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역사문화
  • 양양의 인물
  • 역사문화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의 인물

    양양의 역사 인물을 소개합니다.

    Total 549건 28 페이지
    • 225
      ○ 이병두(李炳斗)
      ○ 이병두(李炳斗) 관향은 평창이며 한학과 시문에 능하고 인격과 덕망이 높았다. 현남면장을 지냈고 향리에 식수를 권장하여 백년대개를 도모한 조림사업가였다. ..
      Read More
    • 224
      ○ 이병용 처 경주김씨(李秉龍 妻 慶州金氏)
      ○ 이병용 처 경주김씨(李秉龍 妻 慶州金氏) 김상항(金商恒)의 딸로서 시어머니 남씨(南氏)가 채홍지조(彩虹之兆)가 있어 시부모가 모두 하세하고 시조부모가 있어 아침저녁으로 공양을 극진히 하고 거상에 지성을 다하였다. 남편은 벼슬길에 올랐으나 김씨는 치가와 교아에 지엄하고 근검으로 문호를 빛내니 그 명성이 자자했다. ..
      Read More
    • 223
      ○ 이상돈(李相敦)(1935~2003년)
      ○ 이상돈(李相敦)(1935~2003년) 관향은 경주이며 강현면 강선리 태생이다. 1955년 속초고등학교를 제1회 수석으로 졸업한 수재이다. 군 복무 3년을 마치고 양양군 지방행정공무원(1963∼1971년)으로 9년 동안 근무하였다가 사임하고 가사에 종사하였다. 동민들의 추대와 권유로 이장직을 담당하고 사계성상을 공평무..
      Read More
    • 222
      ○ 이상익(李相益)(1933∼1994년)
      ○ 이상익(李相益)(1933∼1994년) 관향은 전주이며 호는 송촌(松村)이고 손양면 수여리 태생이다. 가난했던 소년시절 소학교를 거쳐 한학을 수학하고 농업에 종사 신영농기술 전수(專修) 및 보급을 위해 마을 4H 클럽 회장을 다년간 역임하면서 맹인인 형 상억(相檍) 일명 상춘(相春)과 우애 돈독했으며 노부모에 대해 형..
      Read More
    • 221
      ○ 이상익 (李相益)
      ○ 이상익 (李相益) 관향은 경주이며 강현면 태생이다. 평소 양친 봉양에 지성을 다하다가 부친 임종에 단지주혈하고 3일간 단식 통곡함으로 효자로 칭송하였다. ..
      Read More
    • 220
      ○ 이상일(李尙逸)(조선)
      ○ 이상일(李尙逸)(조선) 조선중엽의 양양부사로 법률에 밝고 정사에 청렴하고 농상(農桑)에 근려(勤勵)하여 빈궁한 자를 구휼함으로 선정비를 건립했다. 백성들이 원통한 일이 있으면 백지소장을 지참하고 비 밑[碑下]에 가서 눈물로서 탄원하였으므로 타루비(墮淚碑)라고도 했다. ..
      Read More
    • 219
      ○ 이상현(李相鉉)(1935~2007년)
      ○ 이상현(李相鉉)(1935~2007년) 관향은 전주이며 현남면 동산리 태생이다. 서울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8세에 양양군 공무원으로 시작하여 1980년부터 1993년까지 현북면과 현남면 부면장으로 재직하다 1994년 7월 19일부터 1996년 10월 23일까지 제22대 현남면장으로 마지막 공직을 고향을 위해 일하였..
      Read More
    • 218
      ○ 이석범(李錫範)(1859~1932년)
      ○ 이석범(李錫範)(1859~1932년) 관향은 함평이며 자는 사일(士一)이고 호는 설초(雪樵)이다. 임천리에서 출생하고 도천면 도문리에 이거하였다. 동학란 때에 반동학군(反東學軍)을 조직하여 갑오의병(甲午義兵)으로 활약한 유학인이다. 한학의 대가로서 장년에 군부주사(軍部主事)를 거쳐 고종 때에 중추방의관(中樞防議官)에..
      Read More
    • 217
      ○ 이석우(李錫宇)
      ○ 이석우(李錫宇) 관향은 전주이며 효령대군 손으로 고종조에 진사에 급제하였다.
      Read More
    • 216
      ○ 이설기·최순영(李卨起·崔順英)
      ○ 이설기·최순영(李卨起·崔順英) 관향은 미상으로 손양면 태생이다. 양인은 부부로 적빈한 가정에 양자로 입양하였으며 평소에 효성이 지극하였고 양부가 장기간 와병하였을 때 염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어떤 방법으로라도 공양하였다. 특히 왜정말기 평민으로는 구하지 못하는 우육을 자기 집에서 사육하던 소를 관의 눈을 피해 밀도살..
      Read More
    • 215
      ○ 이성녀(李姓女)
      ○ 심지용 처 이성녀(李姓女) 관향은 경주이며 서면 서선리에 시집온 후 부모공양에 남달리 극진하여 이웃사람들의 본보기로 소문이 자자하였다. 그러던 중 남편이 병들어 3여년을 정성껏 간호하였으나 보람 없이 숨지게 되자 손가락을 끊어 남편의 입에 넣어 잠시나마 되살아나게 하였고 남편이 죽은 후 26세의 젊은 나이로 53세에 ..
      Read More
    • 214
      ○ 이성윤(李聖允)
      ○ 이성윤(李聖允) 관향은 전주이며 한학이 풍부하여 시문을 잘하며 서면 도리 등지에서 서당훈장을 지냈다. 전재한(全在漢), 전재필(全在弼)과 같이 3·1독립만세를 부르다가 체포되어 극형을 받았다. ..
      Read More

    검색