨(吳東善 妻 延安金氏)(1815∼1876년)
○ 오동선 처 연안김씨(吳東善 妻 延安金氏)(1815∼1876년) 김씨의 행적비각이 현북면 상광정리에 세워져있다. 김씨는 시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 남편이 인후병으로 빈사상태에 빠지자 단지주혈로 일시 회생하였으나 곧 약년(弱年) 19세로 별세하였다.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아픔을 안은 그녀는 22세로 남편을 ..
Read More
281
○ 오명근(吳命根)
○ 오명근(吳命根) 관향은 해주이며 현북면 태생이다. 어려서부터 온량하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모친이 득병 시에는 온갖 노력으로 약을 구하여 바쳤고 병이 중태에 이르자 분을 감상하고는 하늘을 우러러 대신하여 죽겠다고 기원하였으나 백약이 무효함으로 단지하여 주혈 하였더니 회생하였다. 이 사실을 향리에서 부에 보고하였다. ..
Read More
280
○ 오병근(吳炳根)
○ 오병근(吳炳根) 관향은 해주이며 현북면 광정리 태생으로 보성전문학교를 졸업하고 군고원으로 봉사하였으며 광복 후 현북면장을 지냈다. ..
Read More
279
○ 오윤환(吳潤煥)
○ 오윤환(吳潤煥) 관향은 해주이며 자는 성빈(聖彬)이고 호는 매곡(梅谷)이다. 속초시 상도문리에서 태어났다. 경학과 시문의 대가이며 3·1운동만세에 참가하여 태형을 받은 애국자이다. ..
Read More
278
○ 오응길(吳應吉)(1560∼1594년)
○ 오응길(吳應吉)(1560∼1594년) 관향은 해주이며 호는 시은(時隱)이다. 고려 때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 휘 인유(仁裕)가 시조이고 그로부터 16세에 조부 경은공(耕隱公)에게 수업하여 학업이 성취됨에 따라 음직으로 사복사정(司僕寺正)에 보직되었다. 임진왜란시 양양군 면록치[(眠鹿峙) : 현 면옥치]에서 은거하면서..
Read More
277
○ 오 준(吳 遵)(1589∼1653년)
○ 오 준(吳 遵)(1589∼1653년) 관향은 해주이며 시은공 오응길의 장자이다. 자 윤성(允成)이고 호는 술제(述齊)이다. 인조조에 선공감역(繕工監役)에 제수되었으나 인조 14년(1636년) 병자호란을 만나 정축(1637년) 강화 때에 통곡하고 성에서 나와 고향에 돌아와 선영아래 거처하면서 절의를 지키고 관직에 나가..
Read More
276
○ 오진근 처 김해김씨(吳鎭根 妻 金海金氏)
○ 오진근 처 김해김씨(吳鎭根 妻 金海金氏) 김해후인 김명식(金明植)의 딸로서 성품이 단아하고 16세에 시집왔으나 미구에 남편이 병들어 명재경각(命在頃刻)하니 팔의 살을 도려내어 화약(和藥)하여 먹이는 살신지성(殺身之誠)을 다하였다. 그러나 드디어 절명하니 그 장일에 또한 죽으려 하였으나 친척의 만류로 뜻을 이루지 못하..
Read More
275
○ 우영승(禹永承)
○ 우영승(禹永承) 관향은 단양이며 정언 홍적의 아들로 숭릉참봉(崇陵參奉)을 지냈다.
Read More
274
○ 우홍적(禹弘績)
○ 우홍적(禹弘績) 관향은 단양이며. 호는 춘곡(春谷)이다. 만호수민(萬戶秀民)의 아들로 선조 14년 신사(1581년)에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정언이 되고 기우가 헌활하며 문사에 탁월하다. 29세 때인 임진왜란에 창의순절명선(倡義殉節名旋) 함평이형백찬장(咸平李衡白撰狀)이다.(의병을 일으켜 왜병과 싸우다 순절하여 이름을 ..
Read More
처음
이전
21
페이지
22
페이지
열린
23
페이지
24
페이지
25
페이지
26
페이지
27
페이지
28
페이지
29
페이지
30
페이지
다음
맨끝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Home
About
Location
Top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