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문화원소개
- 인사말
- 연혁
- 조직현황
- 주요사업
- 주요시설
- 오시는 길
역사문화
- 양양의 역사
- 양양의 인물
- 양양의 민속
- 양양의 지명유래
-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 양양의 국가유산
- 양양10경
자료실
- 「양양문화」
- 발간서적
- 양양군지
- 발행도서목록
- 학술토론회
-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 문화학교 안내
-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 양양문화제
- 주요행사
-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 문화원소식
- 문화원행사
- 문화갤러리
- 문화영상
- 질문답변
- 기부금공개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문화원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현황
주요사업
주요시설
오시는 길
역사문화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자료실
「양양문화」
발간서적
양양군지
발행도서목록
학술토론회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문화학교 안내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양양문화제
주요행사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문화원소식
문화원행사
문화갤러리
문화영상
질문답변
기부금공개
관리자
역사문화
문화원소개
역사문화
자료실
문화학교
양양문화제
문화마당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역사문화
양양의 인물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인물을 소개합니다.
Total 549건
26 페이지
게시판 검색
249
○ 이교하(李敎夏)
○ 이교하(李敎夏) 관향은 함평이며 자는 대일(大一)이라 하고 일제강점의 치욕을 보복하기 위하여 의분심을 갖고 항일투쟁의 뜻을 품었다. 의병소집장 이강년(李康年)의 휘하에서 관동지방도처에서 일병과 항전하였다. 10여 년 간 일제에 항거하고 집안일은 돌보지 아니하고 평생 독립운동에 몸을 바쳤다. 일제의 탄압에 못 이겨 고..
Read More
248
○ 이교학(李敎學)(1902∼1970년)
○ 이교학(李敎學)(1902∼1970년) 관향은 함평이며 호는 서석(西石)이고 본명은 원행(瑗行)이다. 한학이 풍부하고 시문일수(詩文一首)도 잘했다. 예절바르고 인격이 고상하여 신구친교(新舊親交)를 좋아하고 목상을 하면서 양양읍 서문리에서 살았다. ..
Read More
247
○ 이구영(李龜榮)(조선)
○ 이구영(李龜榮)(조선) 광무 경자(1900년) 12월 부임하고 이듬해 1901년 10월 체귀했다. 경자년에 부임하여 향교와 동해묘를 중수하고 법도있게 백성을 다스리고 직접 현장에 나가서 대소민들의 근심걱정을 잘 살폈다. ‘경자래향교급동해묘중수치민유도궁자근고찰대소민지고막’(庚子來鄕校及東海廟重修治民有道躬自勤苦察大小民之苦..
Read More
246
○ 이규남(李圭南)
○ 이규남(李圭南) 관향은 경주이며 반일의식이 투철하였다. 부친 이홍영을 잘 봉양하였으며 반공정신이 강하고 타협할 줄 모르는 반공투사였다. 6·25한국전쟁 때 피난도중 병사하니 부친보다 10여 년 전에 사망했다. ..
Read More
245
○ 이규하(李奎河)(1902∼1978년)
○ 이규하(李奎河)(1902∼1978년) 관향은 전주이며 호는 성서(星棲)이고 손양면 송현리 태생이다. 한학의 대가로서 한시에 능하며 유림의 거성으로 군림하면서도 향민의 존경이 두터웠다. 일제시대 한때 군청 주사로 근무한 바 있다. ..
Read More
244
○ 이기낙(李冀洛)(1900∼1981년)
○ 이기낙(李冀洛)(1900∼1981년) 관향은 전주이며 호는 국사(菊史)이고 손양면 학포리 태생이다. 유시부터 한학을 전공하여 사서삼경을 독파하고 시률(詩律)의 대가로서 만년에는 십일시회(十逸詩會)회장으로서 한시 계승발전에 심혈을 바쳤다. 청년시절 10여 년간 도일(渡日)하여 신문물을 학습하고 돌아와 다시 엄부(嚴父:..
Read More
243
○ 이기재(李夔在)(1868∼1934년)
○ 이기재(李夔在)(1868∼1934년) 관향은 전주이며 손양면 수여리 태생으로 호는 황곤(黃崑)이다. 사서삼경과 문장에 능하였으며 서울에 교우가 많았다. 고종 30년 계사 2월 12일(1893년)세자궁 갑술생 경과 장원급제하였으나 적령(適齡)관계로 교지를 받지 못했다. ..
Read More
242
○ 이달용(李達用)(1928~1986년)
○ 이달용(李達用)(1928~1986년) 관향은 경주이며 경북 울진 태생이다. 6·25한국전쟁을 참전한 육군헌병 상사로 예편하면서 1952년 경찰에 특채되어 28년간 강릉․속초경찰서에서 근무하였다. 현남면 인구리에 정착하여 어업에 종사하면서 양양군수산협동조합 이사를 거쳐 1984년∼1986년까지 수협장을 역임하였다. ..
Read More
241
○ 이달형(李達炯)(1903∼1981년)
○ 이달형(李達炯)(1903∼1981년) 관향은 경주이고 양양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경찰계에 투신하였다가 퇴직하고 감농하면서 사법서사로 활약했다. ..
Read More
240
○ 이도식(李道植)(조선)
○ 이도식(李道植)(조선) 고종 갑술(1874년) 8월에 부임하여 고종 기묘(1879년) 6월 포천군으로 전출하였다. 갑술년 부임하여 궁한 백성을 잘 도와주어 모든 주민을 편안하게 하였다. ‘갑술래선판궁민이안경내’(甲戌來善販窮民以安境內) ..
Read More
239
○ 이도행(李度行)(1891∼1972년)
○ 이도행(李度行)(1891∼1972년) 관향은 함평이며 호는 취흘(醉屹)이다. 손양면 주리에서 태어나 한학에 장하며 효심이 지극하여 조상의 치산에 전재를 투입하여 비석 상석 등을 세워 그 명성이 높았다. ..
Read More
238
○ 이동균(李東均)(1910∼1987년)
○ 이동균(李東均)(1910∼1987년) 관향은 홍주이며 호는 춘포(春圃)이고 손양면 금강리 태생이다. 한학자 이병규(李炳奎)의 독자로 효자였다. 일제시에는 동신상회(東信常會)를 경영하였으며 광복 후는 강릉으로 월남, 이 때 남파간첩 정 모(鄭 某)의 공작에 의하여 춘천법원에서 혹독한 고초를 당해 폐결핵으로 신고했으며,..
Read More
처음
이전
21
페이지
22
페이지
23
페이지
24
페이지
25
페이지
열린
26
페이지
27
페이지
28
페이지
29
페이지
30
페이지
다음
맨끝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Home
About
Location
Top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