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문화원소개
- 인사말
- 연혁
- 조직현황
- 주요사업
- 주요시설
- 오시는 길
역사문화
- 양양의 역사
- 양양의 인물
- 양양의 민속
- 양양의 지명유래
-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 양양의 국가유산
- 양양10경
자료실
- 「양양문화」
- 발간서적
- 양양군지
- 발행도서목록
- 학술토론회
-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 문화학교 안내
-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 양양문화제
- 주요행사
-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 문화원소식
- 문화원행사
- 문화갤러리
- 문화영상
- 질문답변
- 기부금공개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문화원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현황
주요사업
주요시설
오시는 길
역사문화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자료실
「양양문화」
발간서적
양양군지
발행도서목록
학술토론회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문화학교 안내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양양문화제
주요행사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문화원소식
문화원행사
문화갤러리
문화영상
질문답변
기부금공개
관리자
역사문화
문화원소개
역사문화
자료실
문화학교
양양문화제
문화마당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역사문화
양양의 인물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인물을 소개합니다.
Total 549건
25 페이지
게시판 검색
261
○ 의상대사(義湘大師)
○ 의상대사(義湘大師) 신라 진평왕 47년(625년)~성덕왕 1년(702년). 속성은 김(金)씨이고 아버지는 한신(韓信)이다. 20세에 출가하여 경주 낭산황복사(狼山黃福寺)에서 수도하였다. 진덕왕 4년(650년)에 원효와 함께 당나라에 가던 도중에 난을 당하여 이루지 못하고 그 후 문무왕 1년(661년)에 당나라 사신의..
Read More
260
○ 이건석(李建晳)(1914∼1979년)
○ 이건석(李建晳)(1914∼1979년) 관향은 함평이며 손양면 금강리 태생이다. 강릉도립병원장을 10여년 지냈으며 강릉에서 개업 명의로 이름을 떨쳤으며 다시 서울에서 개업하고 인술을 베풀었다. ..
Read More
259
○ 이건응(李建膺)(조선)
○ 이건응(李建膺)(조선) 고종 을유(1885년)에 부임하여 갑신․을유년의 대흉에 기아자가 유산(流散)함으로 부자로부터 오천금(五千金)을 차입하여 영남에서 양곡을 이입하여 공평염가로 배급하였다. ..
Read More
258
○ 이경섭(李京燮)
○ 이경섭(李京燮) 관향은 안성이며 호는 하산(霞山)이다. 시서에 능하고 수복 후 향교재건과 명륜중학교 건립에 큰 공을 세웠다.
Read More
257
○ 이경운(李景蕓)(1666~1695년)
○ 이경운(李景蕓)(1666~1695년) 관향은 함평이며 자는 군욱(君郁)이다. 숙종 19년 계유(1693년)에 문과에 급제, 성균관학록을 제수하였으나 조졸하였다. ..
Read More
256
○ 이계영(李啓泳)(1805∼1886년)
○ 이계영(李啓泳)(1805∼1886년) 관향은 함평이며 호는 청헌(淸軒)이다. 철종 3년 임자(1852년)에 정산현감(定山縣監) 고종 21년 갑신(1884년)에 종2품을 받았다. ..
Read More
255
○ 이계원(李繼元)
○ 이계원(李繼元) 관향은 미상이며 자는 선량(善良)이다. 숙종 2년 병진(1676년) 이수질가자제첨지중추부사(以壽秩加資除僉知中樞府事) ..
Read More
254
○ 이공량(李公樑)(1519∼선조년간)
○ 이공량(李公樑)(1519∼선조년간) 관향은 전주이며 자는 국간(國幹)이다. 손양면 수여리에서 태어난 전주이씨 중흥조(中興祖)로 명종 13년 무오(1558년)에 중정시(中庭試)에 급제하고 시문에 능하여 경학에 통효[(通曉) : 깨달아서 환히 앎]한 유학자로서 통훈대부를 지내고 흥덕(興德)현감이 되었다. 택호(宅號)를 ..
Read More
253
○ 이광국(李光國)(1710∼1789년)
○ 이광국(李光國)(1710∼1789년) 관향은 전주이며 손양면 태생이다. 9세가 될 때까지 보행불능이므로 모친상에 상을 입지 못하였다. 그 후 성장하면서 이것이 한이 되어 스스로 “나는 죄인이라고 생각하고 비단의복을 입지 않고 좋은 음식을 먹지 않았으며 말하기를 부보생전에 좋은 음식과 수의로 쓰지 못하였으니 내가 어찌..
Read More
252
○ 이광식(李光埴)(1749∼1812년)
○ 이광식(李光埴)(1749∼1812년) 관향은 함평이며 자는 화여(華如)이고 호는 청리(淸里)이다. 정조 7년 계묘(1783년)에 진사 순조 3년 계해(1803년)에 문과 병조좌랑 사헌부지평 이조좌랑을 거쳐 무진(1808년)에 양양부사를 지내고 또 사간원헌납을 지냈다. 사후에 이조참판 홍문관제학(吏曹參判 弘文館提學)을..
Read More
251
○ 이교완(李敎完)(1878∼1930년)
○ 이교완(李敎完)(1878∼1930년) 관향은 함평이며 본명은 철행(喆行)이다. 양양면 임천리 천석거부 장재(長財)집인 새말집의 주인이다. 세칭 삼천석부재집이라 한다. 공은 한학이 풍부하며 배일사상이 농후하여 이석범과 손잡은 양양 독립만세의 선구자다. 만세 후 체포되어 갖은 고초와 신문으로 빈사상태였으니 불복으로 집행..
Read More
250
○ 이교태(李敎台)(1892∼1968년)
○ 이교태(李敎台)(1892∼1968년) 관향은 함평이며 본명은 태행(台行)이다. 현산학교를 졸업하고 군고원으로 보문(普文)에 합격하여 군속(군주사)을 지냈다. ..
Read More
처음
이전
21
페이지
22
페이지
23
페이지
24
페이지
열린
25
페이지
26
페이지
27
페이지
28
페이지
29
페이지
30
페이지
다음
맨끝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Home
About
Location
Top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