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문화원소개
- 인사말
- 연혁
- 조직현황
- 주요사업
- 주요시설
- 오시는 길
역사문화
- 양양의 역사
- 양양의 인물
- 양양의 민속
- 양양의 지명유래
-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 양양의 국가유산
- 양양10경
자료실
- 「양양문화」
- 발간서적
- 양양군지
- 발행도서목록
- 학술토론회
-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 문화학교 안내
-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 양양문화제
- 주요행사
-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 문화원소식
- 문화원행사
- 문화갤러리
- 문화영상
- 질문답변
- 기부금공개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문화원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현황
주요사업
주요시설
오시는 길
역사문화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자료실
「양양문화」
발간서적
양양군지
발행도서목록
학술토론회
사진전및작품전시회
문화학교
문화학교 안내
문화강좌 소개
양양문화제
양양문화제
주요행사
축제갤러리
문화마당
문화원소식
문화원행사
문화갤러리
문화영상
질문답변
기부금공개
관리자
역사문화
문화원소개
역사문화
자료실
문화학교
양양문화제
문화마당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양양의 인물
양양의 민속
양양의 지명유래
국가유산 현황·분포도
양양의 국가유산
양양10경
역사문화
양양의 인물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인물을 소개합니다.
Total 549건
27 페이지
게시판 검색
237
○ 이동명(李東明)
○ 이동명(李東明) 관향은 경주이며 호는 동호(東湖)이다. 양희공흥상(襄僖公興商)의 후손이다. 일찍 부모를 여이고 조부가 병에 위독함에 단지하고, 상사에 애통을 다 하였다. 아들 진수(鎭壽)와 더불어 세상에 일문삼효(一門三孝)라고 칭하였다. ..
Read More
236
○ 이동섭(李東燮)
○ 이동섭(李東燮) 관향은 미상이며 익평공수남(翼平公秀男)의 후손으로 선공감역(繕工監役)을 역임하고 돈녕도정(敦寧都正)에 오르다. ..
Read More
235
○ 이동식(李東埴)(1745∼1807년)
○ 이동식(李東埴)(1745∼1807년) 관향은 함평이며 자는 춘화(春和)이다. 영조 50년 갑오(1774년)에 진사, 계묘에 문과 장원하였다. 병조좌랑 영일현감 순천부사와 안주목사를 역임한 후 동부승지에 이르렀다. ..
Read More
234
○ 이동식(李東植)(1865∼1943년)
○ 이동식(李東植)(1865∼1943년) 관향은 경주이며 자는 치일(致一)이고 호는 취정(翠亭)이다. 관명은 이상학(李相學). 이판사(李判事)라 하면 모르는 사람이 없이 유명한 분이다. 인물이 잘나고 풍채가 좋으며 6척 장신에 가히 이르기를 천계일학(千鷄一鶴)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었다. 일찍이 한말에 법부(法部) 판사..
Read More
233
○ 이동주(李東柱)
○ 이동주(李東柱) 관향은 전주이며 손양면 태생이다. 8세에 모친상을 당하였는데 성인처럼 애도하였다. 부병 시에는 분을 감징(鑑澄)하고 하늘을 우러러 대신 죽을 것을 맹세하고 기원하였으나 절명에 이르렀으므로 단지주혈 하여 연 1일이나 경과 후 사망하였다. 그리고 3년 시묘하였으므로 부영(府營)에 보고하였다. ..
Read More
232
○ 이두형(李斗炯)(1834∼1919년)
○ 이두형(李斗炯)(1834∼1919년) 관향은 경주이며 청년시절 일시 경찰에 투신하였으나 항상 배일의 뜻을 품고 공념을 느끼고 독립을 기원하였다. 기미년 독립만세가 일어나자 선두에서 만세를 절규하다가 체포되어 혹독한 태형을 받아 그 여독으로 조사하니 그 충혼을 현산공원 충혼탑에 안치, 호국지신으로 모시었다. ..
Read More
231
○ 이면수(李冕洙)(1919~2008년)
○ 이면수(李冕洙)(1919~2008년) 관향은 전주이며 호는 간송(澗松)이고 손양면 수여리 태생이다. 양양 흥덕댁 종손으로 양양보통학교, 일본제국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일제 말기 금유기관에 종사했다. 8·15광복과 동시 전 재산과 대대로 이어오던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가옥, 선조를 모시던 사당, 7대조의 효자정려문까지 모..
Read More
230
○ 이명규(李明奎)
○ 이명규(李明奎) 관향은 평창으로 호는 창석(漲석), 고종 31년 갑오(1894년)에 진사가 되었으며 정릉참봉을 지냈다.
Read More
229
○ 이명춘 처 경주김씨(李明春 妻 慶州金氏)
○ 이명춘 처 경주김씨(李明春 妻 慶州金氏) 손양면에 거주하던 경주김씨는 남편 장삿날 쓰러져 따라 죽으니 합장하였다. 이 사실로 고종2년 을축(乙丑, 1865년)에 정려했다. ..
Read More
228
○ 이백용(李百鏞)(1756∼1818년)
○ 이백용(李百鏞)(1756∼1818년) 관향은 전주이며 손양면 태생이다. 이필용(李弼鏞)의 동생으로서 친상육기(親喪六期)까지 시묘사리를 하였고, 형(弼鏞)과 동일하게 전후 범사를 행하여 왔다. 따라서 조정에서는 정려(旌閭)하는 한편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의 벼슬을 주었으며 도설전에 올라 있다. 정려문은 6․25한국전쟁..
Read More
227
○ 이범식(李範植)
○ 이범식(李範植) 관향은 함평인이며 손양면 태생이다. 어렸을 때부터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하여 10세 당시 부친의 각기병으로 항상 근심하여 왔으나 그 부친은 침구(鍼灸)를 맞지 못함으로 먼저 자기 몸에 침을 맞고 뜸을 뜨니 부친에게 그 침과 뜸이 감전하여 즉시 차도를 보았다. 그 후 부친이 서울에 갔다 오는 도중 병환으..
Read More
226
○ 이병규(李炳奎)(1887∼1954년)
○ 이병규(李炳奎)(1887∼1954년) 관향은 홍주이며 호는 금산(錦山)이고 손양면 금강리 태생이다. 한학의 대가로서 박학다식하고 시문에 능하며 외과서(外科書)에도 정통하고 훈장으로 명성을 날렸으며 양양향교 직원을 역임하고 일시 보천교의 수뇌로 활동한 바 있다. 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Read More
처음
이전
21
페이지
22
페이지
23
페이지
24
페이지
25
페이지
26
페이지
열린
27
페이지
28
페이지
29
페이지
30
페이지
다음
맨끝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Home
About
Location
Top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